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비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비류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한 속으로, 아메리카담비, 담비, 바위담비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짧은 다리와 긴 꼬리,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털 색깔은 계절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담비류는 잡식성으로 소형 포유류, 과실 등을 먹으며, 숲에 서식하지만 일부 종은 암반이나 시가지에서도 발견된다. DNA 연구에 따르면 담비속은 울버린속, 타이라속과 함께 울버린아과를 형성하며, 2008년 연구에서는 이들을 단일 계통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담비는 과거 화폐나 문장에 사용되는 등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모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비속 - 산달
산달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담비과의 포유류로, 일본에서는 두 아종이 확인되었으며, 한국에서는 토착 개체군 존재가 불확실하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아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담비속 - 담비 (동물)
담비는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잡식성 동물로, 숲에 서식하며 나무를 잘 타고 땅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과거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으로 등재되어 있다. - 캐나다의 포유류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캐나다의 포유류 - 산비버
산비버는 다람쥐와 자매군 관계인 산비버과의 유일한 현존 종으로, 원시적인 특징으로 살아있는 화석으로도 불리며 북미 서부에 서식하는 비교적 큰 설치류이지만, 나무 훼손 습성으로 해충으로 간주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이 필요하기도 하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담비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및 서식지 | |
![]() | |
분포 지역 | M. americana + caurina: 청록색 및 청록색 M. flavigula: 진한 파란색 및 세피아색 M. foina: 녹슨 색, 갈색 및 세피아색 M. gwatkinsii M. martes: 주황색, 녹슨 색 및 풀색 M. melampus: 노란색 M. zibellina: 녹색 및 풀색 |
기본 정보 | |
학명 | Martes Pinel, 1792 |
유형 종 | Martes domestica |
유형 종 명명자 | Pinel, 1792 (= Mustela foina Erxleben, 1777) |
속 | 텐 속 Martes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쿠즈리 아과 |
화석 범위 | (마이오세-현세) |
하위 분류 | |
종 | M. americana (아메리카 텐) M. flavigula (키에리텐) M. foina (무나지 로텐) M. gwatkinsii (닐기리 키에리텐) M. martes (마쓰텐) M. melampus (니혼텐/일본 텐) M. pennanti (피셔) M. zibellina (쿠로텐/검은담비) |
종별 이미지 | |
![]() | |
![]() | |
![]() |
2. 하위 종
DNA영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담비속(''Martes'')은 일부 연구에서 ''Martes americana''를 속 밖으로 분류하고 테이라 및 울버린과 연합하여 새로운 신세계 분기도를 형성하면서 측계통군을 이룬다.[2][3] 이 속은 최대 700만 년 전 마이오세에 처음 진화했다.
이름 | 학명 | 이미지 | 분포 지역 | 아종 |
---|---|---|---|---|
아메리카담비 | Martes americana | -- | 북극 알래스카 동쪽에서 뉴펀들랜드, 남쪽으로 뉴욕까지 | |
태평양담비 | Martes caurina | -- | 알래스카 남동부에서 캘리포니아 중부까지, 동쪽으로 뉴멕시코 북부까지 | |
유럽담비 | Martes martes | -- | 유럽 및 서남아시아, 서쪽으로는 아일랜드에서 동쪽으로는 우랄 산맥, 아나톨리아, 자캅카스, 메소포타미아, 이란 북부까지 | |
바위담비 | Martes foina | -- | 서쪽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중앙 및 남부 유럽, 중동, 중앙 아시아를 거쳐 알타이 산맥, 천산 산맥, 중국 북서부까지 확장 | |
목도리담비 | Martes flavigula | -- |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의 히말라야, 한반도, 중국 남부, 대만, 러시아 동부 | |
닐기리담비 | Martes gwatkinsii | -- | 남부 인도 | |
검은담비 | Martes zibellina | -- | 러시아, 카자흐스탄 동부, 중국, 북한, 일본 홋카이도 | |
일본담비 | Martes melampus | ![]() | 일본 |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울버린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1]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 울버린아과영어
|-
|
|-
|
{| class="wikitable"
|-
| 울버린속영어 || 울버린
|-
| 담비속영어
|-
|
{| class="wikitable"
|-
| 담비
|-
|
{| class="wikitable"
|-
| 바위담비
|-
|
|-
|
|}
|}
|}
|}
|}
DNA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담비속(''Martes'')은 일부 연구에서 ''Martes americana''를 속 밖으로 분류하고 테이라 및 울버린과 연합하여 새로운 신세계 분기도를 형성하면서 측계통군을 이룬다.[2][3] 이 속은 최대 700만 년 전 마이오세에 처음 진화했다.
