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파르코스 위성은 유럽 우주국(ESA)의 관리를 받으며 개발된 인공위성으로, 1989년 발사되어 별의 위치, 시차, 고유 운동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위성은 지구 대기의 영향, 광학적 문제 등을 극복하고 우주에서 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약 10만 개의 별에 대해 0.002 각초의 정확도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이를 초과 달성했다. 히파르코스의 관측 결과는 '히파르코스 목록'과 '티코 목록'으로 출판되었으며, 천문학 연구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별의 구조와 진화, 은하 운동학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후 가이아 위성과의 데이터 결합을 통해 더욱 정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후속 계획으로 가이아 계획과 JASMINE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발사한 우주선 - STS-34
  • 1989년 발사한 우주선 - 우주배경 탐사선
    우주배경 탐사선(COBE)은 NASA가 1989년에 발사한 우주 탐사선으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과 우주 적외선 배경을 정밀하게 관측하여 우주의 초기 구조 형성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으며, 특히 CMB의 비등방성 발견으로 존 C. 매더와 조지 스무트는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유럽 우주국의 인공위성 -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선명한 우주 관측을 목표로 1990년 발사된 천문 관측 장비로, 서비스 미션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우주를 관측하며 과학적 발견을 이루고 있고, 궤도 붕괴에 따른 추락 위험 방지를 위해 제어된 재진입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 유럽 우주국의 인공위성 - XMM-뉴턴
    XMM-뉴턴은 유럽 우주국이 개발한 X선 우주 망원경으로, 1999년 발사되어 우주의 X선 관측을 통해 천체의 특성을 연구하며 블랙홀, 암흑 물질 등 다양한 우주 현상에 대한 관측 결과를 제공한다.
  • 위치천문학 - 극운동
    극운동은 지구 자전축의 불규칙한 운동으로 챈들러 요동, 연주기 진동, 불규칙적 표류로 구성되며 지구 핵-맨틀 운동, 해수면 재분포, 지각균형 재조정 등으로 발생하고 우주측지학 방법으로 관측되며 IERS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 위치천문학 - 천체역학
    천체역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케플러 운동 법칙, 섭동 이론, 다체 문제 등을 포함하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해석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우주 탐사 및 행성 형성 연구에 기여한다.
히파르코스 (인공위성)
기본 정보
ESTEC, 1988년 2월 대형 태양 시뮬레이터 내에 있는 히파르코스 위성
ESTEC, 1988년 2월 시험 중인 히파르코스 위성
미션 유형천체 측정
우주 관측소
운영 기관ESA
COSPAR ID1989-062B
SATCAT20169
웹사이트히파르코스
미션 기간계획: 2.5년
달성: 4년
우주선 정보
우주선HIPPARCOS
제작사알레니아 스파지오
마트라 마르코니 스페이스
발사 질량1140 kg
건조 질량635 kg
탑재체 질량210 kg
전력295 와트
발사 정보
발사일1989년 8월 8일, 23:25:53 UTC
발사 로켓아리안 44LP H10 (V33)
발사 장소Centre Spatial Guyanais, 쿠루, ELA-2
발사 계약자아리안스페이스
궤도 정보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궤도 유형정지 천이 궤도
계획: 정지 궤도
궤도 근지점500.3 km
궤도 원지점35797.5 km
궤도 경사6.84°
궤도 주기636.9 분
궤도 회전수17830
궤도 긴반축gee
망원경 정보
망원경 유형슈미트식 망원경
망원경 직경29 cm
망원경 초점 거리1.4 m
망원경 파장가시광선
통신 정보
통신 대역S-Band
통신 대역폭2-23 kbit/s
미션 정보
운용 시작1989년 8월
폐기 유형퇴역
비활성화1999년 3월
기타
히파르코스 레거시 미션 휘장
히파르코스 미션 레거시 ESA 휘장

2. 개발 배경 및 발사

20세기 후반, 지상에서 별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는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지구 대기의 영향, 광학적 문제, 기기 굴곡, 전천 가시성 부족 등이 정확도 향상을 막는 요인이었다.[4] 1967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주에서 정밀 관측을 하자는 제안이 처음 제시되었다.[4]

처음에는 프랑스 우주국(CNES)에 제안되었으나, 단일 국가가 수행하기에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판단에 따라 다국적 협력으로 추진되었다. 1980년, 오랜 연구와 로비 끝에 유럽 우주국(ESA)의 과학 프로그램에 채택되었다. 이 임무의 목표는 별의 거리와 공간 운동을 측정하여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별의 구조와 진화, 은하의 구조와 운동학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약 10만 개 별에 대해 0.002 각초의 정확도로 위치, 시차, 연간 고유 운동을 측정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실제로는 이를 두 배 이상 초과 달성했다.

