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라인들의 중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라인들의 중독은 고대 아일랜드어로 쓰인 이야기로, 여러 필사본으로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콘호발 막 네사가 두 양아들 핀탄과 쿠 훌린에게 1년 동안 알스터의 지배권을 맡기고, 그들이 콘호발을 축하하기 위해 쿠 로이의 성으로 향하면서 겪는 사건을 다룬다. 쿠 로이는 그들을 쇠로 된 관에 가두고 불을 지르지만, 쿠 훌린의 도움으로 알스터 사람들은 탈출에 성공하고 쿠 로이의 성을 파괴한다. 이 이야기는 여러 판본과 번역본으로 존재하며, 다양한 연구와 해석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울라인들의 중독 | |
---|---|
개요 | |
제목 | 메스커 울라 (Mesca Ulad) |
유형 | 아일랜드 신화 |
언어 | 고대 아일랜드어 |
관련 | 얼스터 이야기 |
의미 | 얼스터인들의 취기 |
내용 | |
주요 내용 | 쿠 훌린을 포함한 붉은 가지 기사단의 전사들이 술에 취해 싸우는 이야기 |
특징 | 전사들의 광란과 그로 인한 비극적인 결과 묘사 |
맥락 | |
시대적 배경 | 얼스터 왕국의 영웅 시대 |
문화적 의미 | 아일랜드 전사 문화와 영웅주의, 그리고 술의 영향 강조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쿠 훌린을 포함한 붉은 가지 기사단의 전사들 |
역할 | 술에 취해 싸우는 전사들의 모습 묘사 |
2. 필사본
고대 아일랜드어와 중세 아일랜드어로 쓰여진 두 개의 판본이 존재한다. A 판본은 고대 아일랜드어로 쓰였으며 『붉은 암소의 서』에 후반부만, B 판본은 중세 아일랜드어로 쓰였으며 『렌스터의 서』에 전반부만 소장되어 있다.[2] 『레칸의 황서』나 16세기의 스코틀랜드 필사본에는 이 두 단편이 하나로 합쳐져 있다.
2. 1. 고대 아일랜드어 판본 (A)
고대 아일랜드어로 쓰여진 A 판은 레보르 나 후이드레에 후반부만 소장되어 있다.[2] 레보르 나 후이드레 19a-20b쪽(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 해당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나, 첫 번째 부분은 누락되었다.[2]2. 2. 중세 아일랜드어 판본 (B)
레인스터의 서 (LL): 261b-268b쪽 (아일랜드 왕립 아카데미)에 수록되어 있으며, 두 번째 부분이 누락된 중세 아일랜드어 판본이다.[2]G4 또는 레칸의 황색 서 (YBL): 959-972 열 (아일랜드 국립 도서관)에 수록되어 있다.
Ed. XL 또는 Adv. 72.1.40: 49-68쪽 (스코틀랜드 국립 도서관, 에든버러)
레칸의 황서나 16세기의 스코틀랜드 필사본에는 붉은 암소의 서의 후반부(고대 아일랜드어 판본, A)와 레인스터의 서의 전반부(중세 아일랜드어 판본, B)가 합쳐져 소장되어 있다.[2]
3. 판본 및 번역
다음은 "울라인들의 중독"의 판본 및 번역에 대한 정보이다.
