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스터룬드 1 W2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스터룬드 1 W26은 1961년 벵트 웨스터룬드가 발견한 제단자리에 위치한 적색 초거성이다. 밝고 차가운 특징을 보이며, 적외선 영역에서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W26은 웨스터룬드 1 성단의 구성원이며, 주변에 이온화된 수소 구름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발견한 천체 - 1996 애덤스
    1996 애덤스는 존 코치 애덤스의 이름을 딴 S형 소행성으로, 소행성대 중앙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약 3.3시간의 자전 주기를 가지고 직경은 10~13km로 추정된다.
  • 1961년 발견한 천체 - 3917 프란츠 슈베르트
    3917 프란츠 슈베르트는 소행성대의 비 가족 소행성으로, 3년 7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지름은 약 5.129km이고 표면 반사율은 0.321이며, 오스트리아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제단자리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제단자리 - HD 150136
    HD 150136은 뱀주인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2.6일 주기로 공전하는 O3 및 O6 분광형의 주계열성 분광쌍성을 주성으로 가지며 엑스선 방출량이 높고 숨겨진 세 번째 구성원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 7개의 시각적 구성 요소와 밝은 동반성 HD 150135가 등재되어 있다.
  • M형 초거성 - 적색초거성
    적색 초거성은 차가운 표면 온도, 거대한 크기, 높은 밝기를 지닌 초거성으로,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며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는 진화한 별이다.
  • M형 초거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웨스터룬드 1 W26
기본 정보
웨스터룬드 1과 우측 상단에 확대된 W26과 관련된 이온화된 수소 구름
웨스터룬드 1과 우측 상단에 확대된 W26과 관련된 이온화된 수소 구름
별자리제단자리
겉보기 등급17.194
B 대역 겉보기 등급22.1
J 대역 겉보기 등급4.31
H 대역 겉보기 등급1.35
K 대역 겉보기 등급1.9
B-V 색지수+4.906
특징
분광형M0.5–M6 (M2-M6Ia)
고유 운동 (적경)-1.841
고유 운동 (적위)-3.909
거리14,200 광년
거리 (파섹)4,350 파섹
시선 속도-49.42
반지름R☉
표면 온도K
광도L☉
나이790만 년
식별 정보
명칭웨스터룬드 1 W26
W1–26
2MASS J16470540-4550367
Westerlund 1 BKS AS
Westerlund 1 BKS A
Gaia EDR3 5940106041452150272
심바드Cl* Westerlund 1 BKS AS

2. 발견

웨스터룬드 1은 1961년 벵트 웨스터룬드가 하늘의 회피대에서 적외선 영역 조사를 하던 중 처음 발견되었다. 웨스터룬드는 이 천체를 "제단자리에서 심하게 적색화된 성단"으로 묘사했다. 당시에는 성단을 이루는 별들의 분광형을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가장 밝은 별은 잠정적으로 M형일 것으로 추정되었다.[8][9][20][21]

1969년, 얀 보르그만, Kornneef, Slingerland는 이 성단에 대한 측광 조사를 실시하고 관측된 별들에 문자를 부여했다. 이 조사에서 강력한 전파원으로 확인된 별에는 "A"라는 문자가 부여되었는데, 이 별이 W26이다.[10][22] 이로 인해 SIMBAD 데이터베이스에는 "Westerlund-1 BKS A"라는 명칭이 등록되기도 했지만, 당시 성단은 아직 '웨스터룬드 1'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 않았다. 당시 이 별은 "Ara A"(제단자리 A)로 불렸으며, 성단 내의 또 다른 강력한 전파원인 "Ara C"와 구분되었다. 전파 영역에서의 밝기 때문에 이 별은 드문 '전파별'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10]

1987년, 웨스터룬드는 이 성단에 대한 분광 관측 결과를 발표하고 별들에 번호를 매겼다. 이때 "Ara A"는 26번으로 명명되었고, 분광형은 M2I로 분류되었다.[9][23] 벵트 웨스터룬드는 대마젤란 은하의 도라도자리에서 발견된 또 다른 유명한 적색 초거성 WOH G64를 발견하기도 했다.[9]

1998년부터 이 성단은 공식적으로 "웨스터룬드 1"(Wd1)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관련 논문에서는 이전에 "Ara A"로 불리던 별을 26번으로, "Ara C"를 9번으로 표기하였다.[11][24]

3. 물리적 특성

W26은 밝은 차가운 초거성으로 분류되며,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다. 표면 온도가 낮아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적외선 스펙트럼 영역에서 방출하며, 대기 물질의 엄청난 질량 손실을 겪고 있다. 이는 W26이 시간이 지나면서 울프-레이에 별과 같은 다른 유형의 별로 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7]

지구로부터 약 16500ly 거리에 위치한 이 별은[12] 성간 먼지에 의한 성간 소광 현상으로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약 13등급만큼 빛이 약해져 거의 관측하기 어렵다.[2] 따라서 연구는 주로 빛의 파장이 긴 적외선이나 전파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다. 관측된 분광형은 W26이 매우 밝은 적색 별임을 나타낸다.

K대역 적외선 밝기를 기준으로 계산한 W26의 볼로미터 절대 등급은 태양의 약 32만 배에서 38만 배 사이로 추정된다. 이는 별의 분광형이 M2에서 M5 사이에서 변동하는 것을 고려한 값이다. 이 광도와 분광형에 따른 유효 온도(각각 약 3,450,000 및 3,660,000)를[18][17] 바탕으로 계산된 W26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1,530배에서 1,580배에 달한다.[17] 이러한 물리적 특성들은 W26을 가장 밝고 큰 적색초거성 중 하나로 만들며, 유명한 적색초거성인 큰개자리 VY와 견줄 만하다.[17]

과거에는 에너지 분광 분포 분석과 DUSTY 모델을 사용하여 W26의 광도가 태양의 약 1,100,000배에 달하고, 유효 온도는 약 3,700,000, 반지름은 태양의 약 2,519배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12] 이는 당시 적색초거성에 대한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값이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더 작은 값으로 수정되었다.

