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위담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위담비는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로,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유럽담비와 유사한 외형을 지니지만, 꼬리가 더 길고, 머리가 각지며, 코 색깔이 밝다는 특징을 갖는다. 바위담비는 잡식성으로, 작은 포유류, 조류, 과일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주로 황혼과 야간에 활동한다. 13종의 아종이 존재하며, 서식지에서 굴을 파지 않고, 바위 틈이나 건물에 둥지를 튼다. 과거에는 모피 거래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자동차 부품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비속 - 산달
    산달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담비과의 포유류로, 일본에서는 두 아종이 확인되었으며, 한국에서는 토착 개체군 존재가 불확실하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아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담비속 - 담비 (동물)
    담비는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잡식성 동물로, 숲에 서식하며 나무를 잘 타고 땅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과거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으로 등재되어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포유류 - 관박쥐
    관박쥐는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며 말굽 모양 코잎을 가진 말굽박쥐과의 박쥐로, 야행성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동굴이나 민가에서 휴면 및 동면하며, 서식지 파괴와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고 한국에는 두 아종이 서식한다.
  • 아프가니스탄의 포유류 - 긴가락박쥐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며 11개의 아종이 있고, 한반도에는 중국긴가락박쥐(*M. s. chinensis*) 아종이 서식하며, 동굴이나 폐광에서 곤충을 먹고,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의 포유류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 아제르바이잔의 포유류 - 긴가락박쥐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며 11개의 아종이 있고, 한반도에는 중국긴가락박쥐(*M. s. chinensis*) 아종이 서식하며, 동굴이나 폐광에서 곤충을 먹고,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바위담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위담비
바위담비
학명Martes foina
명명자Erxleben, 1777
영어 이름Beech marten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족제비과
아과이타치아과
담비속
분포
바위담비 분포 지역
바위담비 분포 지역
보존 상태
IUCN관심 필요
IUCN 3.1LC
참고IUCN Red List

2. 계통 분류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따르면[41], 바위담비는 족제비과울버린아과에 속한다. 울버린아과 내에서 타이라속 (타이라)과 피셔속 (피셔)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울버린속 (울버린)과 담비속이 또 다른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비속 내의 계통 관계를 살펴보면, 담비가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으로 바위담비가 분기되었으며, 나머지 종들은 더 가까운 관계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은담비유럽솔담비가 하나의 자매군을 이루고, 산달아메리카담비가 또 다른 자매군을 이루며, 이 두 자매군 그룹이 서로 가장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41]

3. 진화

바위담비의 가장 유력한 조상은 구북구사향족으로 추정되며, 이는 유럽삼림담비의 조상이기도 하다. 가장 오래된 구북구사향족 화석은 레바논이스라엘의 뷔름 빙하기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 바위담비는 근동 또는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후기 홍적세나 초기 홀로세 시기에 유럽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원과 확산 시기는 제4기에 나타난 다른 대부분의 유럽 족제비과 동물들과는 다른 점이다. 유럽담비를 제외한 다른 종들은 대부분 중기 홍적세에 등장했다. 화석 기록을 통해 볼 때, 바위담비는 뷔름 빙하기 이후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2] 에게해 섬에 서식하는 바위담비 개체군은 아시아의 원시적인 특성을 간직한 유물 개체군으로 여겨진다.[3]

바위담비의 두개골은 유럽삼림담비와 비교했을 때 극육식성에 더 잘 적응한 형태를 보인다. 이는 더 작은 머리 크기, 짧은 주둥이, 더 좁은 눈구멍 뒤쪽의 수축, 그리고 어금니(협치)의 덜 발달된 모습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은 턱을 벌리는 능력은 다소 희생되었지만, 대신 무는 힘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 압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수컷 바위담비의 이러한 특성은 암컷과의 종 내 경쟁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서식지가 겹치는 유럽삼림담비와의 종 간 경쟁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발달했을 수 있다.[4]

4. 아종

Martes f. foina
(기준아종)

