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버린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버린아과는 족제비과의 아과로, 타이라속, 피셔속, 울버린속, 담비속을 포함한다. 타이라속은 타이라를, 피셔속은 피셔를, 울버린속은 울버린을, 담비속은 담비, 바위담비, 검은담비, 유럽소나무담비, 산달, 아메리카담비, 태평양담비, 닐기리담비 등을 포함한다. 2018년 로 등의 연구에 따르면 울버린아과는 족제비과 내에서 아메리카오소리아과, 라텔아과, 오소리아과, 족제비오소리아과, 줄무늬족제비아과, 족제비아과, 수달아과와 계통적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버린아과 - 타이라
타이라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족제비과 동물로,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 몸통과 가슴의 노란색 또는 주황색 반점이 특징이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생태계에서 해충 조절 역할을 한다.
울버린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울버린아과 정보 | |
![]()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아목 | 개아목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울버린아과 (Guloninae) |
아과 명명 | J.E.Gray, 1825 |
하위 분류 | 속 |
하위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울버린아과는 다음과 같은 속을 포함한다.
2. 1. 타이라속 (''Eira'')
타이라 (''E. barbara'')2. 2. 피셔속 (''Pekania'')
피셔(''P. pennanti'')2. 3. 울버린속 (''Gulo'')
울버린 (''G. gulo'')2. 4. 담비속 (''Martes'')
- 담비 (''M. flavigula'')
- 바위담비 (''M. foina'')
- 검은담비 (''M. zibellina'')
- 유럽소나무담비 (''M. martes'')
- 산달 또는 일본담비 (''M. melampus'')
- 아메리카담비 (''M. americana'')
- 태평양담비 (''M. caurina'')
- 닐기리담비 (''Martes gwatkinsii'')
3. 계통 분류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따르면, 울버린아과는 족제비과 내에서 족제비오소리아과와 자매군을 이루며, 줄무늬족제비아과, 족제비아과, 수달아과와 함께 분지군을 형성한다.[5] 울버린아과 내에서는 타이라속과 피셔속이 하나의 분지군을 이루고, 울버린속과 담비속이 또 다른 분지군을 이룬다.[6]
3. 1. 족제비과 내 계통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족제비과 내 계통 분류이다.[5]{| class="wikitable"
|-
! 족제비과
|-
|
{| class="wikitable"
|-
| 아메리카오소리아과
|-
|
{| class="wikitable"
|-
| 라텔아과
|-
|
{| class="wikitable"
|-
| 오소리아과
|-
|
{| class="wikitable"
|-
|
울버린아과 |
족제비오소리아과 |
|-
|
{| class="wikitable"
|-
| 줄무늬족제비아과
|-
|
|}
|}
|}
|}
|}
|}
3. 2. 울버린아과 내 계통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울버린아과의 계통 분류이다.[6]{| class="wikitable"
|-
! 울버린아과 내 계통
|-
|
{| class="wikitable"
|-
|
|-
|
|}
|-
|
{| class="wikitable"
|-
! 울버린속
|-
| 울버린
|-
! 담비속
|-
|
{| class="wikitable"
|-
| 담비
|-
|
{| class="wikitable"
|-
| 바위담비
|-
|
|-
|
|}
|}
|}
|}
|}
|}
참조
[1]
저널
Outline of an attempt at the disposition of the Mammalia into tribes and families with a list of the genera apparently appertaining to each tribe
https://books.google[...]
[2]
저널
On the correct name for some subfamilies of Mustelidae (Mammalia, Carnivora)
[3]
저널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4]
웹인용
History of Fur in Fashion: Introduction
http://www.fashionin[...]
2011-12-04
[5]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6]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