다음은 담비속에 속하는 종 목록이다.이름 학명 분포 지역 아종 아메리카담비 Martes americana 북극 알래스카 동쪽에서 뉴펀들랜드, 남쪽으로 뉴욕까지
|-
| 태평양담비
| ''Martes caurina''
| 알래스카 남동부에서 캘리포니아 중부까지, 동쪽으로 뉴멕시코 북부까지
|
|}
|-
| 유럽담비
| ''Martes martes''
| 유럽 및 서남아시아, 서쪽으로는 아일랜드에서 동쪽으로는 우랄 산맥, 아나톨리아, 자캅카스, 메소포타미아, 이란 북부까지
|
|}
|-
| 바위담비
| ''Martes foina''
| 서쪽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중앙 및 남부 유럽, 중동, 중앙 아시아를 거쳐 알타이 산맥, 천산 산맥, 중국 북서부까지 확장
|
|}
|-
| 목도리담비
| ''Martes flavigula''
|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의 히말라야, 한반도, 중국 남부, 대만, 러시아 동부
|
|}
|-
| 닐기리담비
| ''Martes gwatkinsii''
| 남부 인도
|
|}
|-
| 검은담비
| ''Martes zibellina''
| 러시아, 카자흐스탄 동부, 중국, 북한, 일본 홋카이도
|
|}
|-
| 일본담비
| ''Martes melampus''
| 일본
|
|}
|}
2008년에 발표된 족제비과의 핵 DNA 및 미토콘드리아 DNA의 최대 절약법, 최우도법, 베이즈법에 의한 계통 추정에서는, 울버린속 · 타이라속과는 전체적으로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26] 한편, 피셔를 포함하거나 울버린을 포함하지 않는 담비속은 가계통군으로 추정된다.[26] 이 논문에서는 족제비과 내의 아과의 부활이나 재정의도 제안하고 있으며, 그 설에 따르면 담비속 · 타이라속 · 울버린속으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으로 Martinae를 형성한다.[26] 후에 이들 속을 포함하는 아과명으로 울버린아과 Guloninae가 채택되었다.[22][27]
속내의 계통에서는 해석법에 따라 불확정적인 부분이 있으며, 유럽담비와 검은담비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의 자매군이 최대 절약법에서는 일본담비, 최우도법에서는 아메리카담비, 베이즈법에서는 이들이 3분기점으로 추정된다.[26]
4. 특징
담비류는 다리가 짧고 각 발가락에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머리는 가늘고 긴 편으로 주둥이가 길고 뾰족하다. 귀는 짧고 넓으며 꼬리는 길고 끝이 가늘다. 털 색깔은 겨울에 황색으로 변하는 것과 황갈색 그대로 있는 것 두 가지가 있다. 높은 산림지대에 살며 이른 아침이나 밤에 활동한다. 텃세권을 표시하기 위해 냄새를 묻히고 다니지만, 스컹크처럼 고약하지 않고 향긋하다. 쥐 종류와 야생조류가 주식이며, 노루, 고라니, 멧돼지, 도마뱀, 장지뱀, 개구리, 다람쥐, 두더지, 하늘다람쥐, 날다람쥐도 잡아먹고, 가을에는 과일도 잘 먹는다. 나무에 잘 오르며 매우 민첩하고 잔인하여 배가 고프지 않아도 사슴이나 산양 등 다른 동물을 해치는 습성이 있다. 번식기는 2~3월 무렵이고 임신 기간은 7주 정도로, 3~5월 무렵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
DNA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담비속(''Martes'')은 일부 연구에서 ''Martes americana''를 속 밖으로 분류하고 테이라 및 울버린과 연합하여 새로운 신세계 분기도를 형성하면서 측계통군을 이룬다.[2][3] 이 속은 최대 700만 년 전 마이오세에 처음 진화했다.