유럽 바위담비
Erxleben, 1777몸집은 작고 두개골은 평균 크기이다. 겨울철 등 부분 털 색깔은 밝은 회갈색부터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다. 겉털은 황갈색 또는 밤색이며, 속털은 매우 밝은 회백색이다. 옆구리와 어깨는 등보다 약간 밝고 배는 더 어둡다. 다리는 짙은 갈색이며, 목 부분의 반점은 순백색이고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러시아 유럽 지역, 서유럽 (발칸반도이베리아반도 제외)alba (Bechstein, 1801)
발칸바위담비
Martes f. bosniacaBrass, 1911발칸반도크레타바위담비
Martes f. bunitesBate, 1906유럽바위담비(M. f. foina)보다 작다. 목 부분의 반점이 뚜렷하지 않거나 없는 개체도 있다.크레타, 스코펠로스, 낙소스, 에리모밀로스, 카르파토스, 사모트라케, 세리포스, 키트노스중앙아시아바위담비
Martes f. intermediaSevertzov, 1873코카서스바위담비(M. f. nehringi)보다 작고 털 색깔이 밝다. 등 부분은 중간 정도의 짙은 회갈색이다. 옆구리는 등보다 밝지만 같은 색조를 띤다. 겉털은 짙은 황갈색이고 속털은 거의 흰색이다. 꼬리는 짙은 갈색이다. 목 부분의 반점은 매우 다양하며, 때로는 전혀 뚜렷하지 않다.중앙아시아 산악 지대 (코페트다그산맥과 발하슈호에서 타르바가타이(항가이산맥) 및 알타이까지). 구 소련 외 지역으로는 북부 이란, 아프가니스탄, 서부 파키스탄, 서부 히말라야산맥, 톈산산맥, 티베트, 북부 몽골을 포함한다.altaica (Satunin, 1914)
티베트바위담비
Martes f. kozloviOgnev, 1931동부 티베트이베리아바위담비
Martes f. mediterraneaBarrett-Hamilton, 1898유럽바위담비(M. f. foina)보다 색이 밝고 덜 칙칙하다.이베리아반도로도스바위담비
Martes f. milleriFesta, 1914로도스섬코카서스바위담비
Martes f. nehringiSatunin, 1906몸집이 크고 두개골도 크다. 겨울철 털은 짙고, 갈색 황갈색 또는 짙은 황갈색에 회색을 띤다. 옆구리는 등보다 밝고, 꼬리와 발은 짙은 갈색이다. 목 부분의 반점은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지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캅카스산맥과 인접한 튀르키예이란 지역크림바위담비
Martes f. rosanowiMartino and Martino, 1917유럽바위담비(M. f. foina)보다 작지만, 색깔은 거의 동일하다.크림반도 산악 지역시리아바위담비
Martes f. syriacaNehring, 1902기준 아종보다 두개골이 작고 색이 옅다.시리아라싸바위담비
Martes f. toufoeusHodgson, 1842라싸, 티베트


5. 형태

바위담비의 두개골, 클린턴 하트 메리엄의 ''북아메리카 족제비 요약''에 그림으로 묘사됨


바위담비의 두개골


짧은 다리와 함께 길쭉한 몸체는 바위담비가 좁은 공간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양한 목 부위 반점 변형, 레지널드 포코크의 ''영국령 인도 동물상, 실론과 버마 포함'' 2권에 그림으로 묘사됨


바위담비는 외형적으로 유럽담비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바위담비는 유럽담비보다 꼬리가 약간 더 길고, 머리가 더 길쭉하며 각진 형태를 띤다. 귀는 더 짧고 둥글며 양쪽으로 더 넓게 벌어져 있다. 코 색깔도 유럽담비의 어두운 검은색 또는 회색과 달리, 바위담비는 밝은 복숭아색 또는 회색을 띤다.[12] 발의 털도 유럽담비보다 덜 빽빽하여 발이 상대적으로 좁아 보이며, 겨울에도 발바닥 패드가 드러난다.