히파르코스 위성은 유럽 우주국(ESA) 관리 하에 마트라 마르코니 스페이스(현재 EADS 아스트리움)와 알레니아 스파지오(현재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주요 계약자로 참여해 개발되었다.

1989년 8월 8일,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 4 발사체(V33편)에 실려 발사되었다. TV-Sat 2와 함께 발사되어 정지 천이 궤도(GTO)에 진입할 예정이었으나, 원지점 킥 모터 고장으로 목표했던 정지 궤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유럽 우주 작전 센터(ESOC)와 추가 지상국을 설치하여 정지 천이 궤도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모든 임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히파르코스 임무에는 2000년 경제 조건 기준, 약 6억유로이 소요되었으며, 유럽 과학자 약 200명과 유럽 산업계 2,000명 이상이 참여했다.

3. 위성 및 탑재체

히파르코스 위성은 29cm 구경의 단일 전반사, 편심 슈미트 망원경을 탑재했다. 특수 빔 결합 거울은 58° 간격으로 떨어진 두 개의 시야를 공통 초점면에 중첩시켰는데, 이 거울은 직사각형 입구 동공의 절반을 각각 차지하고 약 1° × 1°의 비네팅되지 않은 시야를 제공하는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거울로 구성되었다.[5] 망원경 초점면에는 2688개의 투명 및 불투명 밴드를 번갈아 가며 1.208 초각(8.2 마이크로미터)의 주기를 갖는 그리드 시스템이 사용되었다.[5] 이 그리드 시스템 뒤에는 약 38 초각 직경의 민감한 시야를 가진 이미지 분해기 튜브(광전자 증배관 유형 감지기)가 별에서 나오는 빛을 변조하여 일련의 광자 카운트(1200 Hz)로 변환, 별 펄스 열의 위상을 유도했다. 결합된 시야에서 두 별 사이의 겉보기 각도는 그리드 주기를 modulo한 값으로 두 별 펄스 열의 위상차로부터 얻었다.[5]

추가적인 광전자 증배관 시스템은 광학 경로의 빔 분할기를 관찰하고 별 지도기로 사용되었다. 이는 위성 자세를 모니터링하고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약 11등급까지 모든 별의 광도 및 측성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 측정은 (존슨) UBV 광도 시스템에서 B와 V에 대략 해당하는 두 개의 넓은 대역에서 이루어졌다. 이 별들의 위치는 주 임무 별보다 25배 작은 0.03 초각의 정밀도로 결정될 예정이었다.[5]

4. 관측 원리

히파르코스 위성은 우주 공간에서 관측을 수행하여 천문 시상, 대기, 기기 중력 굴곡 및 열 변형의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했다.[7] 전천 가시성을 통해 하늘 전체에서 관측된 별들을 직접 연결할 수 있었다.

58° 간격의 두 관측 방향으로 하늘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거의 즉각적인 1차원 관측을 가능하게 했다. 이는 상대적인 것이 아닌 절대적인 시차 결정을 가능하게 했다. 위성의 지속적인 황도 기반 스캔으로 관측 시간을 최적으로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균일한 하늘 밀도와 측량 정확도를 가진 목록을 제공했다.