담비속에는 다음 종들이 속한다.
이름 | 학명 | 이미지 | 분포 지역 | IUCN 등급 |
---|---|---|---|---|
아메리카담비 | Martes americana | -- | 북극 알래스카 동쪽에서 뉴펀들랜드, 남쪽으로 뉴욕까지 | LC영어 |
태평양담비 | Martes caurina | -- | 알래스카 남동부에서 캘리포니아 중부까지, 동쪽으로 뉴멕시코 북부까지 | LC영어 |
유럽담비 | Martes martes | -- | 유럽 및 서남아시아, 서쪽으로는 아일랜드에서 동쪽으로는 우랄 산맥, 아나톨리아, 자캅카스, 메소포타미아, 이란 북부까지 | LC영어 |
바위담비 | Martes foina | -- | 서쪽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중앙 및 남부 유럽, 중동, 중앙 아시아를 거쳐 알타이 산맥, 천산 산맥, 중국 북서부까지 확장 | LC영어 |
목도리담비 | Martes flavigula | -- |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의 히말라야, 한반도, 중국 남부, 대만, 러시아 동부 | LC영어 |
닐기리담비 | Martes gwatkinsii | -- | 남부 인도 | VU영어 |
검은담비 | Martes zibellina | -- | 러시아, 카자흐스탄 동부, 중국, 북한, 일본 홋카이도 | LC영어 |
일본담비 | Martes melampus | 일본 | LC영어 |
4. 1. 형태
다리는 짧고 각 발가락에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머리는 가늘고 긴 편으로 주둥이가 길고 뾰족하다. 귀는 짧고 넓으며 꼬리는 길고 끝이 가늘다. 털의 색깔은 겨울에 황색으로 변하는 것과 황갈색 그대로 있는 것 두 가지가 있다. 발가락과 발가락 바닥은 털로 덮여 있다.[24] 목은 흰색이나 주황색 등 밝은 색 털로 덮여 있다.[25]치열은 앞니가 위아래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8개, 큰 어금니가 위턱 2개, 아래턱 4개로 총 38개이다.[25] 발톱은 약간 움츠릴 수 있다.[24]
4. 2. 생태
담비는 다리가 짧고 각 발가락에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머리는 가늘고 긴 편으로 주둥이가 길고 뾰족하다. 귀는 짧고 넓으며 꼬리는 길고 끝이 가늘다. 털 색깔은 겨울에 황색으로 변하는 것과 황갈색 그대로 있는 것 두 가지가 있다. 높은 산림지대에 살며 이른 아침이나 밤에 활동한다. 텃세권을 표시하기 위해 냄새를 묻히고 다니지만, 스컹크처럼 고약하지 않고 향긋하다. 쥐 종류와 야생조류가 주식이며, 노루, 고라니, 멧돼지, 도마뱀, 장지뱀, 개구리, 다람쥐, 두더지, 하늘다람쥐, 날다람쥐도 잡아먹고, 가을에는 과일도 잘 먹는다. 나무에 잘 오르며 매우 민첩하고 잔인하여 배가 고프지 않아도 사슴이나 산양 등 다른 동물을 해치는 습성이 있다. 번식기는 2~3월 무렵이고 임신 기간은 7주 정도로, 3~5월 무렵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족제비는 단독생활 동물이며, 늦봄이나 초여름에 번식을 위해서만 만난다. 최대 5마리의 눈이 멀고 털이 거의 없는 새끼는 초봄에 태어난다. 새끼는 약 두 달 후에 젖을 떼고, 약 3~4개월이 되면 어미 곁을 떠나 스스로 생존한다.[8] 잡식성이다.[9]
바위담비와 유럽담비는 동소성 지역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산다. 이러한 공간적 생태적 지위 분리는 먹이 선호도, 추운 기후에 대한 적응력, 포식자 회피와 관련된 차이 때문이다.[10] 바위담비와 유럽담비 사이의 공간적 생태적 지위 분리는 각 종의 서식지 선호도와 특정 생태계 내 자원 가용성에도 영향을 받는다. 벨라루스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유럽담비는 점토질이 풍부하고 생물 다양성이 높은 삼림에 더 밀집하여 분포하는 반면, 바위담비는 모래 토양과 같이 자원 제한이 더 큰 서식지에 적응하며, 식이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해 계절적으로 이용 가능한 열매와 썩은 고기와 같은 자원에 더 의존한다.[11] 아일랜드와 이탈리아에서 유럽담비는 자원이 풍부한 서식지 내에서 계절적으로 안정적인 행동권을 보이며, 이는 자원 풍부성이 공간적 배타성을 향상시키고 종 간의 직접적인 경쟁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2][13]