이러한 신체적 차이는 이동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리가 짧은 바위담비는 유럽 족제비처럼 기어 다니는 방식으로 움직이는 반면, 유럽담비와 검은담비는 주로 도약하며 이동한다.[13] 또한, 바위담비는 발의 지지 표면 1cm2당 가해지는 무게(30.9 g)가 유럽담비(15.2 g)의 두 배에 달하기 때문에, 눈이 많이 쌓이는 지역에서는 활동하기 불리하다.[22]

두개골 구조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바위담비의 두개골은 유럽담비와 유사하지만, 얼굴 부분이 더 짧고 윤곽이 더 볼록하며, 절치는 더 크고 어금니는 더 작다.[14] 수컷 바위담비의 음경은 유럽담비보다 크며, 어린 바위담비의 음경골 크기가 늙은 유럽담비의 것보다 큰 경우도 흔하다.

바위담비의 크기는 성별과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다.

바위담비의 크기[15]
구분몸길이꼬리 길이몸무게 (겨울)몸무게 (여름)
수컷430mm ~ 590mm250mm ~ 320mm1.7kg ~ 1.8kg2kg ~ 2.1kg
암컷380mm ~ 470mm230mm ~ 275mm1.1kg ~ 1.3kg1.4kg ~ 1.5kg



바위담비의 털은 유럽담비보다 거칠고 탄력이 있으며, 하모(아랫솜털)는 덜 빽빽하다. 여름철에는 털이 짧고 듬성듬성하며 거칠어지고, 꼬리 털도 성기게 난다. 전체적인 털 색깔은 유럽담비보다 밝은 편이다. 특히 하모는 유럽담비의 회색과 달리 흰색을 띤다. 꼬리는 짙은 갈색이며 등 부분은 유럽담비보다 어둡다. 바위담비의 목 부위 반점은 항상 흰색이며 크기가 크다. 이 반점은 보통 앞다리 밑부분까지 뒤로 길게 이어지며, 다리 위쪽으로 두 갈래로 뻗어 나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 배의 어두운 털 색깔은 앞다리 사이에서 가슴의 흰색 부분, 때로는 목까지 선 형태로 이어진다. 반대로 유럽담비는 앞다리 사이의 흰색 부분이 배의 어두운 색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보인다.

6. 생태

오를린치 마을(불가리아)의 농가 부속 건물에 있는 바위담비 새끼들


바위담비가 유럽수달과 싸우는 모습, ''브렘의 동물생태학''에 삽화로 실림


바위담비는 주로 황혼과 야행성 동물이며, 유럽족제비보다는 덜하지만 달빛이 밝은 밤에 특히 활동적이다. 소나무담비보다 육상 생활에 더 적응하여 나무 위 생활은 덜하지만, 숲이 울창한 지역에서는 능숙하게 나무를 탈 수 있다. 수영도 잘하며, 밤이 짧은 여름철에는 낮에도 활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땅에서 사냥하며, 눈이 많이 내릴 때는 토끼스키가 만든 길을 따라 이동한다.

스페인 북동부의 비교적 훼손되지 않은 서식지에서 한 개체의 활동 영역은 52.5ha였고, 두 곳의 활동 중심지가 기록되었다. 최대 활동 시간은 오후 6시에서 자정 사이였으며,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 사이에는 대부분 활동하지 않았다.[17] 도시 지역에서는 거의 전적으로 건물 안에 굴을 만들며, 특히 겨울철에 그렇다.[18] 바위담비는 스스로 굴을 파지 않으며 다른 동물의 굴을 점유하지도 않는다. 대신 자연적으로 생긴 암석의 틈새, 산사태로 생긴 돌 틈, 사람이 살거나 살지 않는 석조 구조물에 둥지를 튼다. 최대 9m 높이의 나무 구멍에서도 살 수 있다.[19] 바위담비는 도시의 다락방 등에도 살지만, 시골에서도 발견된다. 서식지는 유럽 전체에서 서아시아, 중앙아시아에 이른다.

