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결합으로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전자기파의 일종이다. 1864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에 의해 예측되었고, 1887년 하인리히 헤르츠에 의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실용적인 라디오 송수신기를 개발하여 라디오 통신의 상업적 이용을 시작했으며, "전파"라는 용어는 1893년 일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전파는 통신, 방송, 위치 측정, 레이더, 가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파장에 따라 초저주파부터 서브밀리미터파까지 분류된다. 전파는 열적 효과와 비열적 효과를 가지며, 특정 주파수에서 생물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금속 스크린을 통해 차폐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디오 - 도쿄 로즈
    도쿄 로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디오 도쿄의 영어 선전 방송 "제로 아워"의 여성 아나운서들을 미군 병사들이 부르던 명칭으로, 사기 저하를 목적으로 했으나 실제 효과는 미미했으며 대중문화 소재로 활용되었고, 아이바 토구리 다키노가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 라디오 - 장파
    장파는 저주파 전파를 의미하며, 긴 파장으로 산이나 지평선 너머, 또는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장거리 통신에 사용되며, 지표파와 천파 방식으로 전파되고 라디오 방송, 표준시 방송 등에 활용된다.
  • 전자기파 - 자외선
    자외선은 요한 빌헬름 리터가 발견한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인체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오존층 감소로 인해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주의가 요구된다.
  • 전자기파 - 지향성 에너지 무기
    지향성 에너지 무기는 전자기파, 입자 빔, 음파 에너지를 집중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인체 위해성 및 윤리적 문제, 국제법 위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통신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 - 메이데이
    메이데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선박, 항공기 등이 즉각적인 구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국제적인 구조 신호로, 1923년 프레더릭 스탠리 맥포드가 프랑스어 "m'aidez"에서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허위 호출은 범죄로 간주된다.
전파
전파 정보
정의3,000 기가헤르츠(G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
파장1 밀리미터 (mm) 이상
주파수 범위3,000 GHz 이하
특징시간 변화하는 전기 전류에 의해 생성됨
용도방송
통신
레이더
의료
과학 연구
관련 정보
전파법 정의300만 메가헤르츠(MHz) 이하의 전자기파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정의인공적인 도체 없이 공간을 전파하는 3,000 기가헤르츠(GHz) 미만의 전자기파
영어radio wave

2. 전파의 발견과 활용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1867년 전자기학 이론을 통해 전파를 처음 예측했다.[5] 맥스웰 방정식은 전기장과 자기장이 결합하여 전자기파 형태로 공간을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맥스웰은 빛이 매우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라고 제안했다.

하인리히 헤르츠는 전자기파 존재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전파가 정상파, 굴절, 회절, 편광 등 빛과 같은 파동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입증했다.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무선 통신 기술을 개발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6]

"전파"라는 용어는 영어 "Radio wave" 또는 "Hertzian wave"를 번역한 것이다. "Radio"라는 용어는 1904년 영국 우정청이 무선 전신에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29] 일본어 "電波(でんぱ)"는 1893년 『전기 역어집』에서 "Electric wave"의 번역어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50년 제정된 전파법에 의해 공용어로 정의되었다.[29]

2. 1. 전파의 발견

1864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빛이 파동 형태를 한 전자기파의 일종이라고 예측했다.[29] 1887년, 하인리히 헤르츠는 맥스웰 방정식을 바탕으로 빛보다 주파수가 낮은 전자기파(전파)의 존재를 추측하고,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검출할 수 있는 실험 장비를 고안하여 제작함으로써 그 존재를 실증했다.[6][29]

2. 2. 전파의 활용

1894년에서 1895년경,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최초의 실용적인 무선 송신기와 수신기를 개발했다.[6] 1900년경부터 라디오 통신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했으며, 1912년경에는 "헤르츠파"라는 원래 이름이 "라디오파"로 대체되었다.

오늘날 전파는 통신, 방송, 레이더,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3. 전파의 성질

전파는 전하 입자가 가속될 때 방출된다. 전파의 자연 발생원으로는 지구 대기의 번개 및 기타 자연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전파 잡음과 태양, 은하, 성운과 같은 우주의 천문 전파원이 있다. 모든 따뜻한 물체는 흑체 복사의 일부로 고주파 전파(마이크로파)를 방출한다.

