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구는 1891년 캐나다인 제임스 네이스미스에 의해 고안된 실내 스포츠로,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구기 종목이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부터 여자 농구도 정식 종목이 되었다. 기본적인 규칙은 5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득점을 겨루는 것으로, 슛, 패스, 드리블 등의 기술을 활용하며, 득점은 2점 또는 3점, 자유투는 1점으로 계산된다. 농구는 개인 기술과 팀 전술의 조화가 중요하며,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파워 포워드, 센터 등 다양한 포지션이 존재한다. 국제농구연맹(FIBA)을 비롯하여, NBA, KBL 등 다양한 관련 단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내 스포츠 - 네트볼
네트볼은 농구에서 파생된 여성 구기 종목으로, 7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정해진 포지션에서 패스와 슛을 통해 득점하며, 국제 규칙과 월드컵이 존재하고 영연방 국가에서 인기가 높다. - 실내 스포츠 - 태권도
태권도는 한국의 발차기 중심 무술이자 스포츠로, 1950년대 여러 무술 도장 통합 과정에서 명칭이 확립되었으며,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발전하여 WT 태권도는 올림픽 종목, ITF 태권도는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미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올스타전
올스타전은 프로 스포츠 시즌 중반에 리그 소속 선수들이 팀을 이루어 대결하는 이벤트이며, 야구, 축구, 농구 등 다양한 종목에서 개최되고, 홈런 레이스 등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된다. - 미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스케이트보드
195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서핑의 대안으로 시작된 스케이트보드는 판자에 바퀴를 달아 타는 스포츠로, 폴리우레탄 바퀴 개발 후 부흥하여 스트릿 스케이트보딩이 주류가 되었고, 2020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단체 스포츠 - 롤러하키
롤러하키는 쿼드 스케이트, 스틱, 볼을 사용하여 상대 골대에 득점하는 스포츠이며, 1878년 영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롤러스포츠 연맹에서 규칙을 관장한다. - 단체 스포츠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농구 | |
---|---|
기본 정보 | |
![]() | |
국제 연맹 | FIBA |
별칭 | 바스켓, 농구, hoop |
기원 | 1891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 |
신체 접촉 | 제한적 |
팀 구성 | 5명 (팀당 12~15명) |
성별 | 남녀별 경기 |
경기 장소 | 실내 코트 (주로), 야외 코트(길거리 농구) |
종류 | 팀 스포츠, 구기 스포츠 |
공 | 농구공 |
올림픽 | 1904년, 1924년 하계 올림픽 시범 종목, 1936년부터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 |
패럴림픽 | 예 |
경기 규칙 및 용어 | |
관련 용어 | 농구 용어 |
역사 | |
최초 경기 날짜 | 1891년 12월 21일 |
인기 | |
세계적인 인기 |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스포츠 중 하나 |
기타 | |
주요 경기장 | 실내 코트 (주로) 또는 야외 코트(길거리 농구) |
2. 역사
19세기 후반 미국에서는 비, 눈이 오거나 추운 겨울에도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연구에 골몰하였다. 그리하여 1891년 캐나다 맥길대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YMCA 체육학교 교사로 부임한 캐나다인 제임스 네이스미스 박사가 농구를 고안하였고, 이때 정한 규칙이 현재의 농구의 원형이 되었다. 네이스미스는 뉴잉글랜드 지방에서는 겨울이 길어 야외에서 미식 축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에서 격렬하게 몸을 부딪힐 수 있는 경기를 만들고자 하였다.
처음의 농구는 실내 벽에 빈 복숭아 바구니를 달아 놓고 축구공을 던져 넣었다가 꺼내곤 하는 방식이었다. 인원 제한을 정하지 않아 약100명 가까이 참가하는 경기를 가진 고등학교도 있었으며, 바구니를 걸어놓은 2층에 있던 관객이 골을 방해하는 일도 있었다. 이후 1892년 1월 20일에 한 팀에 9명씩과 전후반 15분씩을 뛰는 농구 경기가 열렸으며, 1904년 제3회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때 미국 선수들에 의해 시범 경기가 펼쳐져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36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때에는 여자 농구도 정식 종목이 되었다.
약 150년이 지나면서 농구의 규칙은 많은 변화를 겪었는데 가장 큰 변화는 바로 '3점 슛' 룰이다. 19세기에 처음 농구가 고안되었을 때, 농구에는 3점 슛이라는 용어도 없었을 뿐더러 코트 위에 3점 슛 라인이 없었다. 하지만 20세기 초반, 더 변칙적이고 화려한 게임을 위해 NBA는 3점 슛 룰을 도입하였고 지금의 농구가 재탄생하게 되었다. 3점 슛 룰을 도입하고 나서부터 농구에는 턴 어라운드, 스텝 백 쓰리 포인터, 쓰리 포인트 버저 비터 등 더욱 더 많은 기술들이 나오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07년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초대 총무 질레트가 처음으로 소개하게 된 이래 해를 거듭하면서 발전해 왔다. 1920년 3월 20일에 일본 도쿄에서 처음으로 국제 경기를 치렀다. 한국 내의 농구는 1983년 농구대잔치가 출범하자 크게 인기를 끌며 농구 인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다. 그러다가 1997년 2월 프로농구가 출범 함으로써 농구 대잔치는 순수 아마추어 경기로 남게 되었다.
2. 1. 기원
1891년, 캐나다인 제임스 네이스미스가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의 YMCA 훈련학교(현 스프링필드 대학교)에서 실내 스포츠로 농구를 고안했다.[76][77][78][79] 당시 미국에서는 겨울철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스포츠를 연구하던 중이었고,[77][80][81] 네이스미스는 뉴잉글랜드의 긴 겨울 동안 야외에서 미식축구를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복숭아 바구니를 벽에 달아 놓고 축구공을 던져 넣는 방식을 고안했으며, 이때 정한 규칙이 현재 농구의 원형이 되었다.[7]
처음에는 바구니 바닥이 막혀있어 득점할 때마다 공을 꺼내야 했지만, 곧 바닥을 제거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14] 초기에는 인원 제한이 없었으나, 1897년에서 1898년 사이에 5명으로 구성된 팀이 표준이 되었다. 1892년 1월 20일, 최초의 공식 농구 경기가 YMCA 체육관에서 9명의 선수로 진행되었다.[17][18] 경기는 1대 0으로 끝났으며, 슛은 거리에서 이루어졌다.
1892년, 센다 베렌슨 애봇(Senda Berenson Abbott)은 여자 농구를 위한 규칙을 수정하고 도입했다.[32] 1899년, 스프링필드에서 열린 체육 훈련 회의에서 여성 농구 규칙 제정 위원회가 설립되었다.[9]
농구공은 원래 축구공으로 플레이되었으며, 끈이 없는 공 제작 방법이 발명된 후 네이스미스에 의해 승인되었다. 1950년대 후반, 토니 힌클이 현재 널리 사용되는 주황색 공을 소개했다.
