우주배경 탐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배경 탐사선(COBE)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개발한 인공위성으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복사를 연구하기 위해 1989년 발사되었다. COBE는 차등 마이크로파 복사계(DMR), 확산 적외선 배경 실험(DIRBE), 극원적외선 절대 분광광도계(FIRAS) 등의 장비를 탑재하여 CMB의 흑체 형태와 비등방성을 측정했다. 1992년 COBE의 DMR 데이터 분석 결과, CMB의 비등방성이 발견되었고, 이 발견은 우주 초기의 구조 형성의 "씨앗"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았다. COBE의 과학적 성과는 2006년 존 C. 매더와 조지 스무트 3세에게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이어졌으며, WMAP, 플랑크 등의 후속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델타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솔라 맥시멈 미션
솔라 맥시멈 미션은 태양 활동 극대기에 맞춰 태양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1980년 NASA에서 발사한 태양 관측 위성으로, 발사 직후 고장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84년 우주왕복선에 의해 수리되어 임무를 재개하고 1989년 소멸될 때까지 태양 활동 데이터를 수집하며 혜성 발견에도 기여했다. - 1989년 발사한 우주선 -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히파르코스는 유럽 우주국이 발사한 천체 관측 위성으로, 10만 개 이상의 별의 위치와 운동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천문학 연구에 중요한 히파르코스 목록을 작성했으며, 초기 계획과 달리 정지 궤도 진입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노력을 통해 임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 1989년 발사한 우주선 - STS-34
- NASA의 인공위성 -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선명한 우주 관측을 목표로 1990년 발사된 천문 관측 장비로, 서비스 미션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우주를 관측하며 과학적 발견을 이루고 있고, 궤도 붕괴에 따른 추락 위험 방지를 위해 제어된 재진입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 NASA의 인공위성 - TIMED
TIMED는 NASA의 솔라 테라설 프로그램 탐사선으로, 지구 대기의 중간권, 하부 열권, 전리층 영역을 연구하며, 에너지 전달과 변화가 지구물리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우주배경 탐사선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Explorer 66 (익스플로러 66) COBE (코비) |
임무 유형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천문학 |
운영 기관 | NASA (미국 항공우주국) |
COSPAR ID | 1989-089A |
SATCAT | 20322 |
웹사이트 | lambda.gsfc.nasa.gov/product/cobe |
임무 기간 | 계획: 6개월 실제: |
우주선 정보 | |
우주선 | Explorer LXVI (익스플로러 LXVI) |
우주선 종류 | 우주배경 탐사선 |
제조사 |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
전력 | 750 와트 |
발사 정보 | |
발사일 | 1989년 11월 18일, 14:34 UTC |
발사 로켓 | Delta 5920-8 (Delta 189) |
발사장 | 밴덴버그, SLC-2W |
발사 계약자 | 더글러스 항공 |
임무 정보 | |
운용 시작 | 1989년 11월 18일 |
마지막 교신 | 알 수 없음 |
운용 중단 | 1993년 12월 23일 |
궤도 정보 | 지구 중심 궤도 |
궤도 종류 | 태양 동기 궤도 |
궤도 경사 | 99.00° |
궤도 주기 | 103.00 분 |
궤도 기준 | gee (알 수 없음) |
탑재 장비 | |
장비 1 | Differential Microwave Radiometer (DMR) (차등 마이크로파 방사계) |
장비 2 | Diffuse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DIRBE) (확산 적외선 배경 실험 장치) |
장비 3 | Far-InfraRed Absolute Spectrophotometer (FIRAS) (원적외선 절대 분광 광도계) |
기타 정보 | |
![]() | |
프로그램 | Explorer 프로그램 |
이전 미션 | AMPTE-CCE (Explorer 65) |
다음 미션 | Extreme Ultraviolet Explorer (Explorer 67) |
2. 역사
1974년, NASA는 소형·중형 탐사선을 이용한 천문학 미션을 공모했고, 121건의 제안 중 3건이 우주 배경 복사에 관한 연구였다. 이 제안들은 적외선 천문 위성(IRAS)에 밀렸지만, NASA는 우주 배경 복사 연구의 가치를 인식하고 더 탐구하게 되었다. 1976년, NASA는 1974년의 3개 제안팀에서 각 구성원을 모아 위원회를 구성하여 통합된 위성 기획을 제안했다.