전파는 안테나라고 불리는 특수한 모양의 금속 도체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류, 즉 앞뒤로 흐르는 전자로 인해 인공적으로 생성된다. 라디오 송신기라는 전자 장치는 안테나에 진동하는 전류를 가하고, 안테나는 이 전력을 전파로 방출한다. 전파는 라디오 수신기에 연결된 다른 안테나로 수신된다. 전파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면 금속 내의 전자를 앞뒤로 밀어 아주 작은 진동 전류를 생성하고 이를 수신기가 감지한다.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가 전파를 수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다이어그램.


양자역학에서, 빛과 같은 다른 전자기 복사와 마찬가지로 전파는 '광자'라고 하는 하전되지 않은 소립자의 흐름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7] 안테나가 전파를 송신할 때, 안테나의 전자는 전파 광자라고 하는 불연속적인 패킷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반면, 수신 안테나는 전파 광자로 에너지를 흡수한다. 안테나는 레이저와 마찬가지로 결맞는 광자 방출체이므로 전파 광자는 모두 위상이 일치한다.[8][7] 그러나 플랑크 관계식 E = h\nu에서 개별 전파 광자의 에너지는 매우 작으며,[7] 10−22에서 10−30 이다. 따라서 매우 낮은 출력의 송신기의 안테나조차도 매초 엄청난 수의 광자를 방출한다. 메이저의 원자와 같이 분자 전자 전이 과정을 제외하고는 전파 방출과 흡수는 일반적으로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지배되는 연속적인 고전적인 과정으로 간주된다.

3. 1. 전파의 속도, 파장, 주파수의 관계

전파의 속도는 빛의 속력과 같으며,[34][35] 물체를 통과할 때, 그 물체의 투자율유전율에 따라 속도가 느려진다. 진공 상태에서 전파는 광속 c로 진행한다.[9][10] 공기는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지구 대기 중에서 전파는 거의 광속으로 진행한다.

파장 (\lambda)은 전파의 전기장의 한 봉우리(마루)에서 다음 봉우리까지의 거리이며, 전파의 주파수 (f)와 반비례한다. 진공 또는 공기 중에서 전파의 주파수와 파장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lambda = \frac{\;c \;}{f}~,

여기서

: c \approx 2.9979 \times 10^8 \text{ m/s}~.

즉, c는 전파가 진공에서 1초 동안 진행하는 거리로, 299792458m이며, 이는 1 헤르츠 전파 신호의 파장이다. 1 메가헤르츠 전파(중간 AM 대역)의 파장은 299.79m이다.

3. 2. 전파의 편광

다른 전자기파와 마찬가지로, 전파는 편광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파동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전기장의 진동 방향으로 정의된다. 평면 편광된 전파는 진행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전기장이 진동한다. 수평 편광 전파에서는 전기장이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고, 수직 편광 전파에서는 전기장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원형 편광 전파에서는 임의의 지점에서 전기장이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한 주기당 한 번 회전한다. 우원형 편광 전파는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오른손 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원형 편광 전파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11] 파동의 자기장은 전기장에 수직이며, 전기장과 자기장은 방사 방향에 대해 오른손 법칙에 따라 배향된다.

안테나는 편광된 전파를 방출하며, 편광은 금속 안테나 요소의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는 두 개의 공선형 금속 막대기로 구성된다. 막대기가 수평이면 수평 편광 전파를 방출하고, 막대기가 수직이면 수직 편광 전파를 방출한다.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와 같은 편광을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수신이 심하게 저하된다. 태양, 별 및 따뜻한 물체에서 나오는 흑체 복사와 같이 전파의 많은 자연적 광원은, 서로 다른 편광 상태가 균등하게 섞여 있는 비결합성 짧은 파동열로 구성된 비편광파를 방출한다.

전파의 편광은 양자 역학적 특성인 광자의 스핀에 의해 결정된다. 광자는 두 가지 가능한 스핀 값을 가질 수 있다.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오른손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왼손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우원형 편광 전파는 오른손 방향으로 회전하는 광자로 구성된다. 좌원형 편광 전파는 왼손 방향으로 회전하는 광자로 구성된다. 평면 편광 전파는 오른손과 왼손 스핀 상태의 양자 중첩에 있는 광자로 구성된다. 전기장은 오른쪽과 왼쪽으로 회전하는 장의 중첩으로 구성되어 평면 진동을 생성한다.