1591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출판된 책 Wahrhafftige Abconterfaytung der Wildende에는 북아메리카 해안 주민들의 생활 방식과 풍습에 대한 내용과 함께 농구와 유사한 게임이 언급되어 있다.[5] "그중에는 막대기에 높이 매달린 가지로 엮은 표적에 공을 던져야 하는 기술이 필요한 게임이 설명되어 있다. 표적을 맞히면 소정의 상품이 주어진다."[6]
1891년 12월 21일, 국제 YMCA 트레이닝 스쿨에서 18명의 학생을 9명씩 두 팀으로 나누어 첫 경기가 열렸다.[90][87] 이 경기에서는 축구공을 대용했다.[88] 네이스미스는 골에 대해 45cm의 정사각형 상자를 생각했지만, 준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대신 복숭아를 넣는 바구니를 체육관 발코니에 설치하게 되었다.[90][88][89] 이때의 골 높이 10피트(3.05m)는 이후 변경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2. 국제적 발전과 프로화
농구는 1891년 캐나다인 제임스 네이스미스 박사가 고안하였으며, 초기에는 실내 벽에 복숭아 바구니를 달아 놓고 축구공을 던져 넣는 방식이었다.[19] 1892년 1월 20일에 최초의 공식 경기가 열렸고,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에서 시범 경기로 소개되며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78]

초기 농구는 미국 전역의 YMCA를 통해 확산되었으나, 거친 플레이로 인해 YMCA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아마추어 스포츠 클럽, 대학, 프로 클럽들이 빠르게 그 빈자리를 채웠다. 제임스 나이스미스는 대학 농구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제자들은 각 대학에서 농구를 발전시켰다.[19] 1901년부터 여러 대학들이 남자 농구 경기를 후원하기 시작했고, 1910년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가 설립되었다.
1932년, 국제농구연맹(FIBA)이 창설되었고,[78]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남자 농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78]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여자 농구도 정식 종목이 되었다.[78]

1920년대 미국에는 수많은 프로 농구 팀이 있었지만 조직화되지 못했다. 오리지널 셀틱스, 뉴욕 르네상스 파이브, 하렘 글로브트로터스와 같은 번스타밍 팀들이 전국을 순회하며 경기를 가졌다. 1946년, 미국 농구 협회(BAA)가 설립되었고, 1949년 NBL과 합병하여 내셔널 농구 협회(NBA)가 탄생했다. 1967년에는 ABA가 등장하여 NBA의 지배력을 위협했으나, 1976년 ABA-NBA 합병이 이루어졌다.

NBA는 조지 미칸, 빌 러셀, 윌트 체임벌린, 오스카 로버트슨, 카림 압둘 자바, 매직 존슨, 래리 버드, 마이클 조던 등 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하며 성장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드림팀"을 결성[78]하여 압도적인 강세로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에는 여자 프로농구 리그 WNBA가 설립되었다.

1989년, FIBA는 NBA 프로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를 허용했다.[31] 1990년대 이후 농구의 국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NBA에는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참가하고 있다.

FIBA 발표에 따르면 1998년 시점에서 세계 경기 인구는 약 4억 5천만 명이며, FIBA에 가맹한 국가와 지역은 2006년 8월 시점에서 213개까지 증가했다.
2. 3. 한국 농구의 역사
1907년 황성기독교청년회(현 서울YMCA) 초대 총무 질레트가 한국에 농구를 처음 소개했다. 1920년 3월 20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 1983년 농구대잔치가 출범하면서 농구 인기가 크게 증가하였고, 1997년 (KBL)가 출범하면서 농구대잔치는 아마추어 경기로 남게 되었다.조선농구협회(현 대한민국농구협회)는 1930년에 설립되었다. 2014년, 대한민국농구협회(KBA)는 FIBA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2015년에 해제되었다.
2. 4. 규칙의 변화
농구 규칙은 약 150년 동안 많은 변화를 겪었다. 초기 농구에는 3점슛 규칙이 없었으나, 20세기 초반 NBA에서 도입되면서 현대 농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12] 3점슛 규칙 도입 이후, 턴 어라운드, 스텝 백 쓰리 포인터, 쓰리 포인트 버저 비터 등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했다.[112]
주요 규칙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112][113]
- 1932년: 백패스 규칙 설정. 슈팅 파울에 대한 프리드로가 현재의 횟수로 변경됨.
- 1933년: 교체되어 코트를 떠난 선수는 이후 2회까지 다시 경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함. 유니폼 등번호는 아라비아 숫자 사용을 권장함.
- 1935년: 3초 규칙이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변경됨.
- 1938년: 필드 골 성공 후 센터 점프로 재개하는 규정이 없어지고, 엔드 라인 밖에서 스로인으로 변경됨.
- 1946년: 백보드를 코트 안쪽 현재 위치로 이동. 교체 출전 횟수 제한 없어짐. 5파울로 퇴장. 프리드로를 포기하고 아웃에서 스로인을 선택할 권리가 주어짐.
- 1954년: NBA가 24초 룰(샷클락)을 도입.
- 1956년: 샷클락(30초 룰)을 도입하고 백패스 규칙 폐지.
- 1957년: 프리드로를 포기할 수 없게 됨.
- 1965년: 일반 남녀 및 고등부 남성 경기를 20분 하프로 변경하고, 사용 공을 7호 공으로 변경. (로마 올림픽 이후 국제 규칙에 따른 규정으로 변경된 이후)
- 1973년: 백패스 규칙, 10초 규칙 부활.
- 1974년: 바스켓 카운트 원스로 부활.
- 1979년: 2개의 프리드로 중 1개라도 들어가지 않을 때 추가로 1개 더 주는 "쓰리 포 투 룰" 설정.
- 1985년: 3점슛 규칙 채택, 팀 파울 페널티가 7파울로 변경. 쓰리 포 투 룰 폐지.
- 1991년: 프리드로 없이 센터 라인 아웃에서 스로인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 폐지. 등번호가 4번부터로 변경.
- 1995년: 앨리웁이 합법적인 플레이로 인정됨. 슈팅 파울이 슈터가 바닥에 닿기 전까지 확대됨. 인텐셔널 파울이 "언스포츠맨라이크 파울"로 개명.
- 1999년: 후반전 마지막과 각 연장전 마지막 2분 동안 필드 골 성공 시 게임 클락 정지.
- 2000년: 20분 하프를 10분 쿼터 제로 변경.
- 2001년: 30초 룰에서 24초 규칙으로 변경.
- 2010년: 제한 구역을 사다리꼴에서 직사각형으로, 3점 라인을 확장. 노차지 에어리어 설정. 샷클락 14초 리셋 도입.
- 2012년: 공격 리바운드 시에도 샷클락 14초 리셋.
- 2014년: 선수의 테크니컬 파울이 2회 누적 시 실격 퇴장. 테크니컬 파울의 페널티 프리드로가 1개로 변경.
- 2018년: 공을 잡는 동시에 딛은 발을 0스텝으로 규정.
3. 경기 규칙
이하의 룰은 한국농구연맹(KBL)의 규정에 따른다.
경기의 목표는 상대편의 바스켓에 공을 던져 넣어 상대편보다 더 많은 점수를 얻는 동시에 상대편이 같은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득점을 시도하는 것을 슛이라고 한다. 성공적인 슛은 2점 또는 3점의 가치가 있다. 3점슛은 국제 경기에서는 바스켓으로부터 6.75m 이상 떨어진 3점 아크 밖에서 슛을 할 경우[40], NBA 경기에서는 23피트 9인치(약 7.24m) 밖에서 슛을 할 경우에 얻을 수 있다.[41] 파울 이후 자유투 라인에서 슛을 할 경우 1점을 얻을 수 있다. 한 팀이 필드골이나 자유투로 득점한 후에는, 득점한 곳의 엔드라인 너머 지점에서 득점하지 않은 팀에게 주어지는 '''스로인'''으로 경기가 재개된다.[42]
=== 기본 규칙 ===
농구 경기는 프로의 경우 10분(FIBA) 또는 12분(NBA)씩 4쿼터로 진행되며,[43][44] 아마추어 경기는 경기 시간에 차이가 있다. 대학 남자 경기는 20분씩 2하프로,[45] 대학 여자 경기는 10분 쿼터로,[46] 미국 고등학교 경기는 주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8분 쿼터로 진행된다.[47][48] 경기 시간은 실제 경기 시간에 따라 결정되며, 경기가 중단되면 시계가 멈추기 때문에 실제 경기 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다.