COBE는 원래 1988년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우주 왕복선 임무 STS-82-B에 탑재될 예정이었지만, 챌린저호 폭발로 인해 우주 왕복선 운행이 중단되면서 이 계획이 연기되었다. NASA는 COBE 기술자들이 COBE를 발사하기 위해 다른 우주 회사로 가는 것을 막았고, 결국 재설계된 COBE는 1989년 11월 18일에 델타 로켓에 의해 태양 동기 궤도에 발사되었다.
1992년 4월 23일, 연구자 그룹은 COBE의 관측 데이터로부터 우주 초기의 구조 형성의 "씨앗"(CMB의 비등방성)이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 이 보고는 과학 분야의 기본적인 발견으로서 전 세계를 휩쓸었고, 뉴욕 타임스지의 1면을 장식했다.[7][8]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은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존 C. 매더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조지 스무트 3세에게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흑체 형태와 비등방성 발견"으로 공동 수여되었다.[9]
2. 1. 개발 배경
1974년, NASA는 소형 또는 중형 익스플로러 우주선을 이용한 천문 임무 기회를 발표했다. 접수된 121개의 제안 중 3개는 우주 배경 복사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이 제안들은 적외선 천문 위성(IRAS)에 밀려났지만, NASA는 이 아이디어를 더 탐구하게 되었다. 1976년, NASA는 1974년의 세 제안팀에서 각 구성원을 모아 그러한 위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으는 위원회를 구성했다. 1년 후, 이 위원회는 델타 5920-8 발사체 또는 우주 왕복선에 의해 발사될 극궤도 위성인 COBE를 제안했다. COBE에 탑재될 기기는 다음과 같았다:[6]기기 | 약자 | 설명 | 책임 연구자 |
---|---|---|---|
차등 마이크로파 복사계 | DMR | 마이크로파 기기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복사의 변화(또는 비등방성)를 매핑. | 조지 스무트 3세 |
미만 적외선 배경 실험 | DIRBE | 먼지 방출을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다중 파장 적외선 감지기 | 마이클 G. 하우저 |
원적외선 절대 분광 광도계 | FIRAS | CMB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분광 광도계 | 존 매더 |
NASA는 발사체 및 데이터 분석을 제외하고 비용이 3000만달러 미만으로 유지된다는 조건으로 이 제안을 수락했다. IRAS로 인한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의 비용 초과로 인해,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GSFC)에서 위성 건설 작업은 1981년까지 시작되지 않았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COBE의 적외선 감지기 및 액체 헬륨 듀어는 IRAS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COBE는 원래 1988년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우주 왕복선 임무 STS-82-B에 탑재될 예정이었지만, 챌린저호 폭발로 인해 우주 왕복선이 운행 중단되면서 이 계획이 연기되었다. NASA는 COBE 기술자들이 COBE를 발사하기 위해 다른 우주 회사로 가는 것을 막았고, 결국 재설계된 COBE는 1989년 11월 18일 델타 발사체에 실려 태양 동기 궤도에 배치되었다.
1992년 4월 23일, COBE 과학자들은 APS 4월 회의에서 워싱턴 D.C.에서 DMR 기기의 데이터에서 "원시 씨앗"(CMBE 비등방성)의 발견을 발표했다.[7] 다음 날 ''뉴욕 타임스''는 이 발견을 "처음에는 매끄러웠던 우주가 오늘날의 별, 은하, 거대한 은하단의 파노라마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최초의 증거"라고 설명하며 1면에 기사를 실었다.[8]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은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존 C. 매더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조지 스무트 3세에게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흑체 형태와 비등방성 발견"으로 공동 수여되었다.[9]
2. 2. 개발 과정
1974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소형 또는 중형 익스플로러 우주선을 사용할 천문 임무에 대한 제안을 받았다. 접수된 121개의 제안 중 3개는 우주 배경 복사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이 제안들은 적외선 천문 위성 (IRAS)에 밀렸지만, NASA는 이 아이디어를 더 탐구하게 되었다. 1976년, NASA는 1974년의 세 제안팀에서 각 구성원을 모아 위원회를 구성했다. 1년 후, 이 위원회는 델타 5920-8 발사체 또는 우주 왕복선에 의해 발사될 극궤도 위성인 COBE를 제안했다. COBE에 탑재될 기기는 다음과 같았다.[6]기기 | 약자 | 설명 | 책임 연구자 |
---|---|---|---|
차등 마이크로파 복사계 | DMR | 마이크로파 기기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복사의 변화(또는 비등방성)를 매핑한다. | 조지 스무트 3세 |
미만 적외선 배경 실험 | DIRBE | 먼지 방출을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다중 파장 적외선 감지기 | 마이클 G. 하우저 |
원적외선 절대 분광 광도계 | FIRAS | CMB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분광 광도계 | 존 매더 |
NASA는 발사체 및 데이터 분석을 제외하고 비용이 3000만달러 미만으로 유지된다는 조건으로 이 제안을 수락했다. IRAS로 인한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의 비용 초과로 인해,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GSFC)에서 위성 건설 작업은 1981년까지 시작되지 않았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COBE의 적외선 감지기 및 액체 헬륨 듀어는 IRAS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COBE는 원래 1988년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우주 왕복선 임무 STS-82-B에 탑재될 예정이었지만, 챌린저호 폭발로 인해 우주 왕복선 운행이 중단되면서 이 계획이 연기되었다. NASA는 COBE의 기술자들이 COBE를 발사하기 위해 다른 우주 회사로 가는 것을 막았고, 결국 재설계된 COBE는 1989년 11월 18일 델타 발사체에 실려 태양 동기 궤도에 배치되었다.