발정기와 교미는 족제비와 동시에 일어나며[21], 교미는 1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20] 짝짓기는 6월에서 7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아침이나 달빛 비치는 밤에 땅이나 집 지붕에서 한다. 임신 기간은 착상 지연으로 인해 길어져, 야생에서는 236~237일, 모피 농장에서는 254~275일 동안 지속된다.[21][37] 출산은 3월 말에서 4월 초에 이루어지며, 평균적으로 3~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눈을 뜨지 못한 채 태어나며, 생후 30~36일이 되면 시력을 얻는다. 수유 기간은 40~45일이며, 7월 초가 되면 새끼는 어른과 구별하기 어려워진다.[21]

6. 1. 먹이

바위담비는 잡식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먹는다. 특히 족제비나 사향족제비와 비교했을 때 식물성 먹이를 훨씬 많이 섭취하는 특징이 있다.[22]

식물성 먹이로는 체리, 사과, , 자두, 까마귀쪽나무 열매, 토마토, 포도, 라즈베리, 마가목 열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식물성 먹이는 주로 겨울철에 중요한 먹이원이 된다.[22]

동물성 먹이로는 , 생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와 지렁이 등을 먹는다. 조류 역시 중요한 먹이 자원으로, 주로 참새와 같은 작은 새를 사냥하지만 설산닭이나 메추라기 같은 비교적 큰 새도 잡을 수 있다. 참새목, 닭목 조류 및 작은 올빼미 등의 둥지를 습격하여 알이나 새끼를 먹는 것을 선호하며, 이때 어미 새까지 함께 죽이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과 같은 가금류를 자주 공격하지는 않지만, 일부 개체는 야생 먹이가 풍부한 환경에서도 가금류를 전문적으로 습격하기도 한다.[22]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에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수컷은 암컷보다 더 큰 살아있는 먹이를 사냥하는 경향이 있으며, 암컷은 작은 먹이나 썩은 고기를 더 자주 먹는다.[4] 바위담비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해 질 녘에 먹이를 찾아 나선다.

6. 2. 천적

바위담비는 검독수리와 같은 맹금류늑대, 스라소니와 같은 대형 포유류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

7. 분포

바위담비는 유럽중앙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 서쪽으로는 스페인포르투갈에서부터 중앙유럽남유럽, 중동 및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쪽으로는 알타이 산맥과 톈산 산맥, 중국 북서부까지 분포한다. 유럽 내에서는 영국, 스칸디나비아 반도, 핀란드, 북부 발트해러시아 북부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에도 서식하며, 최근에는 미얀마 북부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1]

8. 인간과의 관계

영국의 동물학자 조지 롤레스턴은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 시대의 "집고양이"가 사실은 바위담비였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28] 해양 생물학자 잔 빌프뢰-파워는 길들여진 바위담비 두 마리를 키운 사례가 있다.[29]

바위담비는 모피 거래에서 가치 있는 동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털의 품질은 유럽담비나 검은담비에 비해 떨어진다. 옛 소련의 모피 시장에서 바위담비 가죽은 유럽담비 가죽 시장 점유율의 10~12% 정도에 불과했다. 주로 코카서스 산맥, 크리미아 일부 산지 생태계,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매우 적은 수), 중앙아시아 공화국 등에서 포획되었다. 이러한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더 가치 있는 모피 동물이 드물기 때문에 현지 시장의 사냥꾼들에게는 가치가 있다. 바위담비는 주로 발톱 덫이나 우리 덫으로 잡는다. 개를 이용한 사냥은 바위담비가 나무 구멍 등에 숨었을 때만 성공적이다.[30]

1970년대 중반 이후, 바위담비가 간혹 자동차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위담비의 공격을 받은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튜브와 케이블이 절단되어 있다. 손상된 물건을 먹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의 이유는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봄에는 담비가 자동차를 공격하는 빈도가 증가하는데, 어린 담비가 주변 환경을 더 자주 탐험하고 서식지 내 어떤 물건이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아직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31]

2016년 4월 29일과 11월 21일, 두 마리의 바위담비가 각각 LHCb 및 ALICE 실험 근처 지상에 위치한 18–66 kV 변압기에 올라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입자 가속기대형 강입자 충돌기를 멈춰 세웠다.[32][33][34] 두 번째 바위담비는 박제되어 로테르담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었다.[35]