공격 제한 시간은 24초(FIBA, NBA, KBL)이며,[115][116] 공격 진행 방향에 따라 8초(FIBA, KBL) 이내에 상대편 코트로 공을 넘겨야 하는 규칙(8초 룰)도 있다.
득점은 필드 골(2점 또는 3점)과 자유투(1점)로 이루어진다. 3점슛은 국제 경기에서 바스켓으로부터 6.75m,[40] NBA 경기에서는 23피트 9인치(약 7.24m) 떨어진 3점 아크 밖에서 슛을 할 경우에 얻을 수 있다.[41]
파울에는 개인 파울과 팀 파울이 있다. 개인 파울은 푸싱, 홀딩, 트리핑, 차징, 블로킹, 해킹 등이 있으며, 일정 개수를 초과하면 상대 팀에게 자유투가 주어진다. 팀 파울은 한 쿼터에 5개(프로) 또는 전후반 각각 7개(아마추어)를 초과하면 상대 팀에게 자유투가 주어진다. 슛 동작에서의 반칙은 2개의 자유투가 허용되며, 슛이 들어가면 1개의 자유투가 추가된다. 테크니컬 파울은 선수, 코치, 응원자가 경기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를 했을 때 주어지며, 상대편 주장이 지명한 선수에게 2개의 자유투와 공격권이 주어진다.
바이얼레이션은 파울 이외의 규칙 위반으로, 워킹, 더블 드리블, 하프 라인 바이얼레이션, 라인 크로스, 아웃볼, 키킹, 오버 타임(3초, 8초, 24초) 등이 있다. 바이얼레이션이 발생하면 상대 팀에게 공격권이 넘어간다.
=== 장비 ===
농구 경기에 필요한 장비는 농구공, 코트, 선수 10명이다. 정식 경기에서는 시계, 점수표, 점수판, 교체 알림판, 시간 정지와 휘슬 장치 시스템과 같은 장비도 필요하다.
농구공은 표면이 오렌지색이어야 하며, 가죽이나 합성 재질로 된 8~12 조각으로 이어져 있어야 한다. 주입 공기는 아랫면이 1.8m 높이에서 코트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공의 윗면이 1.2~1.4m 높이까지 튀어 오르도록 조절해야 한다. 국제농구연맹(FIBA) 규격 개정에 따라 기존 갈색 8개 패널에서 갈색과 크림색 두 가지 색상의 총 12개 패널 공이 허용되어 선수와 관중에게 공의 궤적과 회전 등 시인성이 높아졌다.[106]
일반 남자 경기에서 농구공의 둘레는 75~76cm, 무게는 600~625g이다. 여자 경기에서는 둘레 72.4~73.7cm, 무게 510~567g의 공을 사용한다. 3x3에서는 6호 공의 둘레에 7호 공의 무게를 가진 전용 공이 모든 경기에서 사용된다.[61]
코트는 장애물이 없는 평평한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양 끝에 바스켓이 달려 있다. 코트 규격은 사이드라인 28m, 베이스라인 15m이다. 천장 높이는 7m 이상이어야 하며, 경계선에서 장애물까지 1m 이상, 관중석까지는 2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NBA와 NCAA에서는 코트 규격이 28.7m x 15.2m (94 x 50 ft)이다.[41]
백보드는 가로 1.8m, 세로 1.05m의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전면은 평면으로 투명해야 한다. 백보드에는 링 중앙을 중심으로 가로 59cm, 세로 45cm의 직사각형을 너비 5cm의 흰색 선으로 그려야 한다.
바스켓은 안지름 45cm인 오렌지색 철제 링 주위에 길이 40cm의 흰 실로 만든 네트를 친 것이다. 각 링은 제일 윗부분이 바닥에서 3.05m 높이에 백보드와 수직으로 부착해야 하며, 링 안쪽에서 백보드 앞면까지 가장 가까운 거리는 15cm여야 한다.
=== 팀 구성 ===
팀은 2명의 포워드, 1명의 센터, 2명의 가드 총 5명으로 구성된다.[53][54][55][56] 포워드는 상대편 바스켓에 가까이 있으면서 주요 공격자 역할을 하므로 슛에 능한 선수를 배치한다. 포워드는 파워포워드(PF)와 스몰포워드(SF)가 있으며, 파워포워드(PF)는 보통 힘이 센 사람이 맡는다. 센터(C)는 경기 시작 시 센터 서클에서 점프 볼을 해야 하므로 키 큰 선수가 맡으며, 바스켓 앞에서 방어를 하기도 한다. 가드는 자기편 바스켓 가까이에서 수비에 치중하며, 공격 시 포워드를 돕거나 직접 슛을 넣어 득점한다. 가드는 포인트가드(PG)와 슈팅가드(SG)가 있으며, 포인트가드(PG)는 팀의 지휘관 같은 역할을 하고, 슈팅가드(SG)는 3점 슛을 전문으로 쏘는 선수이다. 마이크 샤셰프스키를 포함한 많은 최고 감독들은 포지션리스 농구를 주장하며, 큰 선수들이 기술이 허락한다면 외곽슛을 쏘고 드리블할 수 있다.[62]
규칙에는 포지션이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농구 발전 과정에서 포지션이 정립되었다. 포지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포인트 가드 ( "'''1'''" ): 팀에서 가장 빠른 선수이며, 팀 공격을 조직한다.
- 슈팅 가드 ( "'''2'''" ): 장거리슛을 많이 시도하고, 수비에서는 상대 팀 최고 주변 선수를 막는다.
- 스몰 포워드 ( "'''3'''"): 컷인과 드리블 돌파를 통해 득점하며, 수비에서는 리바운드와 스틸을 노린다.
- 파워 포워드 ( "'''4'''"): 공격에서는 등을 바스켓으로 향하고 플레이하며, 수비에서는 바스켓 아래에서 또는 상대 파워 포워드를 상대로 플레이한다.
- 센터 ( "'''5'''"): 키와 체격을 이용하여 득점(공격)하거나 바스켓을 보호(수비)하거나 리바운드를 잡는다.
위의 설명은 유동적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팀에서 슈팅 가드와 스몰 포워드는 '''윙'''이라고 불리고, 파워 포워드와 센터도 '''포스트 플레이어'''라고 불린다.
어느 팀도 선수가 5명 미만으로 줄어들 수는 없다.[53][54][55][56] 경기 중 선수가 5번 반칙으로 퇴장 당해야 할 때 교대선수가 모두 5번 반칙으로 물러난 상황이라면, 바로 전에 5개 파울로 물러난 선수와 교체해야 한다. 최소 경기 개시 예정시간 20분 전에 선수 12명의 이름과 번호가 기록원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스타팅 라인업이 표시돼 있어야 한다. 각 팀 주장은 타임아웃 시간 중에 심판에게 질의할 수 있다.
경기 담당 심판은 주심 1명과 부심 2명으로 구성된다.[44][43] 주심과 부심은 코트를 대각선으로 2등분하여 규칙을 적용하며, 기록원 1명과 숙련된 계시원 2명의 보조를 받는다. 심판(오피셜즈)은 2명 또는 3명으로 구성되며, 주최측에서 결정한다. 이 외에도 심판을 보조하고 득점을 기록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테이블 오피셜즈(TO) 4명이 있다.