1992년 4월 23일, COBE 과학자들은 APS 4월 회의에서 DMR 기기의 데이터에서 "원시 씨앗"(CMBE 비등방성)의 발견을 발표했다.[7] 다음 날 ''뉴욕 타임스''는 이 발견을 "처음에는 매끄러웠던 우주가 오늘날의 별, 은하, 거대한 은하단의 파노라마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최초의 증거"라고 설명하며 1면에 기사를 실었다.[8]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은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존 C. 매더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조지 스무트 3세에게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흑체 형태와 비등방성 발견"으로 공동 수여되었다.[9]
2. 3. 발사 및 운용
1974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소형 또는 중형 익스플로러 우주선을 사용할 천문 임무에 대한 기회를 발표했다. 접수된 121개의 제안 중 3개는 우주 배경 복사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이 제안들은 적외선 천문 위성(IRAS)에 밀려났지만, NASA는 이 아이디어를 더 탐구하게 되었다. 1976년, NASA는 1974년의 세 제안팀에서 각 구성원을 모아 위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으는 위원회를 구성했다. 1년 후, 이 위원회는 델타 5920-8 발사체 또는 우주 왕복선에 의해 발사될 극궤도 위성인 COBE를 제안했다. COBE에 포함될 기기는 다음과 같다:[6]기기 | 약자 | 설명 | 책임 연구자 |
---|---|---|---|
차등 마이크로파 복사계 | DMR | 마이크로파 기기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복사의 변화(또는 비등방성)를 매핑한다. | 조지 스무트 3세 |
미만 적외선 배경 실험 | DIRBE | 먼지 방출을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다중 파장 적외선 감지기이다. | 마이클 G. 하우저 |
원적외선 절대 분광 광도계 | FIRAS | CMB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분광 광도계이다. | 존 매더 |
NASA는 발사체 및 데이터 분석을 제외하고 비용이 3000만달러 미만으로 유지된다는 조건으로 이 제안을 수락했다. IRAS로 인한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의 비용 초과로 인해,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GSFC)에서 위성 건설 작업은 1981년까지 시작되지 않았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COBE의 적외선 감지기 및 액체 헬륨 듀어는 IRAS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제작되었다.
COBE는 원래 1988년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우주 왕복선 임무 STS-82-B에 탑재될 예정이었지만, 챌린저호 폭발로 인해 우주 왕복선 운행이 중단되면서 이 계획은 연기되었다. NASA는 COBE 기술자들이 COBE를 발사하기 위해 다른 우주 회사로 가는 것을 막았고, 결국 재설계된 COBE는 1989년 11월 18일 델타 발사체에 실려 태양 동기 궤도에 배치되었다.