미국 위스콘신에는 유기된 애완동물이었던 북미담비로 인해 번식 개체군이 형성되었다.[38] 이들은 특히 밀워키를 둘러싼 도시 중심부 근처, 케틀 모레인 주립 공원의 여러 숲이 우거진 고지대 지역과 인근의 월워스군, 레이신군, 워키샤군, 그리고 아마도 제퍼슨군의 삼림 지대에서도 발견된다. 북미의 바위담비는 1940년대에 벌링턴의 개인 모피 농장에서 탈출한 야생 동물들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으며,[26] 또한 1972년에 방사되거나 탈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7]

참조

[1] IUCN Martes foina 2021-11-19
[2] Harvnb 2002
[3] 저널 On the status of Martes foina bunites Bate, 1905 http://www.smallcarn[...] 2011-07-09
[4] 저널 Cranial morphology of Martes foina and M. martes (Mammalia, Carnivora, Mustelidae): The role of size and shape in sexual dimorphism and interspecific differentiation https://www.research[...] 2004
[5] MSW3
[6] Harvnb 2002
[7] Harvnb 1912
[8] Harvnb 2002
[9] Harvnb 1912
[10] Harvnb 2002
[11] 서적 The Mammals of Arabia Harrison Zoological Museum 1991
[12] Harvnb 2002
[13] Harvnb 2002
[14] Harvnb 2002
[15] Harvnb 2002
[16] Harvnb 2002
[17] 저널 Autumn home range and activity of a Stone Marten (Martes foina Erxleben, 1777) in Northeastern Spain http://www.raco.cat/[...] 1992
[18] 저널 Den preferences and denning behaviour in urban stone martens (Martes foina) 2010
[19] Harvnb 2002
[20] 저널 Conspecific recognition and mating in stone marten Martes foina http://rcin.org.pl/C[...] 1991
[21] Harvnb 2002
[22] Harvnb 2002
[23] 저널 Diet of sympatric Pine Marten (Martes martes) and Stone Marten (Martes foina) identified by genotyping of DNA from faeces http://www.sekj.org/[...] 2007
[24] 논문 Diet of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in two areas on the southern slopes of the Catalan Pyrenees 2021
[25] 논문 Prey-Base Does Not Influence Breeding Success in Eagle Owls (Bubo bubo) in Judea, Israel 2022
[26] 저널 Stone marten (Martes foina) in southeast Wisconsin, U.S.A. http://www.smallcarn[...] 2011-07-09
[27] 웹사이트 Martes foina: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http://dnr.wi.gov/to[...] 2007-07-03
[28] 서적 The Wild Cat of Europe https://archive.org/[...] HR Porter 1896
[29] 웹사이트 The 1830s seamstress who solved Aristotle's octopus mystery https://www.newscien[...]
[30] Harvnb 2002
[31] 저널 Stone martens and cars: a beginning war? http://www.smallcarn[...] 2011-07-09
[32] 뉴스 Large Hadron Collider On Paws After Creature Chews Through Wiring https://www.theguard[...] 2016-04-29
[33] 뉴스 LHC report: Stoat-ally back on track! https://cds.cern.ch/[...] 2016-05
[34] 웹사이트 LHC Morning Meeting https://indico.cern.[...] 2016-11-21
[35] 뉴스 Totally stuffed: Cern's electrocuted weasel to go on display https://www.theguard[...] 2017-01-27
[36] IUCN Martes foina 2009-03-21
[37] 서적 Wild Animals of Britain and Europe HarperCollins Publishers
[38] 웹사이트 beech marten http://itech.pjc.edu[...] 2007-07-25
[39] IUCN Martes foina 2009-03-21
[40] 저널 Cranial morphology of Martes foina and M. martes (Mammalia, Carnivora, Mustelidae): The role of size and shape in sexual dimorphism and interspecific differentiation http://www.tandfonli[...]
[41]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