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 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 대공은 위 소백의 아들이자 선강의 아들로, 기원전 660년 12월 위 의공이 살해당하고 조읍이 함락된 후 위나라 유민들에 의해 옹립된 인물이다. 제 환공의 지원을 받아 조읍을 지켰으나, 즉위 후 얼마 못 가 죽었고, 그의 아우 훼가 뒤를 이어 위 문공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나라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위나라의 군주 - 위 무공
    위 무공은 춘추 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강숙의 선정을 본받아 나라를 다스렸다는 기록과 주나라를 도와 공작으로 봉해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의 덕을 기리는 송시가 《시경》에 실려 후대에 영향을 주었다.
  • 춘추 시대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춘추 시대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위 대공
기본 정보
이름戴公 희신
왕조
봉호
재위 기간
재위 시작기원전 660년
사망기원전 660년
개인 정보
姫申 희신
시호戴公 대공
아버지昭伯 소백 (頑 완)
어머니宣姜 선강

2. 사적

(내용 없음)

2. 1. 출생과 즉위

소백 완(頑)과 선강의 아들이다.[1][2]

기원전 660년(위 의공 9년) 12월, 의공이 적(狄)의 침입을 받아 살해당하고 수도 조가가 함락되면서 위나라는 거의 멸망할 위기에 처했다.[1][2] 황하를 건너 달아난 유민 730명은 읍과 등읍에서 피난 온 백성들과 합류하여 총 5천 명 정도가 되었다.[1][2] 이들은 황하를 건너 조(漕, 현재의 허난성 화현) 땅으로 피난하여 행궁을 설치했다.[1][2] 당시 위나라 사람들은 의공의 아버지인 위 혜공이 참소하여 죽게 만든 태자 급자(急子)를 동정하는 마음이 있었으므로, 조읍에서 급자의 조카인 대공을 새로운 군주로 옹립했다.[1][2]

환공은 위나라를 돕기 위해 공자 무궤(無詭, 또는 무휴(無虧))를 파견하여 전차 300승과 갑사(보병) 3,000명으로 조읍을 지키게 했다.[1][2] 또한 제 환공은 대공에게 말, 제복 5칭, 소·양·돼지·닭·개 각 300마리, 문재(文材) 등을 보내 원조했으며, 대공의 부인에게도 어헌(부인용 수레)과 중금(어피로 장식한 비단) 30필을 하사했다.[2]

그러나 대공은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같은 해(기원전 660년)에 사망(훙거)했다.[1][2] 그의 뒤를 이어 동생인 훼(燬, 또는 휘)가 즉위했으니, 이가 바로 위 문공이다.[1][2]

참조

[1] 서적 위강숙세가제7
[2] 서적 민공 2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