1992년 4월 23일, COBE 과학자들은 APS 4월 회의에서 워싱턴 D.C.에서 DMR 기기의 데이터에서 "원시 씨앗"(CMBE 비등방성)의 발견을 발표했다. 그때까지 다른 기기들은 "템플릿을 볼 수 없었다."[7] 다음 날 ''뉴욕 타임스''는 이 발견을 "처음에는 매끄러웠던 우주가 오늘날의 별, 은하, 거대한 은하단의 파노라마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최초의 증거"라고 설명하며 1면에 기사를 실었다.[8]
2. 4. 노벨상 수상
1974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소형 또는 중형 익스플로러 우주선을 사용할 천문 임무에 대한 제안을 받았다. 접수된 121개의 제안 중 3개는 우주 배경 복사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이 제안들은 적외선 천문 위성 (IRAS)에 밀렸지만, NASA는 이 아이디어를 더 탐구했다. 1976년, NASA는 1974년의 세 제안팀에서 각 구성원을 모아 위원회를 구성했다. 1년 후, 이 위원회는 극궤도 위성인 COBE를 제안했다. COBE는 다음과 같은 기기를 포함할 것이다:[6]기기 | 약자 | 설명 | 책임 연구자 |
---|---|---|---|
차등 마이크로파 복사계 | DMR | 마이크로파 기기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 복사의 변화를 매핑. | 조지 스무트 3세 |
미만 적외선 배경 실험 | DIRBE | 먼지 방출을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다중 파장 적외선 감지기 | 마이클 G. 하우저 |
원적외선 절대 분광 광도계 | FIRAS | CMB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분광 광도계 | 존 매더 |
COBE는 1989년 11월 18일 델타 로켓으로 발사되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의 비등방성을 정밀하게 측정, 초기 우주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우주 탐사선이다. 1994년 1월 과학적 임무가 종료된 후 월롭스 비행 시설(WFF)로 이관되어 시험 위성으로 활용되었다.[5]
NASA는 발사체 및 데이터 분석을 제외하고 비용이 3000만달러 미만으로 유지된다는 조건으로 이 제안을 수락했다. COBE는 원래 1988년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챌린저호 폭발로 인해 연기되었다. 결국 재설계된 COBE는 1989년 11월 18일 델타 발사체에 실려 태양 동기 궤도에 배치되었다.
1992년 4월 23일, COBE 과학자들은 APS 4월 회의에서 DMR 기기의 데이터에서 "원시 씨앗"(CMBE 비등방성)의 발견을 발표했다.[7]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은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존 매더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조지 스무트 3세에게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흑체 형태와 비등방성 발견"으로 공동 수여되었다.[9]
3. COBE 탐사선
COBE는 이전의 IRAS 위성의 기술을 활용했지만, 계통 오차를 철저히 제어하고 측정해야 했기 때문에 엄격하고 통합적인 설계가 필요했다. COBE는 최소 6개월 이상 작동해야 했으며, 지구, 태양, 달은 물론 지상의 전파, COBE 자체, 다른 위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방사 간섭을 최소화해야 했다.[10] 또한, 관측 장비는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고 높은 이득을 유지해야 했으며, 미광(stray light)과 미립자로부터의 열 방출을 줄이기 위해 매우 높은 수준의 청결도를 유지해야 했다.
3. 1. 설계 특징
COBE는 IRAS의 기술을 차용했지만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진 탐사선급 위성이었다.
모든 체계적 오차의 원인을 제어하고 측정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엄격하고 통합된 설계가 요구되었다. COBE는 최소 6개월 동안 작동해야 했으며 지구, 태양 및 달로부터의 방사 간섭의 양을 제한해야 했다.[10] 이 기기들은 온도 안정성을 유지하고 이득을 유지하며, 미광과 미립자로부터의 열 방출을 줄이기 위해 높은 수준의 청결도를 유지해야 했다.
CMB 이방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체계적 오차를 제어하고, 이후 모델링을 위해 서로 다른 신장 각도에서 황도대 구름을 측정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위성은 0.8 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해야 했다.[10] 회전축은 또한 궤도 속도 벡터에서 뒤로 기울어져 남아 있는 대기 가스가 광학 장치에 침착될 가능성과 초고속으로 표면에 부딪히는 빠른 중성 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 복사광을 방지했다.
느린 회전과 3축 자세 제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축이 정렬된 정교한 한 쌍의 요 각도 운동량 바퀴가 사용되었다.[10] 이 바퀴는 전체 우주선의 운동량과 반대되는 각운동량을 전달하여 순 운동량이 0인 시스템을 만들었다.
궤도는 우주선의 임무의 세부 사항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전체 하늘을 커버해야 할 필요성, 기기로부터의 미광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 그리고 듀어와 기기의 열적 안정성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었다.[10] 원형 태양 동기 궤도는 이러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했다. 우주 왕복선 (COBE에 보조 추진 장치가 장착된 경우) 또는 델타 발사체의 성능 내에 적합하므로, 900km 고도의 99° 경사 궤도가 선택되었다. 이 고도는 지구 복사선과 더 높은 고도의 지구 복사대 내에 있는 대전 입자 사이에서 좋은 절충안이었다. COBE가 일 년 내내 지구에서 햇빛과 어둠의 경계를 따르도록 하기 위해 18:00에 상승 노드가 선택되었다.