측량 측정의 원리. 채워진 원과 실선은 하나의 시야(약 1° 크기)의 세 객체를, 열린 원과 점선은 큰 기본 각도로 중첩된 별개의 하늘 영역의 세 객체를 보여준다. 왼쪽: 한 기준 시대의 객체 위치. 중간: 임의의 고유 운동 벡터와 축척 인수를 사용하여 약 4년에 걸친 그들의 공간 운동; 삼각형은 간격의 끝 무렵에 고정된 시대의 위치를 ​​보여준다. 오른쪽: 연간 시차로 인한 추가 겉보기 운동을 포함한 총 위치 변화, 4개의 루프는 태양 주위의 4개 지구 궤도에 해당한다. 시차로 유도된 운동은 하늘의 같은 영역의 모든 별에 대해 위상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필드 내에서 상대적인 측정을 통해 상대적인 시차만 제공할 수 있다. 별 사이의 상대적 거리가 측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변하지만, 별당 5개의 수치 매개변수(위치의 두 구성 요소, 고유 운동의 두 구성 요소 및 시차)로 설명된다.


3년의 관측 기간 동안 각 별에 대한 다양한 기하학적 스캔 구성은 중심 좌표 방향, 시차, 고유 운동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조밀한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측량 매개변수뿐만 아니라 그 표준 오차 및 상관 계수도 이 과정에서 파생되었다.[7]

객체당 독립적인 기하학적 관측의 수(일반적으로 약 30개)는 표준 모델의 미지수 수(별당 5개의 측량 미지수)에 비해 컸기 때문에, 이 간단한 5개 매개변수 모델을 준수하지 않는 측량 솔루션은 쌍성 또는 해결되지 않은 측량 바이너리에 기인하는 비선형 광도 중심 운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확장될 수 있었다.[7]

객체당 실제 관측 수는 약 110개로 다소 많아 각 별에 대한 정확하고 균일한 측광 정보를 제공했으며, 이를 통해 평균 등급, 변동 진폭, 그리고 많은 경우 주기 및 변동 유형 분류를 수행할 수 있었다.[7]

3년 동안의 히파르코스 목록 객체 중 하나의 하늘에서의 경로. 각 직선은 특정 시대에 별의 관측된 위치를 나타낸다. 측정이 1차원이기 때문에 이 위치 선을 따라 정확한 위치는 관측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곡선은 모든 측정에 맞춰진 모델링된 별의 경로이다. 각 시대의 추정 위치는 점으로 표시되고 잔차는 점을 해당 위치 선에 연결하는 짧은 선으로 표시된다. 진동 운동의 진폭은 별의 시차를 제공하며, 선형 구성 요소는 별의 고유 운동을 나타낸다.

5. 데이터 처리 및 기준 좌표계

주요 임무 결과를 위한 데이터 분석은 NDAC와 FAST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과학 팀이 수행했다. 이들은 약 1000Gbit의 위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포괄적인 상호 검증 및 유효성 검사 시스템을 구축했다.[10]

하늘에서 기기 좌표로의 변환을 매핑하기 위해 상세한 광학 보정 모델이 사용되었다. 지구와 위성의 궤도를 고려하여 관측 시점마다 관측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했으며, 이는 지구 궤도력과 정확한 위성 거리 측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한 별의 수차 보정과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한 광선 굴절 보정(황도면에 90°에서 4 밀리 초각)도 수행되었다. 일반 상대성적 광선 굴절 보정에는 PPN 형식(PPN formalism)에서 γ=1이라고 결정론적으로 가정했다.[10]

위성 관측을 통해 얻은 고정된 좌표계는 외부 은하 천체에 연결된 관성 좌표계로 변환되었다. 이를 위해 3C 273 퀘이사를 제외하고 외부 은하 천체의 직접적인 관측이 없었기 때문에, 다양한 파장의 측량을 ''히파르코스'' 별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고, 카탈로그의 고유 운동이 가능한 한 운동학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했다. 세 개의 강체 회전 각도와 세 개의 시간 의존적 회전율을 결정하여, 관성, 외부 은하, 좌표계에 대한 정확하지만 간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졌다.[10]

시간에 따른 FK5, ''Hipparcos'', Tycho-1, Tycho-2 카탈로그의 전형적인 정확도.