코트 위에 있는 선수는 선수, 벤치에 있는 선수는 교체 선수로 구분된다. FIBA(국제농구연맹)가 관리하는 대회에서는 각 팀의 벤치에는 최대 12명의 선수가 있을 수 있으며, 선수 5명, 교체 선수 최대 7명이다. 국내 대회에서는 주최측이 대회 요강에서 규정하며, 12명 또는 15명이 일반적이다. 선수 교체는 게임 클락이 멈춰 있을 때 허용된다. 자유투의 경우에는 첫 번째 자유투가 던져지기 전이나 마지막 자유투가 성공했을 때 허용된다. 또한, 교체는 어느 팀에게나 허용되지만, 4쿼터 종료 2분 전에는 득점한 팀은 슛 성공 시 교체할 수 없다. 단, 득점을 허용한 팀이 교체를 했을 경우에는 득점한 팀도 교체가 가능하다. 교체 선수는 몇 번이든 선수로서 게임에 복귀할 수 있다. 단, 파울 5개를 범했거나 악성 파울(반칙퇴장)로 실격·퇴장된 경우에는 다시 선수로서 게임에 복귀할 수 없다.
3. 1. 기본 규칙
농구 경기는 프로의 경우 10분(FIBA) 또는 12분(NBA)씩 4쿼터로 진행되며,[43][44] 아마추어 경기는 경기 시간에 차이가 있다. 대학 남자 경기는 20분씩 2하프로,[45] 대학 여자 경기는 10분 쿼터로,[46] 미국 고등학교 경기는 주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8분 쿼터로 진행된다.[47][48] 경기 시간은 실제 경기 시간에 따라 결정되며, 경기가 중단되면 시계가 멈추기 때문에 실제 경기 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다.공격 제한 시간은 24초(FIBA, NBA, KBL)이며,[115][116] 공격 진행 방향에 따라 8초(FIBA, KBL) 이내에 상대편 코트로 공을 넘겨야 하는 규칙(8초 룰)도 있다.
득점은 필드 골(2점 또는 3점)과 자유투(1점)로 이루어진다. 3점슛은 국제 경기에서 바스켓으로부터 6.75m,[40] NBA 경기에서는 23피트 9인치(약 7.24m) 떨어진 3점 아크 밖에서 슛을 할 경우에 얻을 수 있다.[41]
파울에는 개인 파울과 팀 파울이 있다. 개인 파울은 푸싱, 홀딩, 트리핑, 차징, 블로킹, 해킹 등이 있으며, 일정 개수를 초과하면 상대 팀에게 자유투가 주어진다. 팀 파울은 한 쿼터에 5개(프로) 또는 전후반 각각 7개(아마추어)를 초과하면 상대 팀에게 자유투가 주어진다. 슛 동작에서의 반칙은 2개의 자유투가 허용되며, 슛이 들어가면 1개의 자유투가 추가된다. 테크니컬 파울은 선수, 코치, 응원자가 경기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를 했을 때 주어지며, 상대편 주장이 지명한 선수에게 2개의 자유투와 공격권이 주어진다.
바이얼레이션은 파울 이외의 규칙 위반으로, 워킹, 더블 드리블, 하프 라인 바이얼레이션, 라인 크로스, 아웃볼, 키킹, 오버 타임(3초, 8초, 24초) 등이 있다. 바이얼레이션이 발생하면 상대 팀에게 공격권이 넘어간다.
3. 2. 장비
농구 경기에 필요한 장비는 농구공, 코트, 선수 10명이다. 정식 경기에서는 시계, 점수표, 점수판, 교체 알림판, 시간 정지와 휘슬 장치 시스템과 같은 장비도 필요하다.농구공은 표면이 오렌지색이어야 하며, 가죽이나 합성 재질로 된 8~12 조각으로 이어져 있어야 한다. 주입 공기는 아랫면이 1.8m 높이에서 코트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공의 윗면이 1.2~1.4m 높이까지 튀어 오르도록 조절해야 한다. 국제농구연맹(FIBA) 규격 개정에 따라 기존 갈색 8개 패널에서 갈색과 크림색 두 가지 색상의 총 12개 패널 공이 허용되어 선수와 관중에게 공의 궤적과 회전 등 시인성이 높아졌다.[106]
|thumb|200px|right|2020-2021 시즌까지의 NBA 공식 경기구]]
일반 남자 경기에서 농구공의 둘레는 75~76cm, 무게는 600~625g이다. 여자 경기에서는 둘레 72.4~73.7cm, 무게 510~567g의 공을 사용한다. 3x3에서는 6호 공의 둘레에 7호 공의 무게를 가진 전용 공이 모든 경기에서 사용된다.[61]
코트는 장애물이 없는 평평한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양 끝에 바스켓이 달려 있다. 코트 규격은 사이드라인 28m, 베이스라인 15m이다. 천장 높이는 7m 이상이어야 하며, 경계선에서 장애물까지 1m 이상, 관중석까지는 2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NBA와 NCAA에서는 코트 규격이 28.7m x 15.2m (94 x 50 ft)이다.[41]
백보드는 가로 1.8m, 세로 1.05m의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전면은 평면으로 투명해야 한다. 백보드에는 링 중앙을 중심으로 가로 59cm, 세로 45cm의 직사각형을 너비 5cm의 흰색 선으로 그려야 한다.
바스켓은 안지름 45cm인 오렌지색 철제 링 주위에 길이 40cm의 흰 실로 만든 네트를 친 것이다. 각 링은 제일 윗부분이 바닥에서 3.05m 높이에 백보드와 수직으로 부착해야 하며, 링 안쪽에서 백보드 앞면까지 가장 가까운 거리는 15cm여야 한다.
3. 3. 팀 구성
팀은 2명의 포워드, 1명의 센터, 2명의 가드 총 5명으로 구성된다.[53][54][55][56] 포워드는 상대편 바스켓에 가까이 있으면서 주요 공격자 역할을 하므로 슛에 능한 선수를 배치한다. 포워드는 파워포워드(PF)와 스몰포워드(SF)가 있으며, 파워포워드(PF)는 보통 힘이 센 사람이 맡는다. 센터(C)는 경기 시작 시 센터 서클에서 점프 볼을 해야 하므로 키 큰 선수가 맡으며, 바스켓 앞에서 방어를 하기도 한다. 가드는 자기편 바스켓 가까이에서 수비에 치중하며, 공격 시 포워드를 돕거나 직접 슛을 넣어 득점한다. 가드는 포인트가드(PG)와 슈팅가드(SG)가 있으며, 포인트가드(PG)는 팀의 지휘관 같은 역할을 하고, 슈팅가드(SG)는 3점 슛을 전문으로 쏘는 선수이다. 마이크 샤셰프스키를 포함한 많은 최고 감독들은 포지션리스 농구를 주장하며, 큰 선수들이 기술이 허락한다면 외곽슛을 쏘고 드리블할 수 있다.[62]규칙에는 포지션이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농구 발전 과정에서 포지션이 정립되었다. 포지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포인트 가드 ( "'''1'''" ): 팀에서 가장 빠른 선수이며, 팀 공격을 조직한다.
- 슈팅 가드 ( "'''2'''" ): 장거리슛을 많이 시도하고, 수비에서는 상대 팀 최고 주변 선수를 막는다.
- 스몰 포워드 ( "'''3'''"): 컷인과 드리블 돌파를 통해 득점하며, 수비에서는 리바운드와 스틸을 노린다.
- 파워 포워드 ( "'''4'''"): 공격에서는 등을 바스켓으로 향하고 플레이하며, 수비에서는 바스켓 아래에서 또는 상대 파워 포워드를 상대로 플레이한다.
