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서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터 서턴은 1877년 미국에서 태어나 1916년 사망한 미국의 유전학자, 외과 의사이다. 캔자스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유전학 연구를 수행하며, 염색체가 유전 물질을 전달한다는 '염색체설'을 제시하여 유전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의사로서 외과 수술법을 개선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의료 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서턴은 급성 충수염 합병증으로 3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수염으로 죽은 사람 - 로드 던세이니
로드 던세이니는 아일랜드의 귀족이자 작가, 극작가로 환상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페가나의 신들』, 『엘프랜드 왕의 딸』 등의 작품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하고 후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체스 애호가이자 참전 용사이기도 하다. - 미국의 유전학자 - 클로드 섀넌
클로드 섀넌은 정보 이론의 창시자이자 디지털 회로 설계의 선구자로, 정보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정보 이론을 개척하고 디지털 회로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암호학, 인공지능, 컴퓨터 체스 연구에도 기여하여 현대 디지털 시대의 기반을 구축했다. - 미국의 유전학자 - 앤드루 파이어
앤드루 파이어는 이중 가닥 RNA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를 파괴하여 단백질 번역을 억제하는 RNA 간섭 현상을 크레이그 멜로와 함께 발견하여 200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물학자이며, 현재 스탠퍼드 대학교 병리학 및 유전학 교수와 미국 국립과학원 및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캔자스 대학교 동문 - 롭 리글
롭 리글은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작가이자 군인으로, 미 해병대 예비역 중령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영화와 코미디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 캔자스 대학교 동문 - 밥 돌
밥 돌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캔자스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상원 원내대표를 역임했고, 대통령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정계 은퇴 후에는 로비스트, 작가, 연설가, 자선 활동가로 활동했다.
월터 서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77년 4월 5일 |
출생지 | 미국뉴욕주유티카 |
사망일 | 1916년 11월 10일 |
사망지 | 미국캔자스주캔자스시티 |
국적 | 미국 |
학문 분야 | |
분야 | 유전학, 의학 |
연구 기관 | 해당사항 없음 |
학력 | 캔자스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지도 교수 | 클라렌스 어윈 맥클렁, 에드먼드 비 윌슨 |
주요 업적 | 보베리-서턴 염색체 이론, 수술 기법 개선 |
기타 | |
서명 | Walter sutton.jpg |
2. 생애
서턴은 동물학 박사 학위를 받지 못하고 26세에 캔자스 유전으로 돌아가 2년간 일했다. 그곳에서 고압 가스로 대형 가스 엔진을 시동하는 장치를 개선하고 깊은 우물을 위한 인양 장치를 개발했다. 이후 아버지의 권유로 1905년 컬럼비아 대학교로 돌아가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1907년 컬럼비아 의과대학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뉴욕의 루즈벨트 병원에서 조셉 블레이크 박사가 이끄는 외과 부서에서 인턴 생활을 시작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서턴은 뉴욕 주 유티카에서 태어나 캔자스 주 러셀에서 윌리엄 B. 서턴 판사와 그의 아내 아그네스 블랙 서턴 사이에서 일곱 아들 중 다섯째로 농장에서 자랐다. 농장에서 그는 농기구를 유지 보수하고 수리하면서 기계적 재능을 키웠는데, 이는 나중에 유전 시추 장비와 의료 기기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되었다.[1]러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896년 캔자스 대학교 공학부에 입학했다. 1897년 동생(존)이 장티푸스로 사망한 후, 서턴은 의학에 관심을 갖고 전공을 생물학으로 변경했다. 캔자스 대학교 재학 중, 그는 형인 윌리엄 서턴과 함께 제임스 네이스미스 박사 밑에서 농구를 했다.[1] 서턴은 파이 베타 카파와 시그마 시에 선출되고 1901년까지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모두 받으며 학생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석사 논문으로, 그는 서턴이 자란 농지에 서식하는 큰 메뚜기인 ''브라키스톨라 마그나''의 정자 형성을 연구했다.[2]