좌표계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VLBI 네트워크, MERLIN 및 초대형 배열(VLA)에 의한 전파 별의 간섭 관측, 전하 결합 소자(CCD), 사진 건판 및 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한 ''히파르코스'' 별에 대한 퀘이사 관측, 외부 은하 천체에 대한 별의 고유 운동을 결정하기 위한 사진 프로그램(본, 키예프, 릭, 포츠담, 예일/산 후안), 초장기선 간섭계 (VLBI)와 지상 기반 ''히파르코스'' 별의 광학 관측을 통해 얻은 지구 자전 매개변수의 비교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기술은 좌표계의 방향에서 10 밀리초각 이내, 회전에서 1 밀리초각/년 이내로 일치했다. 적절한 가중치를 통해, 출판된 카탈로그에 의해 정의된 좌표축은 J1991.25 시대에 외부 은하 전파 좌표계와 ±0.6 밀리초각 이내로 정렬되고, 원거리 외부 은하 천체에 대해 ±0.25 밀리초각/년 이내로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7]

''히파르코스''와 타이코 카탈로그는 '''''히파르코스''' 천구 좌표계''(HCRF)가 관측 불확실성 내에서 ''국제 천구 좌표계''(ICRF)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었다. HCRF는 광학 영역에서 국제 천구 좌표계 (ICRS)를 실체화한 것이다. 이는 J2000 (FK5) 시스템을 확장하고 개선하여 해당 시스템의 대략적인 전체 방향을 유지하지만 지역적 오류는 제거했다.[7]

6. 항성 목록

1997년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히파르코스 목록과 티코 목록이 출판되었다.[16] 히파르코스 목록은 약 118,000개의 별에 대한 정밀한 위치, 연주시차, 고유 운동 정보를 담고 있으며, 평균 정밀도는 0.001 초각 수준이다. 티코 목록은 약 100만 개 이상의 별에 대한 위치와 2색(B 및 V 밴드) 광도 측정값을 제공한다.[15] 이후, 티코 목록은 더 많은 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티코-2 목록(약 250만 개)으로 확장되었다.[17]

적위 대 적경의 히파르코스 목록에서 겉보기 등급 5보다 밝은 별의 등각 투영 도표. 분광형과 겉보기 등급별로 코딩되었으며, 현대 별자리 및 황도를 기준으로 함


히파르코스 및 티코 목록의 주요 관측 특성은 아래 표와 같다.

히파르코스 및 티코 목록의 주요 관측 특성
속성
공통
측정 기간1989.8–1993.2
목록 에포크J1991.25
기준계ICRS
ICRS와의 일치 (3축)±0.6 mas
관성에서 벗어남 (3축)±0.25 mas/yr
히파르코스 목록
항목 수118,218
관련된 측성117,955
관련된 광도 측정118,204
평균 하늘 밀도제곱도당 ≈3개
최대 등급V≈12.4 등급
완전성V=7.3–9.0 등급
티코 목록
항목 수1,058,332
티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함1,052,031
히파르코스 데이터만 사용6,301
평균 하늘 밀도제곱도당 25개
최대 등급V≈11.5 등급
90% 완전성V≈10.5 등급
99.9% 완전성V≈10.0 등급
티코-2 목록
항목 수2,539,913
평균 하늘 밀도:
b=0°에서제곱도당 ≈150개
b=±30°에서제곱도당 ≈50개
b=±90°에서제곱도당 ≈25개
90% 완전성V≈11.5 등급
99% 완전성V≈11.0 등급



최종 히파르코스 목록은 두 분석(NDAC 및 FAST 컨소시엄)을 비교하고 병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전체 하늘에서 제곱도당 평균 3개 정도의 별에 해당하는 118,218개의 항목(별 또는 다중성)을 포함한다.[12] 다섯 개의 측성 매개변수(Hp<9 등급)의 정밀도는 원래 목표를 초과했으며, 0.6~1.0 mas 사이이다. 약 20,000개의 거리는 10% 이내로, 50,000개는 20% 이내로 결정되었다. 추론된 외부 오차 대 표준 오차의 비율은 ≈1.0–1.2이며, 추정된 체계적 오차는 0.1 mas 미만이다. 23,882개의 이중성 또는 다중성이 해결되었거나 의심된다.[13]

히파르코스 및 티코-1 목록은 밀레니엄 스타 아틀라스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아틀라스는 시각 등급 11까지의 100만 개의 별과 약 10,000개의 비별 객체를 포함한다.[18]