궤도는 회전축과 결합되어 지구와 태양을 지속적으로 쉴드 평면 아래에 유지하여 6개월마다 전체 하늘을 스캔할 수 있게 했다.
COBE 임무와 관련된 마지막 두 개의 중요한 부분은 듀어와 태양-지구 쉴드였다. 듀어는 임무 기간 동안 FIRAS 및 DIRBE 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설계된 650L 초유동 헬륨 극저온기였다. 이는 IRAS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설계를 기반으로 했으며 통신 어레이 근처의 회전축을 따라 헬륨을 배출할 수 있었다. 원추형 태양-지구 쉴드는 기기를 직접적인 태양 및 지구 기반 방사선뿐만 아니라 지구 및 COBE의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무선 간섭으로부터 보호했다. 다층 절연 담요는 듀어에 대한 열적 절연을 제공했다.[10]
3. 2. 자세 제어
COBE는 모든 체계적 오차의 원인을 제어하고 측정해야 했기 때문에 엄격하고 통합적인 설계가 필요했다. COBE는 최소 6개월 동안 작동해야 했으며, 지구, 태양, 달뿐만 아니라 지상, COBE 및 기타 위성으로부터의 방사 간섭량을 제한해야 했다.[10] 기기들은 온도 안정성을 유지하고 이득을 유지하며, 미광과 미립자로부터의 열 방출을 줄이기 위해 높은 수준의 청결도를 유지해야 했다.
CMB 이방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체계적 오차를 제어하고, 이후 모델링을 위해 서로 다른 신장 각도에서 황도대 구름을 측정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위성은 0.8 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해야 했다.[10] 회전축은 또한 궤도 속도 벡터에서 뒤로 기울어져 남아 있는 대기 가스가 광학 장치에 침착될 가능성과 초고속으로 표면에 부딪히는 빠른 중성 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 복사광을 방지했다.
느린 회전과 3축 자세 제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축이 정렬된 정교한 한 쌍의 요 각도 운동량 바퀴가 사용되었다.[10] 이 바퀴는 전체 우주선의 운동량과 반대되는 각운동량을 전달하여 순 운동량이 0인 시스템을 만들었다.
3. 3. 궤도
COBE의 궤도는 우주선의 임무 수행에 필요한 여러 요건들을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전천 관측, 미광 제거, 듀어 및 관측 장비의 열 안정성 유지가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10] 이러한 요구 사항을 모두 충족하기 위해 900km 고도, 99° 경사각을 가진 원형 태양 동기 궤도가 선택되었다. 이 고도는 지구 복사선과 밴 앨런 복사대의 대전 입자 영향을 줄이는 적절한 절충안이었다. 궤도의 승교점은 오후 6시로 설정되어 COBE가 일 년 내내 지구의 낮과 밤 경계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10]
이러한 궤도와 COBE의 0.8 rpm 회전축[10] 덕분에 지구와 태양은 항상 보호막 아래에 위치하게 되었고, 6개월마다 전체 하늘을 관측할 수 있었다. 회전축은 궤도 속도 벡터에서 뒤로 기울어져 있어 잔여 대기 가스가 광학 장치에 쌓이거나 빠른 중성 입자가 위성 표면에 충돌하여 적외선 복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했다.[10] 또한, 느린 회전과 3축 자세 제어를 위해 회전축을 따라 정렬된 한 쌍의 요 각도 운동량 바퀴가 사용되었다. 이 바퀴들은 전체 우주선의 운동량과 반대되는 각운동량을 전달하여 시스템의 순 운동량을 0으로 만들었다.[10]
3. 4. 주요 부품
COBE는 IRAS에서 기술을 차용했지만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진 탐사선급 위성이었다.
모든 체계적 오차의 원인을 제어하고 측정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엄격하고 통합된 설계가 요구되었다. COBE는 최소 6개월 동안 작동해야 했으며 지구, 태양 및 달로부터의 방사 간섭의 양을 제한해야 했다.[10] 기기들은 온도 안정성을 유지하고 이득을 유지하며, 미광과 미립자로부터의 열 방출을 줄이기 위해 높은 수준의 청결도를 유지해야 했다.