월터 서턴은 캔자스 대학교 지도교수인 C. E. 맥클렁 박사의 조언에 따라 에드먼드 B. 윌슨 박사 아래에서 동물학을 더 공부하기 위해 컬럼비아 대학교로 옮겼다.[3]
2. 2. 컬럼비아 대학교에서의 연구
C. E. 맥클렁 박사의 조언에 따라 컬럼비아 대학교로 옮겨 에드먼드 B. 윌슨 박사 아래에서 동물학을 공부했다.[3] 여기서 서턴은 유전학 분야의 두 가지 중요한 저작물인 "Brachystola magna의 염색체 그룹의 형태학에 관하여"와 "유전에서의 염색체"를 저술했다.[4] 이 연구를 통해 서턴은 "왜 누렁이가 누런지"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독일의 생물학자 테오도어 보베리도 서턴과 독립적으로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고, 그들의 개념은 보베리-서턴 염색체설이라고 불린다. 서턴의 가설은 당시 대부분의 과학자들, 특히 세포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다.[5] 토머스 헌트 모건이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 진행했고, 윌리엄 베이트슨이 1921년까지 이 이론에 의문을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1915년까지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연구를 통해 이 이론은 보편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
2. 3. 의사로서의 활동
서턴은 루스벨트 병원에서의 진료 외에도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 및 외과대학의 외과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마취 기술 개선, 복부 관개술 완벽 등 다양한 의학 및 외과 수술법을 개발하고 개선하기 시작했다.[6]1909년, 서턴은 가족이 이주하고 아버지와 형이 법률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던 캔자스시티 (캔자스주)로 돌아왔다. 서턴은 4년제 캔자스 대학교 의과대학의 외과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신생 학교에서의 불안정한 지위 때문에 그는 개인 진료를 유지하고, 세인트 마가렛 병원과 대학교의 벨 메모리얼 병원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서턴은 6년 동안 광범위한 수술을 수행하며 절차를 꼼꼼히 기록했다. 그는 루즈벨트 병원 인턴 시절부터 시작된 이러한 사례와 관련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6][7][8][9][10][11]
1911년, 그는 미국 육군 의무 예비군 초임 소위로 임관했다. 이것은 결국 1915년 2월에 파리 외곽의 미국 구급차 병원에서 봉사하기 위해 대학교에서 휴가를 받는 계기가 되었다. 서턴과 컬럼비아 대학 및 루즈벨트 병원 시절의 동료들은 쥘리 대학교에 2월 23일에 도착했는데, 이곳은 제1차 세계 대전 전선에서 불과 약 64.37km 떨어진 곳에 병원 시설이 설치된 곳이었다. 2개월 만에 그는 외과 책임자로서 수술 책임 외에도 행정 업무를 처리했다. 그는 병사들의 몸속에서 파편을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형광 투시 기술을 개발하고, 자신이 설계한 기구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발명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귀국 후, 그는 이러한 기술들을 비니의 수술 매뉴얼에 기록했다.[12] 서턴은 1915년 6월 26일 프랑스에서 귀국했는데, 4개월만 머물렀지만 전쟁 중의 의료 처치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서턴 박사는 급성 충수염 합병증으로 인해 39세의 젊은 나이에 다소 예상치 못하게 사망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1년, 월터 서턴은 미국 육군 의무 예비군 초임 소위로 임관했다.[12] 1915년 2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프랑스 파리 외곽의 미국 구급차 병원에서 봉사하기 위해 대학교에서 휴가를 받았다.[12]서턴과 그의 동료들은 2월 23일 쥘리 대학교에 도착했다. 쥘리 대학교는 제1차 세계 대전 전선에서 불과 약 64.37km 떨어진 곳에 병원 시설이 설치된 곳이었다.[12] 서턴은 외과 책임자로서 수술 책임 외에도 행정 업무를 처리했다. 그는 병사들의 몸속에서 파편을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형광 투시 기술을 개발하고, 자신이 설계한 기구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 발명 능력을 발휘했다.[12]
서턴은 1915년 6월 26일 프랑스에서 귀국했는데, 4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전쟁 중 의료 처치에 큰 공헌을 했다.[12]
3. 업적
월터 서턴은 크게 두 가지 업적을 남겼다.