4. 전파의 전파 특성

전파는 전하 입자가 가속될 때 방출되며, 번개나 천문 현상, 흑체 복사 등을 통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인공적으로는 안테나에 진동하는 전류를 가하여 생성하며, 라디오 수신기에 연결된 다른 안테나로 수신한다.

양자역학에서 전파는 '광자'라는 소립자의 흐름으로 간주될 수 있다.[7] 안테나는 결맞는 광자를 방출하며, 전파 광자는 모두 위상이 일치한다.[8][7] 그러나 개별 전파 광자의 에너지는 매우 작다.[7]

전파는 편광이라는 특성을 가지는데, 이는 전기장의 진동 방향으로 정의된다. 수평 편광 전파는 전기장이 수평으로, 수직 편광 전파는 수직으로 진동한다. 원형 편광 전파는 전기장이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우원형과 좌원형이 있다.[11] 전파의 편광은 광자의 스핀에 의해 결정된다.

전파는 큰 파장 덕분에 통신에 널리 사용된다.[12] 전파는 날씨, 초목, 건축 자재를 통과할 수 있고, 회절을 통해 장애물을 돌아갈 수 있으며, 큰 물체에 산란되는 경향이 있다. 전파 전파 연구는 실용적인 무선 시스템 설계에 중요하며, 전파는 반사, 굴절, 편광, 회절, 흡수를 경험한다. 서로 다른 주파수는 대기에서 이러한 현상의 조합을 다르게 경험하여 특정 무선 주파수 대역을 특정 목적에 더 유용하게 만든다.

마이크로파 주파수에서는 대기 가스가 전파를 흡수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범위가 감소한다. 20GHz 미만에서는 수증기가, 20GHz 이상의 밀리미터파 대역에서는 다른 대기 가스가 흡수하여 전송 거리가 제한된다.

전파는 1867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맥스웰 방정식을 통해 처음 예측되었고,[14] 1887년 하인리히 헤르츠가 실험적으로 증명했다.[15]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최초의 실용적인 무선 송수신기를 개발하여 1909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무선 통신은 1900년경부터 상업적으로 사용되었고, "전파"라는 용어는 1912년경 "헤르츠파"를 대체했다.

수신기의 대역 통과 필터는 동조 회로로 구성되어 원하는 라디오 방송국의 주파수와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16] 동조 회로는 원하는 방송국의 신호에 공감하여 진동하고, 다른 주파수의 신호는 차단한다.

4. 1. 전파의 진행

송신 안테나에서 발사된 전파는 진행 방향에 따라 수신 안테나로 직접 받아오는 가시선 전파, 지면을 따라 퍼져 나가는 지표파, 하늘을 향하여 퍼져 나가는 공간파로 나뉜다. 전파는 서로 다른 환경을 통과하면서 반사, 굴절, 편광, 회절, 흡수를 겪는다. 이러한 현상의 조합은 특정 무선 주파수 대역을 다른 목적에 더 유용하게 만든다.

실용적인 무선 시스템은 주로 다음 세 가지 전파 전파 기술을 사용한다.[13]

  • '''시선 전파''': 송신 안테나에서 수신 안테나로 직선으로 이동하는 전파를 말하며, 30MHz 이상의 주파수에서 가능하다. 지구 표면에서 시선 전파는 시각적 수평선에 의해 약 64km(40마일)로 제한된다. 휴대 전화, FM 방송, 텔레비전 방송, 레이더 등에서 사용된다.
  • '''간접 전파''': 전파는 회절반사를 통해 시선 너머의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13] 회절은 전파가 장애물을 돌아가게 하며, 전파는 벽, 바닥 등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반사된다.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워키토키 등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한다.
  • '''지표파''': 2MHz 미만의 저주파수에서는 회절에 의해 수직 편파된 전파가 언덕과 산을 넘어 휘어지고 수평선 너머로 전파되어 지구의 윤곽을 따르는 표면파로 이동할 수 있다.
  • '''천파''': 중파단파 파장에서 전파는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수평선 너머 지구로 돌아올 수 있다.