CMB 이방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체계적 오차를 제어하고, 이후 모델링을 위해 서로 다른 신장 각도에서 황도대 구름을 측정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위성은 0.8 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해야 했다.[10] 회전축은 또한 궤도 속도 벡터에서 뒤로 기울어져 남아 있는 대기 가스가 광학 장치에 침착될 가능성과 초고속으로 표면에 부딪히는 빠른 중성 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 복사광을 방지했다.
느린 회전과 3축 자세 제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축이 정렬된 정교한 한 쌍의 요 각도 운동량 바퀴가 사용되었다.[10] 이 바퀴는 전체 우주선의 운동량과 반대되는 각운동량을 전달하여 순 운동량이 0인 시스템을 만들었다.
COBE 임무와 관련된 마지막 두 개의 중요한 부분은 듀어와 태양-지구 쉴드였다. 듀어는 임무 기간 동안 FIRAS 및 DIRBE 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설계된 650L 초유동 헬륨 극저온기였다. 이는 IRAS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설계를 기반으로 했으며 통신 어레이 근처의 회전축을 따라 헬륨을 배출할 수 있었다. 원추형 태양-지구 쉴드는 기기를 직접적인 태양 및 지구 기반 방사선뿐만 아니라 지구 및 COBE의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무선 간섭으로부터 보호했다. 다층 절연 담요는 듀어에 대한 열적 절연을 제공했다.[10]
4. 과학적 성과
COBE는 DIRBE, FIRAS, DMR 세 가지 관측 장비를 통해 과학 임무를 수행했다. 이 장비들은 겹치는 파장 범위를 활용하여 측정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우리 은하, 태양계,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으로부터의 신호를 구별했다.[10]
COBE의 각 기기는 본래 목적뿐만 아니라 초기 예상 범위를 넘어서는 관측 결과를 도출하여 과학적 발견에 기여했다.
4. 1. 관측 장비
우주배경 탐사선(COBE)에는 세 가지 주요 관측 장비가 탑재되었다. 각 장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장비명 | 설명 | 특징 |
---|---|---|
차동 마이크로파 복사계 (DMR) | 31.4, 53, 90 GHz 주파수에서 하늘의 두 지점 사이의 온도 차이를 측정한다. 60°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우주선 축에서 30° 떨어진 7° 직경의 두 시야를 관측하는 한 쌍의 혼 안테나를 사용한다. | |
확산 적외선 배경 실험 (DIRBE) | 1~300 마이크로미터 파장에서 10개의 파장 밴드에서 절대 플럭스를 측정하여 확산 적외선 복사를 연구한다. 회전축에서 30° 떨어진 1° 시야각을 가진다. | |
극원적외선 절대 분광광도계 (FIRAS) | 냉각된 편광 마이켈슨 간섭계로, 푸리에 변환 분광계로 사용되었다. 회전축을 따라 7° 시야를 가지며, 1.7mm에서 최대 플럭스의 1/1000 정밀도로 0.1~10mm 범위의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
이들 관측 장비는 관측 파장대가 일부 겹치기 때문에, 관측 데이터의 모순 여부를 확인하고, 우리 은하계 및 태양계 신호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4. 2. 주요 발견
COBE의 기기들은 각각의 목표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초기 범위를 벗어나는 관측 결과도 도출했다.1981년에 프린스턴 대학교의 데이비드 윌킨슨과 피렌체 대학교의 프란체스코 멜키오리가 이끄는 천문학자 팀은 풍선 탑재 장비를 사용하여 CMB의 사중극자 분포를 감지했다고 발표했다.[14] 그러나 다른 여러 실험에서 그들의 결과를 재현하려 했지만 그렇게 할 수 없었다.[6]
1987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앤드루 E. 랭과 폴 리처드, 나고야 대학교의 마쓰모토 도시오가 이끄는 일본-미국 팀은 사운딩 로켓 실험에서 0.5 및 0.7mm 파장에서 과도한 밝기를 감지하여 CMB가 진정한 흑체가 아니라고 발표했다.[15]
이러한 발견들은 COBE 임무의 배경이 되었고, 과학자들은 FIRAS의 결과를 간절히 기다렸다. FIRAS의 결과는 CMB와 2.7K의 온도에서 흑체의 이론적 곡선이 완벽하게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어 놀라웠다. 이는 버클리-나고야 팀의 관측 결과와 대조적이었다.