숲에 서식하지만, 흰목담비는 숲보다는 암반 등에 서식하며 시가지에도 서식한다.[24][25] 많은 종은 무리를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생활하지만,[24] 노란목도리담비는 짝 또는 가족 단위로 먹이를 잡는다.[25] 식성은 잡식성으로, 소형 포유류, 과실 등을 먹는다.[24][25]
4. 3. 먹이
국립환경과학원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담비의 배설물과 무인카메라를 통해 조사한 결과, 담비는 동물성과 식물성 먹이를 비슷한 비율로 섭취했다.[32] 동물성 먹이 중에서는 포유류가 가장 많았고, 조류, 꿀, 곤충, 양서·파충류 순으로 나타났다.[32] 특히, 담비는 꿀을 좋아해 전체 먹이의 6.2%를 차지했는데, 꿀벌의 천적인 말벌만 잡아먹었고, 먹은 말벌의 절반 이상이 여왕벌이었다.[32] 이는 담비가 말벌 개체군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식물성 먹이로는 다래, 버찌, 머루, 감, 고욤 등 달콤한 열매를 주로 먹었다.[32]
노란목도리담비는 짝 또는 가족 단위로 먹이를 잡는 반면,[25] 다른 많은 종은 무리를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생활한다.[24] 식성은 잡식성으로, 소형 포유류, 과실 등을 먹는다.[24][25]
5. 인간과의 관계
담비류의 속명 ''Martes''(마르테스)나 영명 marten(마튼)은 "텐"을 의미하며, 원래는 유럽담비나 목도리담비를 가리켰다.[30] 일본어의 텐은 한자어 貂(초, 테우)가 변하여 와전된 것이라고 생각된다.[30]
담비류의 모피는 이용되기도 한다.[24][25]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한 종도 있다.[24][25]
5. 1. 문화
18세기와 19세기에 허드슨 만 회사가 위탁한 모피 무역 기간 동안 담비 가죽은 일반적으로 장갑으로 만들어졌다. 담비는 온타리오 주 북부의 빅 트라우트 레이크 지역에서 많이 서식하며, 여전히 현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현지인들은 이 가죽에 높은 가치를 두어 일반적으로 소비재와 교환한다.중세 시대에 담비 가죽은 슬라보니아, 크로아티아 연안, 달마티아에서 지불 수단으로 매우 귀중하게 사용되었다. 마투리나는 이 담비에서 이름을 딴 세금의 한 종류였다.[14] 1235년에서 1384년 사이에 주조되어 사용된 바노바츠라는 동전에는 담비의 그림이 포함되었다. 이것이 크로아티아어로 담비를 뜻하는 단어인 '쿠나'가 크로아티아 쿠나 통화의 이름이 된 이유 중 하나이다.[15] 1993년부터 주조된 1, 2, 5 크로아티아 쿠나 동전의 앞면과 25쿠나 기념 주화의 뒷면에 담비가 묘사되어 있다.[16] 2023년 유로화가 국가 통화로 채택되면서 담비는 크로아티아 1유로 동전 앞면에 계속 묘사되고 있다.[17]
달리는 담비는 슬라보니아의 문장에, 이후에는 크로아티아의 문장의 현대적인 디자인에 묘사되어 있다. 1497년부터 18세기 말까지 크로아티아 의회의 공식 인장도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18][19]
핀란드 통신 회사 노키아는 노키안비르타 강을 거쳐 현지에서 "노키아"라고 알려진 담비의 일종에서 이름을 따왔다.[20]
《일리아스》에서 발 빠른 첩자 돌론은 담비 가죽 모자를 썼다.