- 센터 ( "'''5'''"): 키와 체격을 이용하여 득점(공격)하거나 바스켓을 보호(수비)하거나 리바운드를 잡는다.
위의 설명은 유동적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팀에서 슈팅 가드와 스몰 포워드는 '''윙'''이라고 불리고, 파워 포워드와 센터도 '''포스트 플레이어'''라고 불린다.
어느 팀도 선수가 5명 미만으로 줄어들 수는 없다.[53][54][55][56] 경기 중 선수가 5번 반칙으로 퇴장 당해야 할 때 교대선수가 모두 5번 반칙으로 물러난 상황이라면, 바로 전에 5개 파울로 물러난 선수와 교체해야 한다. 최소 경기 개시 예정시간 20분 전에 선수 12명의 이름과 번호가 기록원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스타팅 라인업이 표시돼 있어야 한다. 각 팀 주장은 타임아웃 시간 중에 심판에게 질의할 수 있다.
경기 담당 심판은 주심 1명과 부심 2명으로 구성된다.[44][43] 주심과 부심은 코트를 대각선으로 2등분하여 규칙을 적용하며, 기록원 1명과 숙련된 계시원 2명의 보조를 받는다. 심판(오피셜즈)은 2명 또는 3명으로 구성되며, 주최측에서 결정한다. 이 외에도 심판을 보조하고 득점을 기록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테이블 오피셜즈(TO) 4명이 있다.
코트 위에 있는 선수는 선수, 벤치에 있는 선수는 교체 선수로 구분된다. FIBA(국제농구연맹)가 관리하는 대회에서는 각 팀의 벤치에는 최대 12명의 선수가 있을 수 있으며, 선수 5명, 교체 선수 최대 7명이다. 국내 대회에서는 주최측이 대회 요강에서 규정하며, 12명 또는 15명이 일반적이다. 선수 교체는 게임 클락이 멈춰 있을 때 허용된다. 자유투의 경우에는 첫 번째 자유투가 던져지기 전이나 마지막 자유투가 성공했을 때 허용된다. 또한, 교체는 어느 팀에게나 허용되지만, 4쿼터 종료 2분 전에는 득점한 팀은 슛 성공 시 교체할 수 없다. 단, 득점을 허용한 팀이 교체를 했을 경우에는 득점한 팀도 교체가 가능하다. 교체 선수는 몇 번이든 선수로서 게임에 복귀할 수 있다. 단, 파울 5개를 범했거나 악성 파울(반칙퇴장)로 실격·퇴장된 경우에는 다시 선수로서 게임에 복귀할 수 없다.
4. 기본 기술
4. 1. 개인 기술
농구의 개인 기술은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팀에 기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이다.'''캐치'''는 농구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로, 공의 방향으로 두 손을 내밀어 잡는 순간 끌어당기는 동작으로 공을 잡아야 한다.
'''패스'''는 2명 이상의 경기자가 공을 주고 받으며 상대편을 혼란시켜 득점 기회를 노리는 기술이다. 체스트 패스는 패스한 발을 내딛으며 공을 가슴 앞에서 마루와 평형이 되도록 밀어 던진다. 언더핸드 패스는 상대가 접근했을 때, 한 발을 옆으로 옮기면서 허리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리듯이 던진다. 오버헤드 패스는 공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고 한 발을 옆으로 내디디면서 손목의 반동 이용하여 던진다. 숄더 패스는 공을 어깨 위에서 한 손으로 던지는데, 회전시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바운드 패스는 공을 땅 위에 바운드시켜 던져 보낸다. 훅 패스는 한 발로 점프하여 공을 몸 옆에서 들어 머리 위로 옮겨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반원을 그리듯이 던진다.
'''드리블'''은 공을 바닥에 튀기면서 위치를 변화시켜, 혼자서 경기 상황을 유리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패스나 슛이 불가능할 때 주로 실시한다. 높은 드리블은 빠른 공격을 위한 드리블로 스피드가 필요할 때 쓰인다. 상체를 약간 앞으로 굽히고 손가락을 벌려, 달리면서 드리블한다. 낮은 드리블은 수비자가 공을 빼앗으려 할 때, 또는 밀집된 지역 안에서 공을 안전하게 몰고 갈 때 하는 드리블이다.
'''슛'''은 드리블이나 패스 이후에 바로 득점과 연결시키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세트 슛은 몸의 동작을 정지한 채 실시하는 슛이다. 먼 거리에서 두 손으로 하는 '체스트 슛'과 가까운 거리에서 한 손으로 하는 '원핸드 슛'이 있다. 점프 슛은 상대편의 수비를 피하여 높이 뛰어올라 실시하는 슛이다. 러닝 슛은 밀집된 수비 지역을 뚫고 들어가거나, 속공으로 달리면서 한 발로 뛰어올라 실시하는 슛이다. 덩크 슛은 높이 뛰어올라 공을 바스켓보다 높은 위치에서 내리꽂듯이 실시하는 슛이다.

'''풋워크'''는 발을 놀리는 기술이다. 농구 경기는 진행속도와 공의 이동이 빠른 경기이기 때문에, 빠른 동작과 세밀한 기교가 요구된다. 스타트와 정지는 가장 기본이 되는 동작으로, 항상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순간적으로 빠른 스타트와 정지, 또는 방향 전환을 해야한다. 피벗은 한쪽 발 앞부분을 마루에서 떼지 않고 축으로 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공격자의 풋워크, 사이드 스텝은 패스를 하거나 드리블로 공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좌우로 이동하며 공격자의 스텝을 막는 수비자의 풋워크이다.
'''리바운드'''는 공이 바스켓의 언저리에 맞고 되돌아 나오는 것을 높이 뛰어올라 잡아 내는 기술이다.

'''스틸'''은 상대가 공을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가까이다가가서공을 쳐내서 빼았는 기술이다.
'''블록'''은 슛이 시도된 후, 수비수가 공에 닿아 슛을 막는 행위를 말합니다.
4. 2. 팀 전술
농구의 팀 전술은 크게 공격과 수비로 나눌 수 있다.공격 전술은 상대편의 수비 태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지공법과 속공법이 있다. '''지공법'''은 상대편이 완전히 수비 태세를 갖추어 쉽게 바스켓 밑으로 공격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한다. 컷인 플레이, 스크린 플레이, 롤링 플레이 등이 있다. 컷인 플레이는 상대편 수비가 적극 수비를 펼 때 옆에 있는 공격자에게 공을 패스하여 순간적으로 상대를 떼어 놓고 바스켓 쪽으로 뛰어들면서 공을 되받아 공격하는 방식이다. 스크린 플레이는 2명 이상의 공격자가 협력하여 상대편의 수비를 차단시켜 다른 공격자 1명이 자유롭게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롤링 플레이는 5명의 경기자가 자기 위치에 관계 없이 자리를 넓게 잡고, 패스와 드리블로 공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속공법'''은 상대가 수비 태세를 갖추기 전에 재빨리 공격하는 방법으로, 인터셉트한 공이나 리바운드 공을 잡았을 때 시도한다.
수비 전술에는 크게 대인 방어와 지역 방어가 있다. '''대인 방어'''(man-to-man defence)는 수비자 전원이 공과 상대편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각자 한 사람씩 적극적으로 수비하는 방식이다. 이 전법은 상대편이 스크린 플레이를 하면 상대 선수를 놓치는 결점이 있을 수 있다. 대인 방어는 코트 전체에서 수비를 하는 올 코트 프레싱(all court pressing)과 본인팀의 수비 진영에서만 수비를 하는 하프 코트 프레싱(half court pressing)이 있다. '''지역 방어'''(zone defence)는 공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 지역을 수비하는 방법이다. 이 전법은 전체의 움직임이 대체적으로 일정하고 무리가 없기 때문에 속공에 편리하지만, 대인 방어처럼 수비하는 상대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 선수의 습관이나 특기 등을 알아두어야 한다.