FIRAS는 내부 흑체에 대해 하늘의 7° 패치의 스펙트럼 차이를 측정했다. 간섭계는 2-에서 95-cm−1 사이의 두 대역(20-cm−1에서 분리됨)을 커버했다. 두 개의 스캔 길이(짧음 및 김)와 두 개의 스캔 속도(빠름 및 느림)가 있어 총 4개의 서로 다른 스캔 모드가 있었다. 데이터는 10개월 동안 수집되었다.[16]
DMR은 냉각 유지를 위한 듀어의 헬륨 공급에 의존하지 않아 4년 동안 우주 배경 복사의 감지 가능한 비등방성을 매핑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주파수에서 은하 방출과 쌍극자를 빼내어 CMB의 전천 지도를 생성할 수 있었다.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요동은 매우 미미하여, 복사장의 평균 온도인 2.73K에 비해 10만 분의 1에 불과했다. 이 요동은 초기 우주의 밀도 대비의 흔적이며, 오늘날 우주에서 관측되는 은하 무리와 은하가 없는 광대한 지역을 생성한 것으로 여겨진다.[17]

4. 3. 추가적인 과학적 기여
DIRBE는 은하에 관한 발견 외에 두 가지 중요한 과학적 기여를 했다.[18] 첫째, DIRBE는 행성간 먼지(IPD)를 연구하여 그 기원이 소행성인지 혜성인지를 밝혔다. DIRBE의 12, 25, 50, 100 μm 관측 데이터는 소행성 기원 입자가 IPD 띠와 매끄러운 IPD 구름을 형성한다는 결론을 뒷받침한다.[19]둘째, DIRBE는 우리 은하 원반을 가장자리에서 본 모델을 제시했다. 이 모델에 따르면, 태양은 은하 중심에서 8.6kpc 떨어져 있고, 원반 중간 평면에서 15.6pc 위에 위치한다. 원반의 스케일 길이는 반경 방향으로 2.64kpc, 수직 방향으로 0.333kpc이며, HI 층과 같이 휘어져 있다. 또한, 두꺼운 원반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20]
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DIRBE 데이터에서 IPD를 제거해야 했다. 지구에서 황도광으로 보이는 이 구름은 태양 중심이 아니라, 수백만 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에 중심이 있었다. 이는 토성과 목성의 중력 영향 때문이다.[6]
5. 우주론적 함의
COBE의 결과는 해결되지 않은 수많은 우주론적 질문들을 남겼다. 은하 외 배경광(EBL)의 직접적인 측정은 별 생성, 금속 및 먼지 생성, 그리고 먼지에 의한 별빛의 적외선 방출로의 변환에 대한 통합된 우주론적 역사를 제한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21]
DIRBE와 FIRAS의 140~5000 μm 결과를 통해 통합 EBL 강도가 ≈16 와트(nW)/(m2·sr)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핵합성 중에 방출된 에너지와 일치하며, 우주의 역사 전반에 걸쳐 헬륨과 금속의 생성에 방출된 총 에너지의 약 20~50%를 차지한다. 핵원에만 기인할 때, 이 강도는 빅뱅 핵합성 분석으로 추정되는 중입자 질량 밀도의 5~15% 이상이 별에서 헬륨과 더 무거운 원소로 처리되었음을 의미한다.[21]
별 생성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었다. COBE 관측은 우주적 별 생성률에 대한 중요한 제약을 제공하며, 다양한 별 생성 역사를 위한 EBL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 COBE에 의한 관측은 적색편이 ''z'' ≈ 1.5에서 별 생성률이 UV-광학 관측으로 추정되는 것보다 2배 더 커야 함을 요구한다. 이 과도한 별 에너지는 아직 감지되지 않은 먼지에 가려진 은하 또는 관측된 은하의 극도로 먼지가 많은 별 생성 지역의 거대 질량 별에 의해 주로 생성되어야 한다.[21] 정확한 별 생성 역사는 COBE로 모호하게 해결될 수 없으며, 향후 추가 관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6. 후속 연구
COBE의 결과로 해결되지 않은 여러 우주론적 질문들이 남아있다. 은하 외 배경광(EBL)의 직접적인 측정은 별 생성, 금속 및 먼지 생성, 그리고 먼지에 의한 별빛의 적외선 방출로의 변환에 대한 통합된 우주론적 역사를 제한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21]
DIRBE와 FIRAS의 140~5000 μm 결과를 통해 통합 EBL 강도가 ≈16nW/(m2·sr)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핵합성 중에 방출된 에너지와 일치하며, 우주의 역사 전반에 걸쳐 헬륨과 금속의 생성에 방출된 총 에너지의 약 20~50%를 차지한다. 핵원에만 기인할 때, 이 강도는 빅뱅 핵합성 분석으로 추정되는 중입자 질량 밀도의 5~15% 이상이 별에서 헬륨과 더 무거운 원소로 처리되었음을 의미한다.[21]
별 생성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었다. COBE 관측은 우주적 별 생성률에 대한 중요한 제약을 제공하며, 다양한 별 생성 역사를 위한 EBL 스펙트럼을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 COBE에 의한 관측은 적색편이 ''z'' ≈ 1.5에서 별 생성률이 UV-광학 관측으로 추정되는 것보다 2배 더 커야 함을 요구한다. 이 과도한 별 에너지는 아직 감지되지 않은 먼지에 가려진 은하 또는 관측된 은하의 극도로 먼지가 많은 별 생성 지역의 거대 질량 별에 의해 주로 생성되어야 한다.[21] 정확한 별 생성 역사는 COBE로 모호하게 해결될 수 없으며, 향후 추가 관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2001년 6월 30일, NASA는 DMR 부책임 연구원 찰스 L. 베넷이 이끄는 COBE의 후속 임무를 시작했다.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사선은 COBE의 업적을 명확히 하고 확장했다. WMAP에 이어, 유럽 우주국의 탐사선인 플랑크는 배경의 매핑 해상도를 계속해서 높였다.[22][23]