4. 2. 전리층 반사 (천파)

전리층은 대기 중 전하 입자층으로, 중파단파를 반사한다.[13] 하늘을 향해 비스듬히 쏜 전파는 전리층에 반사되어 수평선 너머 지구로 돌아오는데, 이를 "스킵" 또는 "천파"라고 한다. 여러 번 반사시키면 대륙 간 통신도 가능하다. 천파 통신은 대기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밤과 겨울에 가장 안정적이다. 20세기 전반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신뢰성이 낮아 대부분 사라졌다.[13] 현재는 군사용 수평선 너머(OTH) 레이더, 일부 자동 시스템, 무선 아마추어, 단파 방송 등에 쓰인다.

4. 3. 전파와 장애물

전파는 파장에 따라 산이나 건물 등의 장애물에 의해 방해를 받는데, 파장이 짧을수록 방해를 더 많이 받는다. 파장이 긴 전파는 장애물 뒤쪽에도 도달할 수 있어 장애물이 많은 곳에 적합하지만, 파장이 짧은 전파는 장애물 뒤쪽에 도달하지 못해 장애물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7]

5. 전파의 분류

전파는 주파수와 파장에 따라 여러 대역으로 분류된다. 각 대역은 고유한 전파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29]

전파는 파장에 따라 초저주파, 초장파, 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극초단파(마이크로파[SHF]) 등으로 나뉜다. 각각의 전파는 파장에 따라 퍼져 나가는 방법과 범위 등이 다르기 때문에, 고유한 용도로 쓰인다.

파장은 산이나 건물 등의 장애물이 있으면 방해를 받아 수신이 약해진다. 파장이 짧을수록 방해를 더 많이 받는다. 따라서 파장이 긴 전파는 장애물 뒤쪽에도 도달할 수 있어 장애물이 많은 곳에 적합하고, 파장이 짧은 전파는 장애물 뒤쪽에 도달하지 못해 장애물이 많은 곳에 부적합하다.

5. 1. 주파수 대역별 분류

전파는 주파수와 대응하는 파장에 따라 여러 대역으로 나뉜다.

주파수 대역약칭ITU 기준주파수파장용도
극극극초장파ELF13 - 30 Hz10,000 - 100,000 km잠수함 통신
극극초장파SLF230 - 300 Hz1,000 - 10,000 km잠수함 통신
극초장파ULF3300 - 3000 Hz100 - 1,000 km광산에서의 통신
초장파VLF43 - 30 kHz10 - 100 km무선 심박계, 지구물리학
장파LF530 - 300 kHz1 - 10 km전파항법, 전파시계, 장파 방송(일부 국가의 AM 방송)
중파MF6300 - 3000 kHz100 m - 1 km중파 방송(많은 국가의 AM 방송), 눈사태 탐지기
단파HF73 - 30 MHz10 - 100 m단파 방송, 아마추어 무선, 업무용 무선, 핵자기 공명 분광법
초단파VHF830 - 300 MHz1 - 10 m초단파 방송(FM 방송), VHF 텔레비전 방송, 업무용 통신, 핵자기 공명 분광법
극초단파UHF9300 - 3000 MHz100 mm - 1 mUHF 텔레비전 방송(지상파 디지털 방송 포함), 전자레인지, 휴대전화, 무선랜, 블루투스, GPS, 업무용 통신, 핵자기 공명 분광법
센티미터파SHF103 - 30 GHz10 - 100 mmETC, 무선랜, 5G, 위성방송, 최신 레이더, 전자스핀 공명
밀리미터파EHF1130 - 300 GHz1 - 10 mm전파천문학, 고속 중계방송, 최신 레이더(밀리미터파 레이더), 전자스핀 공명
서브밀리미터파300 GHz 이상1 mm 이하


6. 전파의 응용



전파는 전하 입자가 가속될 때 방출된다. 인공적으로 전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에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류를 흘려보낸다. 라디오 송신기가 안테나에 진동하는 전류를 가하면, 안테나는 전파를 방출한다. 라디오 수신기의 안테나는 전파를 수신하여 아주 작은 진동 전류를 생성하고, 수신기는 이를 감지한다.[7]

양자역학에서 전파는 '광자'라는 소립자의 흐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안테나는 전파 광자를 방출하거나 흡수하며, 레이저처럼 결맞는 광자 방출체이므로 전파 광자는 모두 위상이 같다.[8][7] 그러나 개별 전파 광자의 에너지는 매우 작기 때문에,[7] 전파 방출과 흡수는 맥스웰 방정식에 따르는 고전적인 과정으로 간주된다.