모든 목록 데이터는 스트라스부르 천문 데이터 센터에서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6. 1. 쌍성 및 다중성

쌍성과 다중성은 천문학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관측 및 데이터 분석에 어려움이 따른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데이터 처리는 측성 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유형항목 수설명
단일성 해100,038개이 중 6,763개는 쌍성 의심으로 플래그 지정
구성 요소 해(부록 C)13,211개12,195개 해에서 24,588개 구성 요소로 구성
가속 해(부록 G)2,622개
궤도 해(부록 O)235개
변동성 유발 이동체(부록 V)288개
확률적 해(부록 X)1,561개
유효한 측성 해 없음263개이 중 218개는 쌍성 의심으로 플래그 지정



쌍성의 궤도 주기가 길어 짧은(3년) 측정 기간 동안 광도 중심의 비선형 운동이 미미했다면, 별의 이중성 특성은 히파르코스 위성에 의해 인식되지 못했을 수 있다. 그러나 지상에서 장기간 관측된 고유 운동과 히파르코스 위성의 고유 운동을 비교하여 불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차 광도 중심 운동은 7 파라미터 또는 9 파라미터 모델 적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합한 적합도가 얻어질 때까지 이러한 모델의 복잡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7개의 요소를 필요로 하는 완전한 궤도는 45개 시스템에 대해 결정되었다. 1년에 가까운 궤도 주기는 시차와 퇴화되어 두 값 모두에 대한 신뢰할 수 없는 해를 초래할 수 있다. 삼중성 또는 고차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에 추가적인 과제를 제공했다.[1]

6. 2. 광도 측정

히파르코스 위성은 주 임무인 측성 관측 외에도 Hp로 지정된 광대역 가시광선 통과 대역에서 정밀한 측광 데이터를 제공했다.[11] Hp<9 등급의 중간 측광 정밀도는 0.0015 겉보기 등급이었으며, 3.5년의 관측 기간 동안 별당 일반적으로 110개의 개별 관측이 이루어졌다. 데이터 축소 및 목록 제작 과정에서 새로운 변광성이 식별되었고, 적절한 변광성 명칭이 지정되었다. 변광성은 주기적인 변광성 또는 미해결 변광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주기적인 변광성은 주기, 변동 진폭 및 변동 유형의 추정치와 함께 발표되었다. 총 11,597개의 변광성 천체가 감지되었으며, 이 중 8,237개가 새롭게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 예를 들어, 273개의 세페이드 변광성, 186개의 RR Lyrae 변광성, 108개의 델타 방패 변광성, 917개의 식쌍성이 있다. 타이코 (및 타이코-2) 목록을 구성하는 별 지도 관측은 분광형 및 유효 온도 결정을 위해 중요한 존슨 UBV 측광 시스템에서 대략 B와 V의 두 가지 색상을 제공했다.

6. 3. 시선 속도

고전 천문 측량은 하늘 평면에서의 움직임만을 다루며, 별의 시선 속도, 즉 시선 방향을 따라가는 공간 운동은 무시한다. 별의 운동학, 따라서 별의 집단 역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지만, 시선 속도의 영향은 일반적으로 천문 측량적 측정(하늘 평면)에는 거의 감지되지 않으므로 대규모 천문 측량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시된다. 실제로는 도플러 이동을 통해 스펙트럼 선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시선 속도는 엄격한 천문 측량 공식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시선 방향을 따라가는 공간 속도는 접선 선형 속도에서 (각) 고유 운동으로의 변환이 시간의 함수임을 의미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장기적 또는 원근 가속도의 효과는 실제로 상당한 시선 방향 성분을 가진 순수한 선형 공간 속도에서 발생하는 횡 가속도로 해석되며, 위치 효과는 시차, 고유 운동, 시선 속도의 곱에 비례한다. ''히파르코스''의 정확도 수준에서는 가장 가까운 별들 중 가장 큰 시선 속도와 고유 운동을 가진 별들에게만 (미미하게) 중요하지만, 2년 동안 누적된 위치 효과가 0.1밀리초각을 초과하는 21가지 경우에 대해 고려되었다. ''히파르코스 목록'' 별들의 시선 속도는 독립적인 지상 관측 조사를 통해 현재 알려진 범위 내에서 스트라스부르 천문 데이터 센터의 천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을 수 있다.[1]