변칙적인 수비법으로는 다이아몬드 앤드 원(diamond and one)과 트라이앵글 투(triangle two) 수비법이 있다. 다이아몬드 앤드 원은 한 명이 맨투맨, 나머지 네 명이 마름모꼴(1-2-1) 존에서 수비하는 것이다. 트라이앵글 투는 두 명이 맨투맨, 나머지 세 명이 삼각형 존에서 수비하는 것이다.
5. 농구 포지션
농구에서 팀은 5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특정한 포지션을 맡는다. 규칙에는 포지션이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농구의 발전 과정에서 포지션이 정립되었다.[62]
- '''포인트 가드(PG)''' (1번): 팀의 공격을 조율하고 지시하는 역할인 게임 메이커이다.[124] 주로 공을 운반하고, 패스를 하거나 지시를 내린다.[124]
- '''슈팅 가드(SG)''' (2번): 장거리 슛과 돌파를 통해 득점하는 역할이다.[124] 포인트 가드를 보조하거나, 스몰 포워드처럼 공격하기도 한다.[124]
- '''스몰 포워드(SF)''' (3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포지션이다.[124] 유연한 플레이가 요구되며, 슈터 타입부터 인사이드 타입까지 다양한 플레이 스타일이 존재한다.[124]
- '''파워 포워드(PF)''' (4번): 골밑 슛, 리바운드, 스크린 등 힘을 쓰는 역할을 한다.[124]
- '''센터(C)''' (5번): 골밑 득점, 수비, 리바운드를 담당하는 키가 큰 선수이다.[124]
마이크 샤셰프스키를 포함한 많은 최고 감독들은 포지션에 얽매이지 않고, 큰 선수들이 기술이 허락한다면 외곽슛을 쏘고 드리블할 수 있는 포지션리스 농구를 주장하기도 한다.[62]
슈팅 가드와 스몰 포워드는 매우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여 '''윙'''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파워 포워드와 센터는 '''포스트 플레이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특수 포지션으로는 다음과 같은 포지션이 있다.
- '''콤보 가드''': 포인트 가드와 슈팅 가드를 겸하는 선수
- '''포인트 포워드''': 포워드이면서 포인트 가드의 역할을 하는 선수 (예: 매직 존슨, 르브론 제임스)[125]
- '''가드 포워드/스윙맨''': 슈팅 가드와 포워드를 겸하는 선수
- '''스트레치 포워드''': 콤보 포워드
- '''포워드 센터''': 포워드와 센터를 겸하는 선수
스테픈 커리가 이끄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가 2014-2015 NBA 시즌에서 우승하면서, 2010년대 후반부터는 어떤 포지션이든 3점슛을 성공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샤킬 오닐은 "3점슛은 빅맨이 할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하기도 했다.[126]
田臥勇太는 2021년 인터뷰에서 NBA에서 포지션 개념이 없어지고 있으며, 빅맨에게도 다양한 기술이 요구되는 현대 농구의 변화에 대해 언급했다.
6. 농구 용어
농구 경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들은 공격, 수비, 그리고 기록과 관련된 여러 범주로 나눌 수 있다.
공격 관련 용어로는, 더블 드리블은 드리블을 한 번 끝낸 후 다시 드리블하거나 양손으로 공을 잡는 반칙이다. 레이업슛은 골대 근처에서 위쪽으로 하는 슛을, 클린 슛은 던진 공이 링에 닿지 않고 바스켓에 들어가는 슛을 의미한다. 맨투맨 디펜스는 각 선수가 상대 선수 한 명씩을 전담하여 수비하는 방식이고, 존 디펜스는 수비 위치를 미리 정해두는 지역 방어이다. 트래블링은 공을 가지고 3보 이상 걷는 반칙 행위이며, 피벗은 한 발을 축으로 다른 발을 움직여 상대 수비를 피하는 동작이다.
수비 용어에서, 바이얼레이션은 파울 이외의 규칙 위반으로 상대편에게 공격권을 넘겨주게 된다. 헬드 볼은 양 팀 선수가 동시에 공을 잡거나 공격자가 5초 이상 상대의 근접 마크로 플레이를 못할 때 선언되며, 심판은 점프 볼을 지시한다.
기록과 관련하여, 더블 더블은 득점, 어시스트, 리바운드, 블록슛, 스틸 중 두 가지 항목에서 10점(개) 이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트리플 더블은 세 가지 항목, 쿼드러플 더블은 네 가지 항목에서 10점(개) 이상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3점 라인은 바스켓 중심점으로부터 6.25m 반지름의 반원으로, 이 선 밖에서 슛을 성공하면 3점을 얻는다. 3초 룰은 공격 팀 선수가 상대편 프리스로 라인 안에서 3초 이상 머무를 수 없다는 규칙이다.
7. 관련 단체
국제 농구 연맹(FIBA)은 전 세계 농구 대회를 관장하는 국제 기구이다. FIBA 아프리카, FIBA 아메리카, FIBA 오세아니아, FIBA 유럽, FIBA 아시아 등 대륙별 연맹이 있다. USA 농구는 FIBA 아메리카 소속이다. 일본농구협회(JBA)는 FIBA 아시아 소속이며, 산하에 일본프로농구리그(B.LEAGUE), 일본농구리그(B3.LEAGUE), 일본여자농구리그(W LEAGUE) 등을 두고 있다.
전미 농구 협회(NBA)는 미국의 프로 농구 리그이며, 여자 미국프로농구(WNBA)는 미국의 여자 프로 농구 리그이다. 컨티넨탈 농구 협회(CBA)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농구 리그이다.
한국의 경우 대한민국농구협회(KBA)가 FIBA 아시아에 소속되어 있으며, 프로 리그로는 한국농구연맹(KBL)과 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이 있다. 중국농구협회 역시 FIBA 아시아 소속이다.
그 외에도 국제휠체어농구연맹(IWBF), 국제농아농구연맹(DIBF) 등의 단체가 있다.
참조
[1]
뉴스
The Canadian who invented basketball
https://www.bbc.co.u[...]
2010-09-20
[2]
웹사이트
Ranking The Top 10 Most Popular Sports In The World in 2023
https://sportsvirsa.[...]
2023-01-03
[3]
간행물
The Surge of the NBA's International Viewership and Popularity
https://www.forbes.c[...]
2012-06-14
[4]
웹사이트
REVEALED: The world's best paid teams, Man City close in on Barca and Real Madrid
http://www.sportingi[...]
Sporting Intelligence
2012-05-01
[5]
서적
korgboll
https://runeberg.org[...]
Förlagsaktiebolaget A. Sohlman & Co
[6]
서적
Wahrhafftige Abconterfaytung der Wilden
https://www.deutsche[...]
J. Feyerabend & J. Wechel
[7]
웹사이트
YMCA International – World Alliance of YMCAs: Basketball : a YMCA Invention
http://www.ymca.int/[...]
[8]
뉴스
The Greatest Canadian Invention
http://www.cbc.ca/in[...]
[9]
서적
Basket Ball for Women
https://archive.org/[...]
American Sports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0]
웹사이트
Leather Head Naismith Style Lace Up Basketball
https://www.nytimes.[...]
2016-08-28
[11]
Youtube
Passion Drives Creation – Jeep® & USA Basketball
https://www.youtube.[...]