전파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통신 및 방송
  • 비통신 분야

6. 1. 통신 및 방송

전파는 통신 및 방송에 널리 사용된다.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

6. 2. 비통신 분야

전파는 통신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7. 한국의 전파 관련 규정

한국은 전파법을 통해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규정하고 있다.

7. 1. 전파의 질 규정

송신설비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 편차 및 폭, 고조파의 강도 등 전파의 질은 총무성성령에서 정하는 바에 적합해야 한다고 전파법 제28조에 규정되어 있다.[1] 이를 받아 무선설비규칙 제1장 총칙 제2절 전파의 질에서 제5조부터 제7조까지 “주파수의 허용 편차”, “점유 주파수 대역폭의 허용치”, “스퓨리아스 방사 또는 불요 방사의 강도의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값은 별표 제1호부터 제3호에 나와 있다.[1]

7. 2. 광역사용전파

일본 전파법 제103조의 2 제2항에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일인에 의해 상당수 개설되는 무선국에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별표 제7의 상란에 기재된 구역을 단위로 하여 총무대신이 지정하는 주파수(6000MHz 이하의 것에 한함)의 전파"라고 규정하고 있다.

광역 사용 전파의 지정은 전파법 시행규칙 제51조의 9의 9에 "총무대신이 별도로 고시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으며, 이 규정에 따라 고시[30]된다.

이 규정은 전파 이용료의 산정에 있어 전파의 경제적 가치에 따라 부담하는 생각을 도입한 것[31]으로, 이동전화 등 특정 무선국으로 포괄 허가되는 것에 대해 적용되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에 따라 증감된다. 당초[32] 상한은 3000MHz 이하였으나 후에[33] 6000MHz 이하가 되었다. 참고로, 도입 검토 시점부터 "광역'''전'''용 전파"라는 문구가 사용되었고, 전파법 개정 후에도 이 단어를 사용한 기사가 있으나, 이것은 오기(誤記)이다.

8. 전파와 생물학적 영향

전파는 비전리 방사선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열을 발생시키는 효과이다.

가열 효과는 다른 열원과 원칙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에, 라디오파 노출의 가능한 건강 위험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비열적" 효과, 즉 라디오파가 가열로 인한 것 외에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고주파 전자기장이 인간과 동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한된 증거"를 갖고 있다고 분류했다.[22][23] 휴대전화의 RF-EMF에 대한 개인적 노출을 통한 암 위험에 대해서는 약한 기전적 증거가 존재한다.[24]

라디오파는 도전성 금속판이나 스크린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이나 스크린으로 된 외함을 패러데이 케이지라고 한다. 금속 스크린은 스크린의 구멍이 파동 파장의 약 1/20보다 작으면 고체 판과 마찬가지로 라디오파를 차폐할 수 있다.[25]

8. 1. 전파의 열적 효과

라디오파는 비전리 방사선으로, 원자나 분자에서 전자를 분리하거나 이온화시키거나, 화학 결합을 끊어 화학 반응이나 DNA 손상을 일으킬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다. 물질이 라디오파를 흡수할 때 주된 효과는 스페이스 히터나 장작불과 같은 열원에서 방출되는 적외선과 마찬가지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파동의 진동하는 전기장은 극성 분자를 앞뒤로 진동하게 하여 온도를 높인다. 이것이 전자레인지가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이다. 라디오파는 신체 조직의 심부 가열을 위한 의료 치료인 단열요법에 100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혈류 증가와 치유를 촉진한다. 최근에는 고온 치료에서 더 높은 온도를 생성하고 암세포를 죽이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주로 물체 표면에서 흡수되어 표면 가열을 일으키는 적외선과 달리, 라디오파는 표면을 투과하여 물질과 생물 조직 내부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라디오파가 투과하는 깊이는 주파수에 따라 감소하며, 재료의 비저항유전율에도 따라 달라진다. 이는 재료의 ''표피 깊이''라는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지며, 에너지의 63%가 축적되는 깊이이다.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의 2.45 GHz 라디오파(마이크로파)는 대부분의 식품을 약 2.5cm에서 3.8cm 정도 투과한다.