대부분의 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거리가 없다는 것은 하늘 평면에서 천문 측량적으로 이루어진 각도 측정을 일반적으로 하늘 평면에서 실제 공간 속도로 변환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천문 측량은 km/s 또는 이에 상응하는 값보다는 각도 측정(예: 1년에 초각)으로 별의 횡단 운동을 특징짓는다. 마찬가지로, 신뢰할 수 있는 시선 속도가 일반적으로 없다는 것은 횡단 공간 운동(알려진 경우)이 어쨌든 완전한 3차원 공간 속도의 한 구성 요소일 뿐임을 의미한다.

7. 과학적 성과

''히파르코스''의 결과는 천문학 연구의 매우 광범위한 범위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정확한 기준 틀 제공: 슈미트 판, 자오선환, 100년 된 천측도 등 과거 측성학적 측정을 일관되고 엄격하게 재검토하여 고정밀, 장기 고유 운동을 가진 조밀한 기준 프레임워크(타이코-2 목록)를 산출했다. 이는 미국 해군 천문대의 UCAC2 목록,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 2MASS와 같은 최근 조사의 측성 데이터를 개선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중력 렌즈 현상 측정, 이중 및 다중 별의 감지 및 특성화에도 활용되었다.
  • 별의 구조 및 별의 진화 제약 조건: 10만 개 별의 정확한 거리와 광도는 별의 내부 회전, 원소 확산, 대류 운동 및 별 지진학 연구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했다. 이론적 모델 및 기타 데이터와 결합하여 광범위한 진화 상태를 포괄하는 많은 별의 진화 질량, 반경 및 연령을 산출하는 데 기여했다.
  • 은하 운동학과 역학: 균일하고 정확한 거리와 고유 운동은 별 운동학에 대한 이해와 태양계 인근의 역학적 구조에 대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는 성단, 연관 및 이동 그룹의 존재와 진화, 은하 중앙 막대 및 나선 팔로 인한 공명 운동, 은하 회전 곡선을 설명하는 매개변수 결정, 원반과 헤일로 모집단의 식별, 헤일로 부착의 증거, 도주성 별, 구상 성단 등의 공간 운동 측정에 활용되었다.


이러한 주요 주제 외에도 ''히파르코스''는 소행성의 질량 결정, 지구 자전 및 챈들러 흔들림을 포함한 태양계 과학, 백색 왜성의 내부 구조, 갈색 왜성의 질량, 태양 외 행성과 그 모성 별의 특성화, 은하 중간면 위 태양의 높이, 우주의 나이, 별의 초기 질량 함수 및 별 형성 속도, 지구 외 지적 생명체 탐사(SETI) 전략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에 활용되었다.

''히파르코스'' 및 ''타이코'' 목록은 지상 망원경을 가리키고, 우주 임무를 탐색하며, 공공 천문관을 운영하는 데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1997년 이후, ''히파르코스'' 및 ''타이코'' 목록을 활용한 수천 편의 과학 논문이 발표되었다.[62]

히파르코스 위성의 위치 결정 정밀도로는 지구에서 약 100파섹 이내의 별까지의 거리를 비교적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었다. 이는 은하의 크기에 비하면 매우 짧은 거리이다. 또한, 별의 고유 운동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별의 추정 위치 오차가 증가하므로, 유럽 우주국의 가이아 계획과 일본 국립 천문대의 JASMINE 계획과 같은 후속 계획을 통해 더 정밀한 관측이 필요하다.

7. 1. 플레이아데스 성단 거리 논쟁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거리가 약 120파섹으로 측정된 ''히파르코스''의 결과는 최초의 목록[47]과 수정된 분석[19]을 통해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는 다른 여러 최근 연구에서 성단의 평균 거리를 약 130파섹으로 추정하면서 이의가 제기되었다.[48][49][50][51]

2012년 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불일치는 성단 내 별들의 거리와 거리 오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때 가중 평균을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가중되지 않은 평균을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되며, 성단과 관련하여 ''히파르코스'' 데이터에 체계적인 편향은 없다.[52]

2014년 8월, ''히파르코스''가 측정한 성단의 거리 120.2pc와 다른 기술로 계산된 거리 133.5pc 사이의 불일치는 VLBI를 사용한 시차 측정[53]을 통해 확인되었다. VLBI는 136.2pc의 값을 제시하여, 이 성단에 대해 지금까지 제시된 가장 정확하고 정밀한 거리를 제공했다.