참조
[1]
웹사이트
COBE Mission Design, Spacecraft and Orbit
http://lambda.gsfc.n[...]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8-04-18
[2]
웹사이트
Cosmic Background Explorer
http://www.pddnet.co[...]
Product Design & Development
2015-07-16
[3]
웹사이트
Trajectory: COBE (1989-089A)
https://nssdc.gsfc.n[...]
NASA
2021-10-28
[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6
https://www.nobelpri[...]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11-08-23
[5]
웹사이트
Display: COBE (1989-089A)
https://nssdc.gsfc.n[...]
NASA
2021-10-28
[6]
서적
New Cosmic Horizons: Space Astronomy from the V2 to the Hubble Space Telesc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뉴스
COBE PICKS OUT PRIMORDIAL SEEDS AT LAST
https://www.aip.org/[...]
2023-07-23
[8]
뉴스
SCIENTISTS REPORT PROFOUND INSIGHT ON HOW TIME BEGAN
https://www.nytimes.[...]
2023-07-23
[9]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6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10-09
[10]
간행물
The COBE Mission: Its Design and Performance Two Years after the launch
1992
[11]
웹사이트
Experiment: Differential Microwave Radiometers (DMR)
https://nssdc.gsfc.n[...]
NASA
2021-10-28
[12]
웹사이트
Experiment: Diffuse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DIRBE)
https://nssdc.gsfc.n[...]
NASA
2021-10-28
[13]
웹사이트
Experiment: Far Infrared Absolute Spectrophotometer (FIRAS)
https://nssdc.gsfc.n[...]
NASA
2021-10-28
[14]
간행물
Fluctuations in the microwave background at intermediate angular scales
http://articles.adsa[...]
2011-08-23
[15]
간행물
Cosmological implication of a new measurement of the submillimeter background radiation
http://articles.adsa[...]
2012-05-17
[16]
간행물
Cosmic microwave background dipole spectrum measured by the COBE FIRAS instrument
1994
[17]
웹사이트
Voyages to the Beginning of Time
https://www.nasa.gov[...]
NASA
2022-06-16
[18]
간행물
Large-Scale Characteristics of Interstellar Dust from COBE DIRBE Observations
1994
[19]
간행물
Near and far-infrared observations of interplanetary dust bands from the COBE Diffuse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1995
[20]
간행물
The shape and color of the galactic disk
1996
[21]
간행물
The COBE Diffuse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search for the cosmic infrared background: IV. Cosmological Implications
1998
[22]
웹사이트
Planck's Probe Map - A picture of the Universe
http://dawn.com/2013[...]
Spider Magazine
2013-05-28
[23]
웹사이트
Planck's HFI Completes Its Survey of the Early Universe
http://www.esa.int/O[...]
ESA
2013-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