2012-07-16
[12]
특허
Inflatable ball
https://patents.goog[...]
[13]
서적
Basketball : its origin and development
Association Press
1941
[14]
웹사이트
James Naismith Biography
http://www.naismithm[...]
2007-02-14
[15]
웹사이트
Basketball
https://web.archive.[...]
2009-01-20
[16]
웹사이트
Newly found documents shed light on basketball's birth
https://www.espn.com[...]
2006-11-14
[17]
웹사이트
Basketball
http://www.olympic.o[...]
2010-06-26
[18]
뉴스
Newly found documents shed light on basketball's birth
https://www.espn.com[...]
ESPN
2006-11-13
[19]
뉴스
Grandson of basketball's inventor brings game's exhibit to Geneva College
http://www.postgazet[...]
2010-04-15
[20]
웹사이트
Hamline University Athletics: Hutton Arena
http://www.hamline.e[...]
Hamline.edu
1937-01-04
[21]
웹사이트
1st Ever Public Basketball Game Played...
http://www.rarenewsp[...]
[22]
웹사이트
1st Ever Public Basketball Game Played
http://www.rarenewsp[...]
1892-03-12
[23]
간행물
105 years of Canadian university basketball
http://www.cisport.c[...]
1904-02-16
[24]
웹사이트
2008–09 High School Athletics Participation Survey
https://wayback.arch[...]
NFHS
[25]
웹사이트
2016–17 High School Athletics Participation Survey
http://www.nfhs.org/[...]
National Federation of State High School Associations
[26]
웹사이트
National Interscholastic Basketball Tournament – hoopedeia.nba.com – Retrieved September 13, 2009
http://hoopedia.nba.[...]
Hoopedia.nba.com
[27]
웹사이트
National Catholic Interscholastic Basketball Tournament, 1924–1941 – hoopedia.nba.com – Retrieved September 13, 2009
http://hoopedia.nba.[...]
Hoopedia.nba.com
1941-12-07
[28]
웹사이트
National Catholic Invitations Basketball Tournament – hoopedia.nba.com – Retrieved September 13, 2009
http://hoopedia.nba.[...]
Hoopedia.nba.com
[29]
웹사이트
– National Interscholastic Basketball Tournament for Black High Schools, 1929–1942 – Retrieved September 13, 2009
http://hoopedia.nba.[...]
Hoopedia.nba.com
[30]
웹사이트
National Invitational Interscholastic Basketball Tournament – hoopedia.nba.com – Retrieved September 13, 2009
http://hoopedia.nba.[...]
Hoopedia.nba.com
[31]
뉴스
Three Seconds at 1972 Olympics Haunt U.S. Basketball
https://www.bloomber[...]
Bloomberg Business Week
2012-07-23
[32]
웹사이트
Pioneers in Physical Education
http://clio.fivecoll[...]
[33]
웹사이트
Senda Berenson Papers
http://clio.fivecoll[...]
[34]
웹사이트
You Come in as a Squirrel and Leave as an Owl
http://www.smith.edu[...]
[35]
웹사이트
History of Women's Basketball
http://www.wnba.com/[...]
[36]
웹사이트
newsclip
https://web.archive.[...]
[37]
웹사이트
Historical Timeline
http://www.wbhof.com[...]
2009-06-02
[38]
웹사이트
The Great Teams
http://www.histori.c[...]
2009-06-02
[39]
웹사이트
BASKETBALL | NBA getting through tough times
http://tvnz.co.nz/ba[...]
[40]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Basketball Court Dimensions {{!}} PROformance Hoops
https://proformanceh[...]
2019-06-07
[41]
웹사이트
Official Rules of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2013–2014
https://www.nba.com/[...]
[42]
웹사이트
NBA Official Rules 2018–19
https://cdn.nba.net/[...]
2020-05-28
[43]
웹사이트
FIBA Official Basketball Rules (2010)
https://archive.fiba[...]
2010-07-26
[44]
웹사이트
NBA Official Rules (2009–2010)
http://i.cdn.turner.[...]
2010-07-26
[45]
웹사이트
2009–2011 Men's & Women's Basketball Rules
http://www.ncaapubli[...]
2010-07-26
[46]
뉴스
NCAA panel approves women's basketball rules changes
https://www.espn.com[...]
2015-06-08
[47]
서적
2009–2010 NFHS Basketball Rules
National Federation of High Schools
[48]
뉴스
Varsity basketball games will have two 18-minute halves next season
http://archive.jsonl[...]
2015-06-25
[49]
웹사이트
NBA Official Rules (2009–2010)
http://i.cdn.turner.[...]
2010-07-26
[50]
웹사이트
FIBA Official Basketball Rules (2010)
https://archive.fiba[...]
2010-07-26
[51]
웹사이트
NBA Official Rules (2009–2010)
http://i.cdn.turner.[...]
2010-07-26
[52]
웹사이트
FIBA Official Basketball Rules (2010)
https://archive.fiba[...]
2010-07-26
[53]
웹사이트
FIBA Official Basketball Rules (2010)
https://archive.fiba[...]
2010-07-26
[54]
웹사이트
NBA Official Rules (2009–2010)
http://i.cdn.turner.[...]
2010-07-26
[55]
웹사이트
2009–2011 Men's & Women's Basketball Rules
http://www.ncaapubli[...]
2010-07-26
[56]
서적
2009–2010 NFHS Basketball Rules
National Federation of High Schools
[57]
웹사이트
What Are the Different Types of Basketball Court Surfaces?
http://www.livestron[...]
[58]
웹사이트
What Are the Different Types of Basketball Court Surfaces?
http://www.livestron[...]
2014-02-07
[59]
웹사이트
Official Rules, RULE NO. 1: Court Dimensions – Equipment
https://official.nba[...]
2018-10-15
[60]
웹사이트
Why Do Basketball Hoops Have Nets?
https://basketballwo[...]
2020-08-28
[61]
보도자료
Wilson to provide the Official Game Ball for FIBA
http://www.amersport[...]
Amer Sports
2015-06-09
[62]
웹사이트
Positionless basketball taking hold in college
http://bigstory.ap.o[...]
2014-11-01
[63]
웹사이트
WATCH: Curry pulls off circus shot and gets a foul
https://news.abs-cbn[...]
2016-11-17
[64]
웹사이트
2022–23 NBA Season Summary
https://www.basketba[...]
[65]
웹사이트
Muggsy Bogues Bio
http://www.nba.com/p[...]
[66]
뉴스
When Height Becomes a Tall Tale
https://www.nytimes.[...]
2008-06-22
[67]
뉴스
For years, some NBA players lied about their height. They can't anymore.
https://www.washingt[...]
[68]
웹사이트
2011 3x3 Youth World Championship
http://rimini2011.fi[...]
2011-09-11
[69]
뉴스
3-on-3 basketball might become big time?
https://www.espn.com[...]
ESPN Internet Ventures
[70]
뉴스
Big3 begins: Ice Cube's new 3-on-3 league starts with a bang
https://www.usatoday[...]
Gannett
2017-06-26
[71]
서적
Basketball and Baseball Games: For the Driveway, Field Or the Alleywa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0-06-29
[72]
웹사이트
Comcast SportsNet Feature about Berkeley Unicycle Basketball
http://bayarea.comca[...]
2020-04-07
[73]
서적
Deaf Sport: the Impact of Sports within the Deaf Community
https://archive.org/[...]