- '''보베리-서턴 염색체설''': 테오도어 보베리와 함께 주장한 유전의 염색체설로, 토머스 헌트 모건의 초파리 연구를 통해 1915년에 보편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5]
- '''의료 기술 개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마취 기술, 복부 관개술 등 다양한 의료 기술을 개선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육군 의무 예비군 초임 소위로 참전하여 부상병 치료에 기여했다.[12]
3. 1. 유전의 염색체설
독일의 생물학자 테오도어 보베리는 서턴과 독립적으로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고, 그들의 개념은 종종 보베리-서턴 염색체설이라고 불린다. 서턴의 가설은 당시 대부분의 과학자들, 특히 세포학자들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졌다.[5] 토머스 헌트 모건이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계속 연구를 진행하면서, 윌리엄 베이트슨이 1921년까지 이 이론에 의문을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연구를 통해 1915년까지 이 이론은 보편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3. 2. 의료 기술 개발
월터 서턴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자신의 기계적 재능을 의료 기기 개선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캔자스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의 대학원 과정을 인정받아 1907년에 "우수한 성적"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7][8][9][10][11] 졸업 후 뉴욕의 루즈벨트 병원에서 조셉 블레이크 박사가 이끄는 외과 부서에서 인턴 생활을 했다.루즈벨트 병원에서 근무하는 동안, 서턴은 컬럼비아 의과대학 및 외과대학의 외과 연구소에서도 일하며 마취 기술, 복부 관개술 등을 개선했다.
1909년, 캔자스시티 (캔자스주)로 돌아와 캔자스 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동시에 개인 진료를 유지하며 세인트 마가렛 병원과 벨 메모리얼 병원에서도 근무했다. 6년 동안 다양한 수술을 수행하며 그 과정을 상세히 기록했고, 루즈벨트 병원 인턴 시절부터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6][7][8][9][10][11]
1911년, 미국 육군 의무 예비군 초임 소위로 임관했다. 1915년 2월,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파리 외곽의 미국 구급차 병원에서 봉사하기 위해 대학교에서 휴가를 받았다. 쥘리 대학교에 설치된 병원에서 외과 책임자로서, 병사들의 몸속 파편을 찾고 제거하기 위해 형광 투시 기술을 개발하고 자신이 설계한 기구를 활용했다.[12] 1915년 6월에 귀국하기까지 4개월 동안 전쟁 의료 처치에 큰 공헌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cientist of the Day - Walter Sutton
https://www.lindahal[...]
[2]
논문
The spermatogonial divisions of ''Brachystola magna''.. Kansas Univ. Q. 9:135-160.
1900
[3]
논문
On the morphology of the chromosome group in Brachystola magna.. Biol Bull. 4:24-39
1902
[4]
논문
The chromosomes in heredity. Biol. Bull 4:231-251
1903
[5]
웹사이트
Walter Sutton's Chromosome Theory of Heredity: One Hundred Years Later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6]
논문
Anesthesia by colonic absorption of ether. Ann. Surg. 51:457-479
1910
[7]
논문
A new incision for epithelioma of the upper and lower lips on the same side. J. Am. Med. Assoc. 55:647.
1910
[8]
논문
The proposed fistulo-enterostomy of Von Stubenrauch. Ann. Surg. 52:380-383
1910
[9]
논문
A speedometer for protoclysis apparatus. Surg. Gynecol. Obstet. 12:166-167.
1911
[10]
논문
A handy case for blood pipettes and solutions. J. Am. Med. Assoc. 56:736-738.
1911
[11]
서적
Anesthesia by colonic absorption of ether. J. T. Gwathmey's Anesthesia. Macmillan, New York, NY.
1914
[12]
서적
War Surgery. In J. F. Binnie's Manual of Operative Surgery. 7th ed., 1285-1316, Blakiston, Philadelphia, PA.
1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