편집자/번역자 | 판본/번역 정보 | 출판 정보 | 비고 |
---|---|---|---|
헤네시, 윌리엄 M. | 메스카 울라드: 또는 울라인들의 중독 | 토드 강좌 시리즈 1. 더블린, 1889. | LU와 LL에 기반. 엘리너 헐(편집), 아일랜드 문학 속의 쿠 훌린 사가(런던, 1898); T.P. 크로스와 C.H. 슬로버(편집), 고대 아일랜드 이야기(뉴욕, 1936)에 재수록. |
왓슨, J. 카마이클 | 메스카 울라드 | 중세 및 현대 아일랜드 시리즈 13. 더블린, 1941 (1983년 재판). | LU와 LL에 기반, YBL과 Ed. XL의 변형본 포함. [http://www.ucc.ie/celt/published/G301040 CELT에서 판본 이용 가능]. |
맥 기어랄트, 우아이테르 | "메스카 울라드의 에든버러 텍스트" | 에리우 37 (1986): 133–80. | Ed. XL에 기반. |
왓슨, J. 카마이클 | "메스카 울라드" | [https://web.archive.org/web/20010708082737/http://www.abdn.ac.uk/celtic/sgs.hti 스코틀랜드 게일 연구] 5 (1938): 1-34 | LL, LU 텍스트. (영어) |
코흐, 존 T. | 켈트 영웅 시대 | 존 T. 코흐와 존 캐리(편집). 3판. 앤도버, 2000. 106–27. | 왓슨의 판본에 기반한 임시 번역. |
간츠, 제프리 | "울라인의 중독" | 초기 아일랜드 신화와 사가. 하먼즈워스, 1981. 188–217. | (영어) |
기용바르크, C.-J. | "울라테의 취기" | 오감 12 (1960): 487-506; 13 (1961): 343-60 [또한 켈티쿰 2 (1962) 1-38에 수록] | (프랑스어) |
현존하는 판본은 두 가지로, 각각 단편이다. 고대 아일랜드어로 쓰여진 A 판은 『붉은 암소의 서』에 후반부만, 중세 아일랜드어로 쓰여진 B 판은 『렌스터의 서』에 초반부만 소장되어 있다.[2]
『레칸의 황서』나 16세기 스코틀랜드 필사본에는 이 두 단편이 하나로 합쳐져 있다.
4. 줄거리
콘호발은 양아들 핀탄과 쿠 훌린에게 1년 동안 알스터의 단독 지배권을 자신에게 맡기도록 설득한다. (두 사람은 왕으로부터 알스터의 각각 1/3을 할당받았다.)
1년이 지나고, 두 사람은 같은 날 콘호발을 축하하려고 했다. 콘호발은 밤의 전반은 핀탄과, 후반은 쿠 훌린을 만나는 것으로 결정한다.
왕들은 전차를 타고 핀탄의 성에서 쿠 훌린의 성으로 이동했지만, 심야의 어둠 속에서 길을 잃는다. 잘못하여 그들은 적대하는 왕 쿠 로이의 성으로 도착했지만, 그는 겉으로는 콘호발 등을 손님으로 환대했다. 쿠 로이는 연회를 위해 나무 판자를 붙인 쇠로 된 관으로 그들을 초대했고, 그들이 관에 들어가자 쇠사슬로 자물쇠를 채워 관에 불을 질렀다.
하지만 쿠 훌린의 도움으로 알스터 사람들은 쇠사슬을 끊는 데 성공하여 관을 탈출하고 쿠 로이의 성 테위르 루아하라[3]를 파괴했다.
5. 등장인물
콘호발은 두 양아들 핀탄과 쿠 훌린에게 1년 동안 알스터의 단독 지배권을 자신에게 맡기도록 설득했다. 1년 후, 두 사람은 같은 날 콘호발을 축하하려 했고, 콘호발은 밤의 전반은 핀탄과, 후반은 쿠 훌린을 만나기로 결정했다.
왕들은 전차를 타고 핀탄의 성에서 쿠 훌린의 성으로 이동했지만, 밤의 어둠 속에서 길을 잃었다. 그들은 적대하는 왕 쿠 로이의 성에 도착했지만, 쿠 로이는 겉으로는 콘호발 일행을 환대했다. 쿠 로이는 연회를 위해 나무 판자를 붙인 쇠로 된 관으로 그들을 초대했고, 그들이 관에 들어가자 쇠사슬로 자물쇠를 채워 관에 불을 질렀다.
하지만 쿠 훌린의 도움으로 알스터 사람들은 쇠사슬을 끊고 관을 탈출하여 쿠 로이의 성 테위르 루아하라[3]를 파괴했다.