7. 2. 북극성 거리 논쟁

히파르코스가 촉발한 또 다른 거리 논쟁은 북극성의 거리에 관한 것이다.

7. 3. 히파르코스-가이아

히파르코스 데이터는 최근 가이아 데이터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특히 두 우주선의 별 고유 운동 비교를 통해 숨겨진 쌍성 동반성을 찾고 있다.[54][55] 히파르코스-가이아 데이터는 준성 객체 동반성과 같은 알려진 쌍성의 역학적 질량을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56] 히파르코스-가이아 데이터는 외계행성 베타 픽토리스 b의 질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HR 5183 b와 같은 다른 장주기 외계 행성을 연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57][58]

8. 참여 인물

역할이름기관
우주 측성학 제안자 (1967년)피에르 라크루트스트라스부르 천문대
ESA 프로젝트 과학자 (1981–1997),
위성 운영 중 프로젝트 매니저 (1989–1993)
마이클 페리먼ESA
입력 카탈로그 컨소시엄 리더카트린 튀롱파리-뫼동 천문대
TDAC 컨소시엄 리더에릭 호그
NDAC 컨소시엄 리더레나르트 린데그렌룬 천문대
FAST 컨소시엄 리더장 코발레프스키
관측 프로그램 선정 위원회 의장아드리안 블라우
ESA 프로젝트 매니저 (1981–1985)프랑코 에밀리아니ESA
ESA 프로젝트 매니저 (1985–1989)하미드 하산ESA
ESA/ESOC 우주선 운영 매니저디트마어 헤거ESA/ESOC
마트라 마르코니 스페이스 프로젝트 매니저미셸 부파르마트라 마르코니 스페이스
알레니아 스파지오 프로젝트 매니저브루노 스트림알레니아 스파지오
히파르코스 과학팀: 울리 바스티안, 피에르루이지 베르나카, 미셸 크레제, 프란체스코 도나티, 미셸 그레농, 미하엘 그뢰잉, 에릭 호그, 장 코발레프스키, 플로르 판 레우엔, 레나르트 린데그렌, 한스 판 데르 마렐, 프랑수아 미냐르, 앤드루 머레이, 마이클 페리먼 (의장), 루돌프 르 풀, 한스 스크리이버, 카트린 튀롱