라디오파 기호


작동 중인 라디오 송신기의 도파관과 같이 근거리에서 라디오파의 근원을 들여다보면 열로 인해 눈의 수정체가 손상될 수 있다. 충분히 강력한 라디오파 빔은 눈을 투과하여 수정체를 충분히 가열하여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17][18][19][20][21]

8. 2. 비열적 효과 연구

라디오파 노출의 সম্ভাব্য 건강 위험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비열적" 효과, 즉 라디오파가 가열로 인한 것 외에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고주파 전자기장이 인간과 동물에 대한 영향에 대해 "제한된 증거"를 갖는 것으로 분류했다.[22][23] 휴대전화에서 RF-EMF에 대한 개인적 노출을 통한 암 위험에 대한 약한 기전적 증거가 있다.[24]

8. 3. 전파 차폐

라디오파는 도전성 금속판이나 스크린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판이나 스크린으로 된 외함을 패러데이 케이지라고 한다. 금속 스크린은 스크린의 구멍이 파동의 파장의 1/20보다 작은 한 고체판과 마찬가지로 라디오파를 차폐한다.[25]

참조

[1] 서적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Microwave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Pvt. Ltd 2014
[2] 서적 Radio Systems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19
[3] 웹사이트 Radio wave Examples, Uses, Facts, & Rang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7-26
[4] 서적 Radio Regulations http://search.itu.in[...] ITU
[5] 서적 The natural philosophy of James Clerk Maxwe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Heinrich Hertz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https://www.aaas.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7] 서적 Radio Antennas and Propagation http://nvhrbiblio.nl[...] Newnes 1998
[8] 서적 Our Changing Views of Photons: A Tutorial Memoi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9]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Frequency, Wavelength and Energy ''Ultra'' Calculator http://www.1728.org/[...] 1728 Software Systems
[10] 웹사이트 How Radio Waves Are Produced https://web.archive.[...] NRAO
[11] 서적 ITU Radio Regulations http://search.itu.i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12] 서적 Radio Systems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3] 서적 Introduction to RF Propagation John Wiley and Sons 2005
[14] 서적 The natural philosophy of James Clerk Maxwel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Heinrich Hertz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https://www.aaas.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6] 웹사이트 How Radio Works http://electronics.h[...] 2000-12-07
[17] 서적 RF and Microwave Radiation Safety Handbook https://archive.org/[...] Newnes 2001
[18] 서적 RF/Microwave Interaction with Biological Tissu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19] 서적 Build Your Own Low-power Transmitters: Projects for the Electronics Experimenter https://books.google[...] Newnes 2001
[20] 서적 Biological Effects of Radiofrequency Radiation US EPA 1984
[21] 서적 Radio-Frequency and ELF Electromagnetic Energies: A handbook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95
[22] 보도자료 IARC Classifies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as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https://www.iarc.fr/[...] WHO 2011-05-31
[23] 웹사이트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https://monographs.i[...] IARC 2018-11-09
[24] conference poster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Evaluation of cancer hazards https://monographs.i[...] IARC 2014
[25] 서적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n Medical Equipment: A Guide for Designers and Install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26] 서적 Antenna & Tower Regulation Handbook https://books.google[...] NAB 1996
[27] 웹사이트 電波法 https://laws.e-gov.g[...] 総務省
[28] 웹사이트 国際電気通信連合憲章(平成七年一月十八日条約第二号) https://www.soumu.go[...] 総務省
[29] 서적 電波と生体安全性:基礎理論から実験評価・防護指針まで 科学情報出版
[30] 웹사이트 令和3年9月27日総務省告示第336号(令和3年12月20日施行)電波法施行規則第五十一条の九の九の規定に基づく総務大臣が指定する周波数 https://www.tele.sou[...]
[31] 웹사이트 電波利用料の料額算定の考え方(総務省電波利用ホームページ - 電波利用料制度 - 電波利用料の額) www.tele.soumu.go.jp[...] 2007-08-08
[32] 법률 平成17年法律第107号による電波法改正の平成18年4月1日施行
[33] 법률 令和元年法律第6号による電波法改正の令和元年10月1日施行
[34] 웹사이트 http://www.1728.org/[...]
[35] 웹사이트 http://www.nrao.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