5. 1. 주요 등장인물
- 콘호발: 알스터의 왕이다. 두 양아들 핀탄과 쿠 훌린에게 1년 동안 알스터의 단독 지배권을 자신에게 맡기도록 설득했다.[3]
- 핀탄: 콘호발의 양아들 중 한 명으로, 알스터의 1/3을 할당받았다.[3]
- 쿠 훌린: 콘호발의 또 다른 양아들로, 알스터의 1/3을 할당받았다. 쿠 로이의 성에서 탈출하여 테위르 루아하라를 파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
- 쿠 로이: 콘호발과 적대하는 왕으로, 겉으로는 콘호발 일행을 환대했지만 실제로는 그들을 쇠사슬로 묶어 불태우려 했다.[3]
5. 2. 기타 등장인물
콘호발 막 네사는 두 양아들 핀탄과 쿠 훌린에게 1년 동안 알스터의 단독 지배권을 자신에게 맡기도록 설득했다. 1년 후, 두 사람은 같은 날 콘호발을 축하하려 했고, 콘호발은 밤의 전반은 핀탄과, 후반은 쿠 훌린을 만나기로 결정했다.왕들은 전차를 타고 핀탄의 성에서 쿠 훌린의 성으로 이동했지만, 밤의 어둠 속에서 길을 잃었다. 그들은 적대하는 왕 쿠 로이의 성에 도착했지만, 쿠 로이는 겉으로는 콘호발 등을 손님으로 환대했다. 쿠 로이는 연회를 위해 나무 판자를 붙인 쇠로 된 관으로 그들을 초대했고, 그들이 관에 들어가자 쇠사슬로 자물쇠를 채워 관에 불을 질렀다.
하지만 쿠 훌린의 도움으로 알스터 사람들은 쇠사슬을 끊고 관을 탈출하여 쿠 로이의 성 테위르 루아하라를 파괴했다.[3]
6. 주제 및 해석
콘호발 알스터 왕은 두 명의 양아들 핀탄과 쿠 훌린에게 1년 동안 알스터의 단독 지배권을 자신에게 맡기도록 설득했다. (두 사람은 왕으로부터 알스터의 각각 1/3을 할당받았다.) 1년이 지나고, 두 사람은 같은 날 콘호발을 축하하려고 했다. 콘호발은 밤의 전반은 핀탄과, 후반은 쿠 훌린을 만나는 것으로 결정했다.
왕들은 전차를 타고 핀탄의 성에서 쿠 훌린의 성으로 이동했지만, 심야의 어둠 속에서 길을 잃었다. 잘못하여 그들은 적대하는 왕 쿠 로이의 성으로 도착했지만, 그는 겉으로는 콘호발 등을 손님으로 환대했다. 쿠 로이는 연회를 위해 나무 판자를 붙인 쇠로 된 관으로 그들을 초대했고, 그들이 관에 들어가자 쇠사슬로 자물쇠를 채워 관에 불을 질렀다.
하지만 쿠 훌린의 도움으로 알스터 사람들은 쇠사슬을 끊는 데 성공하여 관을 탈출하고 쿠 로이의 성 테위르 루아하라[3]를 파괴했다.
7. 2차 문헌
- 존 케리, "방언 아일랜드 학습: 세 가지 노트." ''Éigse'' 24 (1990): 37–44.
- 아인 데 파오르, "일부 《레인스터의 서》 텍스트의 공통 저자 [III. Mesca Ulad]." ''Ériu'' 9 (1923): 118–46.
- 토마스 오 콘케아닌, "''Mesca Ulad''의 필사본 전통." ''Celtica'' 19 (1987): 13–30.
- 윌리엄 세이어스, "''Táin Bó Cúailnge''와 ''Mesca Ulad''의 세 가지 전차 경주 선물: ''immorchor deland, foscul díriuch, léim dar boilg''." ''Ériu'' 32 (1981): 163–7.
- 윌리엄 세이어스, "얼스터 영웅 코날 케르나흐의 초상: 와르덴부르크 증후군 사례?" ''Emania'' 20 (2006): 75–80.
- 루돌프 튀르네이센, ''아일랜드 필사본 및 문학 기념물에 관하여. 두 번째 시리즈.'' 괴팅겐 왕립 과학 학회 논문 14.3. 베를린, 1913. ''Mesca Ulad''에 대해서는 17번 참조.
- J. 카마이클 왓슨, "''Mesca Ulad'': 후기 버전의 수정자의 기여." ''Ériu'' 13 (1940): 95-112.
참조
[1]
웹사이트
Mesca Ulad - Oxford Reference
https://www.oxfordre[...]
2019-11-22
[2]
서적
Irish Influence on Medieval Welsh Literature
[3]
서적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4]
웹인용
Mesca Ulad - Oxford Reference
https://www.oxfordre[...]
2019-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