헬멧의 라틴어 단어 galea|갈레아la는 원래 "담비 펠트"를 의미했지만, 초기 로마인들이 상징적인 이유로 이 헬멧을 착용했는지, 아니면 훌륭한 털 때문에 착용했는지는 불분명하다.[21]
5. 2. 모피
담비류의 모피는 이용되기도 한다.[24][25]서식지 파괴,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 등으로 인해 담비류의 개체수가 감소한 종도 있다.[24][25]
5. 3. 보존
모피가 이용되기도 한다.[24][25]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한 종도 있다.[24][25]
참조
[1]
MSW3
[2]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2005
[3]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2008-02
[4]
논문
The earliest known fisher (Mustelidae), a new species from the Rattlesnake Formation of Oregon
2012-05
[5]
논문
Mustelids from Sackdilling Cave (Bavaria, Germany) and their biostratigraphic significance
2021-10
[6]
논문
Martes nobilis Is a Synonym of Martes americana, Not an Extinct Pleistocene-Holocene Species
1991
[7]
웹사이트
Marten | 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8]
웹사이트
American Marten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4-01-21
[9]
웹사이트
marten {{!}} Siz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9-14
[10]
논문
Spatial niche segregation of sympatric Stone Marten and Pine Marten – Avoidance of competition or selection of optimal habitat?
[11]
논문
Winter ecology of the pine marten (''Martes martes'' L.) in the Volga floodplain opposite Samara.
[12]
논문
Seasonal spatial behaviour of pine marten ''Martes martes'' in a deciduous oak forest of central Italy
[13]
논문
Socio-spatial ecology of pine marten (''Martes martes'') in conifer forests, Ireland
[14]
논문
From Fur Money to Modern Currency: The Kuna
https://hrcak.srce.h[...]
2008-12-22
[15]
웹사이트
First Money — History of the Croatian Currency
http://www.hnb.hr/no[...]
Croatian National Bank
[16]
웹사이트
Kuna and Lipa, Coins of Croatia
http://www.hnb.hr/no[...]
Croatian National Bank
[17]
웹사이트
Euro coins with the national side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s://www.hnb.hr/e[...]
Croatian National Bank
2023-01-02
[18]
서적
Hrvatski nacionalni simboli
[19]
문서
Grbovnica kraljevine "Slavonije", (1895)
http://hrcak.srce.hr[...]
[20]
웹사이트
Story of Nokia
http://www.nokia.com[...]
2013-07-17
[21]
서적
Ancient Germanic warriors : warrior styles from Trajan's Column to Icelandic sagas
Routledge
2008
[22]
논문
日本産テン類の系統地理学的研究
https://doi.org/10.1[...]
日本動物分類学会
2012
[23]
서적
Martes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24]
서적
動物大百科1 食肉類
平凡社
1986
[25]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91
[26]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s://doi.org/10.1[...]
BioMed Central
2008
[27]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https://doi.org/10.1[...]
Society of Systematic Biologists
2018
[28]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29]
서적
ニルギリキエリテン
講談社
2000
[30]
서적
テン
平凡社
2021
[31]
저널 인용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32]
뉴스
http://www.hani.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