2013년 10월,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VLT 서베이 망원경(VST)을 이용한 관측에서 천문학자들은 W26이 붉게 빛나는 전리 수소 구름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적색초거성 주위에서 '전리 성운'이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다. 이 성운은 별을 중심으로 약 범위에 걸쳐 퍼져 있으며, 온도는 약 800,000 정도로 추정된다.[19]

3. 1. 분광형 변화와 변광성 가능성

W26은 여러 차례 분광형이 변화하는 모습이 관측되었으나, 광도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17] 이는 일반적인 변광성의 특징과는 다른 양상으로,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가능성으로는 별 주변의 성간 먼지가 특정 파장의 빛만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겉보기 스펙트럼만 변하는 것처럼 보이는, 일종의 선택적 소광 현상일 수 있다는 설명이 있다. 그러나 만약 실제로 광도 변화 없이 분광형만 변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W26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변광성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4. 주변 환경

2013년 10월,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초대형 탐사 망원경(VST)을 사용한 천문학자들은 W26이 이온화된 수소 가스로 이루어진 빛나는 구름에 둘러싸여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3][14] 이는 적색초거성 주위에서 광학 방출선을 통해 발견된 최초의 이온화된 성운으로, 1982년 NML 백조자리 주변에서 비슷한 성운이 발견된 이후 두 번째 사례이다.[13][14]

이 성운은 별로부터 약 거리까지 뻗어 있으며, 온도는 약 800,000 정도로 추정된다.[19] 성운은 웨스터룬드 1 성단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보이는데, 안쪽 방향에서 가장 밝게 빛난다. 이는 성단에서 바깥쪽으로 불어 나가는 강력한 항성풍의 존재를 시사한다. 웨스터룬드 1 W20 주변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성운이 관측되었다.[15]

이후 연구에서는 W26이 방출한 물질의 질량이 약 0.403 태양 질량(± 0.094 태양 질량)으로 추정되었다.[16]

참조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http://vizier.u-stra[...]
[2] 논문 The Starburst Cluster Westerlund 1: The Initial Mass Function and Mass Segregation
[3] 논문 A VLT/FLAMES survey for massive binaries in Westerlund 1 http://oro.open.ac.u[...]
[4] 논문 On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the super star cluster Westerlund 1
[5]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highly reddened young open clusters Westerlund 1 and 2
[6] Gaia EDR3
[7] 학위논문 The Red Supergiants in the Supermassive Stellar Cluster Westerlund 1
[8] 논문 A Heavily Reddened Cluster in ARA
[9] 논문 Photometry and spectroscopy of stars in the region of a highly reddened cluster in ARA
[10] 논문 Infra-red photometry of a heavily reddened cluster in Ara
[11] 논문 Discovery of extended radio emission in the young cluster Wd1
[12] 논문 Maser Observations of Westerlund 1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n Maser Properties of Red Supergiants Associated with Massive Clusters
[13] 논문 The nature of NML Cygnus
[14] 논문 An H II region near NML Cygnus
[15] 논문 Asymmetric ejecta of cool supergiants and hypergiants in the massive cluster Westerlund 1
[16] 논문 Asymmetric ejecta of cool supergiants and hypergiants in the massive cluster Westerlund 1 2018-06
[17] 논문 The ionized nebula surrounding the red supergiant W26 in Westerlund 1 2013-10-16
[18]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19] 논문 The ionized nebula surrounding the red supergiant W26 in Westerlund 1 2013-10-16
[20] 논문 A Heavily Reddened Cluster in ARA
[21] 논문 Photometry and spectroscopy of stars in the region of a highly reddened cluster in ARA
[22] 논문 Infra-red photometry of a heavily reddened cluster in Ara
[23] 논문 Photometry and spectroscopy of stars in the region of a highly reddened cluster in ARA
[24] 논문 Discovery of extended radio emission in the young cluster Wd1
[25]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http://vizier.u-stra[...]
[26] 논문 The Starburst Cluster Westerlund 1: The Initial Mass Function and Mass Segregation
[27] 논문 A VLT/FLAMES survey for massive binaries in Westerlund 1 http://oro.open.ac.u[...]
[28] 논문 On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the super star cluster Westerlund 1
[29]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highly reddened young open clusters Westerlund 1 and 2
[30] Gaia EDR3
[31] 학위논문 The Red Supergiants in the Supermassive Stellar Cluster Westerlund 1
[32] 논문 A Heavily Reddened Cluster in ARA
[33] 논문 Photometry and spectroscopy of stars in the region of a highly reddened cluster in ARA
[34] 논문 Infra-red photometry of a heavily reddened cluster in Ara
[35] 논문 Discovery of extended radio emission in the young cluster Wd1
[36] 저널 Maser Observations of Westerlund 1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n Maser Properties of Red Supergiants Associated with Massive Clusters
[37] 저널 The nature of NML Cygnus
[38] 저널 An H II region near NML Cygnus https://archive.org/[...]
[39] 간행물 Asymmetric ejecta of cool supergiants and hypergiants in the massive cluster Westerlund 1
[40] 저널 Asymmetric ejecta of cool supergiants and hypergiants in the massive cluster Westerlund 1 2018-06
[41] 저널 The ionized nebula surrounding the red supergiant W26 in Westerlund 1 2013-10-16
[42] 저널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