Gallaudet University Press
[74]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Potential and Field Performance in Elite Female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Taylor & Francis
2003-12-03
[75]
웹사이트
歴史を変えた東京五輪女子バスケットボール 『誇り高き銀メダル』への道
https://www.fnn.jp/a[...]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1-08-17
[76]
서적
現代体育・スポーツ体系 (26)バレーボール、バスケットボール、ハンドボール
[77]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実践講座(5)バスケットボール
[78]
웹사이트
JOC - 競技紹介:バスケットボール
http://www.joc.or.jp[...]
2014-10-03
[79]
웹사이트
特集:バスケットボールのひみつ
https://www.molten.c[...]
2021-09-18
[80]
서적
現代体育・スポーツ体系(26)バレーボール、バスケットボール、ハンドボール
[81]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82]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83]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実践講座 (5)バスケットボール
[84]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85]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86]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実践講座(5)バスケットボール
[87]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88]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89]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0]
서적
現代体育・スポーツ体系 (26)バレーボール、バスケットボール、ハンドボール
[91]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2]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3]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4]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5]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実践講座(5)バスケットボール
[96]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7]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8]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99]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100]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101]
서적
現代体育・スポーツ体系 (26)バレーボール、バスケットボール、ハンドボール
[102]
서적
バスケットボール物語
大修館書店
[103]
서적
社会人のための英語百科
[104]
웹사이트
JBA、FIBAより資格停止処分受ける 丸尾会長代行「早期の制裁解除が使命」
http://sports.yahoo.[...]
Yahoo.com
2014-11-27
[105]
웹사이트
国際バスケ連盟が日本の処分解除、改革の成果を評価 - スポーツ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22-01-12
[106]
PDF
ひとめでわかるミニバスケットボール のルール
http://www.jmbf.net/[...]
日本ミニバスケットボール連盟
[107]
웹사이트
NBA Introduces New Game Ball - NBA.com
http://www.nba.com/n[...]
[108]
웹사이트
Official Basketball Rules
http://www.fiba.com/[...]
FIBA.com
2017-01-25
[109]
웹사이트
Official Rules of the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http://www.nba.com/a[...]
NBA.com
2012-03-29
[110]
문서
FCバルセロナのバスケットボールチームなど、例外もある。
[111]
문서
ストライプは規定に沿ったものであれば認められる
[112]
PDF
バスケットボールルールの変遷Ⅰ
http://jbbs.jp/pdf/m[...]
NPO法人 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振興会
[113]
PDF
バスケットボールルールの変遷Ⅱ
http://jbbs.jp/pdf/m[...]
NPO法人 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振興会
[114]
웹사이트
JBAオフィシャルグッズ
http://www.hmv.co.jp[...]
[115]
웹사이트
bjリーグ・競技ルール
http://www.bj-league[...]
[116]
웹사이트
Official Rules of the NBA(英語)最新版
http://www.nba.com/o[...]
[117]
문서
3ポイントか2ポイントかは、ショットを行った位置で決定される。3ポイントエリアからジャンプし、ショット後に2ポイントエリアに着地しても3ポイントショットとなる。
[118]
문서
ジャンプボールシチュエーションでは、オルタネイティング・ポゼション・ルールによるスローインでゲームを再開するので、ジャンプボールは試合開始の1回しか行わない。
[119]
문서
NBAの場合の試合時間は12分4クォーター、計48分間で行われる。NCAAは前後半各20分ずつ。
[120]
문서
電光掲示板の場合、試合時間は、残り1分までは10:00、9:59、と秒単位で表示され、残り1分以後では59.9、59.8、と10分の1秒単位で表示される。得点板の場合9、8と1分ごとに残り時間を表示し、残り1分以後では1/2と1/4と30秒単位、15秒単位で表示するものが多い。
[121]
문서
試合ではこのルールを活かし、残り時間を有効に活用する。とりわけ接戦における第4クォーターの終盤では、オフェンスファウルやディフェンスファウル、タイムアウトによる試合時間の停止の利用が、勝負に重要な影響をもたらすことがある。これにより試合のクライマックスが形作られる
[122]
문서
残り時間0.0秒後の得点は、審判が判定する。残り時間0.0秒以前にショットしたプレイヤーの手からボールが離れていると判定されれば、得点となる。ただし、残り時間0.3秒以上の時スローインをした場合は、ボールキャッチ後のショットは認められるが、0.3秒未満の場合は、直接ダンクまたはタップした場合のみ得点が認められる。
[123]
문서
ファイティングは、チームベンチ・パーソネル(ベンチメンバー)に対して宣せられる。著しくスポーツマンシップに欠ける行為に関しては、大会主催者や所属連盟の判断により、以降の試合への出場停止が命じられる場合もある。
[124]
뉴스
[コラム]佐々木クリスが語る『リーグNo.1のバックコートコンビは!?』
http://www.nba.co.jp[...]
2015-01-26
[125]
웹사이트
DID YOU KNOW about NBA? ゲーム編(NBA公式サイトによるポジションの解説)
http://www.nba.co.jp[...]
[126]
뉴스
「センターは3ポイントを打つべきじゃない」とレジェンドのシャックが言及
https://basketballki[...]
[127]
문서
2000 - 2001シーズンまではNBAではゾーンディフェンスそのものが禁止され、違反した場合にはイリーガルディフェンスというヴァイオレーションをとられていた。現在のNBAでは、オフェンスプレイヤーにマークマンとしてついていないディフェンダーに対して、ゴール下のペイントゾーンに3秒以上留まっていてはいけない、というヴァイオレーションが適用されている。
[128]
웹사이트
公益財団法人 日本バスケットボール協会 登録者数推移
http://www.japanbask[...]
[129]
웹사이트
マンガの力(1) スラムダンク奨学金(上)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7-11-08
[130]
뉴스
スラムダンク作者を特別表彰=バスケット協会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0-09-12
[131]
웹사이트
「スラムダンク」の井上雄彦さん、日本協会が特別表彰へ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0-06-10
[132]
서적
スラムダンク
[133]
문서
실제 농구단들은 11~12 명의 선수들을 고용하며 그중의 5명으로 경기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이지마 13점' 하나은행, 신한은행 잡고 박신자컵 '유종의 미'
서장훈, 농구코트 복귀…SBS '열혈농구단' 감독된다
서장훈, 농구 감독 된다…SBS '열혈농구단' 출연
스포츠 팬 필수 앱 ‘자리어때’, 좌석 정보 선택의 혁신을 만들다
A2O MAY, NBA 간판스타 스테판 커리 투어 출격
13살이 이렇게 커?…"국가대표 '빅맨' 되겠습니다"
남자농구, 중국에 지며 아시아컵 마감했지만…“한국 농구 미래 봤다”
남자농구 대표팀, 중국에 막혀 아시아컵 8강서 탈락
'무릎 부상' 농구대표 이정현, 조기 귀국해 국내서 치료
돌아온 라건아…"시작과 끝은 한국에서"
라건아 “은퇴도 한국에서”
귀화선수 없이 8강 결정전 진출…누가 이 팀을 약체라 했는가
이현중 28점·유기상 3점 8개…남자 농구, 괌과 8강행 다툼
남자농구 ‘3점슛’으로 레바논 꺾었다…아시아컵 괌과 8강행 다툼
이현중·유기상 활약…한국 남자 농구, 아시아컵서 카타르 제압
‘외곽슛’ 막힌 한국, 강호 호주에 졌지만…이정현 20득점 눈길
“나 농구 좋아했네” 평가전 뒤 인기 급상승 이현중+여준석…“NBA가 최종 목표”
이현중, 대표팀 전념 위해 일본 프로농구 나가사키행
WKBL, 신임 경기운영본부장에 김영만 전 DB 감독 선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