9. 후속 계획

히파르코스 위성의 임무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 더 정밀한 천체 관측을 위한 후속 계획이 추진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https://www.rssd.esa[...] ESA 1997-06-01
[2] 웹사이트 HIPPARCOS Satellite details 1989-062B NORAD 20169 http://www.n2yo.com/[...] N2YO 2015-06-16
[3] 서적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https://cds.cern.ch/[...] Springer-Verlag 2010
[4] 논문 Proceedings of the 13th General Assembly 1967
[5] 웹사이트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https://www.cosmos.e[...] ESA
[6] 논문 Hipparcos, The Input Catalogue https://articles.ads[...]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exico 1987
[7] 서적 Astronomical Applications of Astrometry: Ten Years of Exploitation of the Hipparcos Satellite Data https://assets.camb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2-01
[8] 논문 Properties of the Hipparcos Input Catalogue 1995
[9] 서적 Hipparcos Input Catalogue, ESA SP-1136 (7 volumes) European Space Agency 1992
[10] 논문 The Hipparcos Catalogue as a Realisation of the Extragalactic Reference Frame 1997
[11] 논문 The Hipparcos and Tycho Photometric System Passbands 2000-07-01
[12] 논문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13] 논문 Double star data in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14] 논문 The Hipparcos Mission: Photometric Data 1997
[15] 논문 The Tycho Catalogue 1997
[16] 서적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ESA Publications Division 1997
[17] 논문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2000
[18] 서적 Millennium Star Atlas Sky Publishing Corporation & European Space Agency 1997
[19] 서적 Hipparcos, the New Reduction of the Raw Data Springer, Dordrecht 2007
[20] 서적 Astronomical Applications of Astrometry: Ten Years of Exploitation of the Hipparcos Satellite Data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1] 논문 Galactic kinematics of Cepheids from Hipparcos proper motions 1997
[22] 논문 Hipparcos parallaxes and the nature of delta Scuti stars 1997
[23] 논문 Local stellar kinematics from Hipparcos data 1998
[24] 논문 Testing the white dwarf mass-radius relation with Hipparcos 1998
[25] 논문 The Hyades: distance, structure, dynamics, and age 1998
[26] 논문 Wolf-Rayet stars and O-star runaways with Hipparcos Kinematics 1998
[27] 논문 Hipparcos subdwarf parallaxes: metal-rich clusters and the thick disk 1998
[28]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red giant clump from Hipparcos data, and distance determinations based on its mean magnitude 1998
[29] 논문 Unexpected stellar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warped Galactic disk 1998
[30] 논문 The Lutz-Kelker bias in rigonometric parallaxes
[31] 논문 Refining the Oort and Galactic constants 1998
[32] 논문 Galactic disk dark matter, terrestrial impact cratering and the law of large numbers 1998
[33] 논문 Vertical motion and expansion of the Gould Belt 1999
[34] 논문 The use of gamma-ray bursts as direction and time markers in SETI strategies 1999
[35] 논문 Debris streams in the solar neighbourhood as relics from the formation of the Milky Way 1999
[36] 논문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1999
[37] 논문 Stellar encounters with the Oort Cloud based on Hipparcos data 1999
[38] 논문 Visual binary orbits and masses post Hipparcos 1999
[39] 논문 HD209458 planetary transits from Hipparcos photometry 2000
[40] 논문 Kinematics of metal-poor stars in the Galaxy. III. Formation of the stellar halo and thick disk as revealed from a large sample of non-kinematically selected stars 2000
[41] 논문 The local density of matter mapped by Hipparcos 2000
[42] 논문 Ice age epochs and the Sun's path through the Galaxy 2005
[43] 논문 Local kinematics of K and M giants from Coravel, Hipparcos, and Tycho-2 data. Revisiting the concept of superclusters 2005
[44] 논문 Combined astrometric catalogue EOC—3. An improved reference frame for long-term Earth rotation studies 2007
[45] 논문 The local stellar velocity field via vector spherical harmonics 2007
[46] 웹사이트 Search for Sun's Sibling Could Find Life's Cousin : Discovery News http://news.discover[...] News.discovery.com 2012-04-09
[47] 논문 Hipparcos distance calibrations for 9 open clusters 1999
[48] 논문 The problem of Hipparcos distances to open clusters. I. Constraints from multicolour main-sequence fitting 1998
[49] 논문 A distance of 133-137pc to the Pleiades star cluster 2004
[50] 논문 The distance to the Pleiades. Main sequence fitting in the near infrared 2005
[51] 논문 Confirmation of errors in Hipparcos parallaxes from Hubble Space Telescope FGS astrometry of the Pleiades 2005
[52] 논문 XHIP-II: Clusters and associations
[53] 논문 A VLBI resolution of the Pleiades distance controversy
[54] 논문 Stellar and substellar companions of nearby stars from Gaia DR2. Binarity from proper motion anomaly https://ui.adsabs.ha[...] 2019-03-01
[55] 논문 The Hipparcos-Gaia Catalog of Accelerations: Gaia EDR3 Edition 2021-06-01
[56] 논문 Precise Dynamical Masses of Directly Imaged Companions from Relative Astrometry, Radial Velocities, and Hipparcos-Gaia DR2 Accelerations 2019-10-01
[57] 논문 The mass of the young planet Beta Pictoris b through the astrometric motion of its host star https://ui.adsabs.ha[...] 2018-08-01
[58] 논문 An edge-on orbit for the eccentric long-period planet HR 5183 b 2022-11-01
[59] 논문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60] 논문 The Tycho Catalogue 1997
[61] 논문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2000
[62] 서적 Astronomical Applications of Astrometry: Ten Years of Exploitation of the Hipparcos Satellite Data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63] 서적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