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그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그웜은 북미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돔 형태의 주거 시설을 의미한다. 주로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나무껍질, 풀, 갈대 등을 지붕 재료로 사용했으며,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생활하는 데 적합했다. 위그웜은 북동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위키업'이라는 명칭으로 서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현대에는 소말리아, 사미족, 북아시아 원주민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의 주거 시설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고학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위그웜 | |
---|---|
개요 | |
유형 | 토착 북미인들이 사용하는 돔형 주거지 |
다른 이름 | 위키업 |
구조 | |
재료 | 나무 덮개 (수피, 풀, 흙, 천 등) |
형태 | 돔형, 원뿔형 |
크기 | 다양함 |
지역별 특징 | |
문화권 | 북동부 삼림 지대 아메리카 원주민 평원 |
사용 민족 | 알곤킨족 위네바고족 기타 북미 원주민 부족 |
기타 | |
용도 | 주거, 임시 캠프, 의식 |
관련 용어 | 롱하우스 티피 이글루 호건 |
2. 구조
위그웜은 그레이트 베이슨, 남서부, 태평양 연안의 다양한 원주민들이 사용한 단일 방 돔형 가옥으로, 크기, 모양, 재료에 큰 변화가 있었다.
2. 1. 북동부 지역
돔 형태의 둥근 쉘터는 북동부의 많은 원주민 부족이 사용했다. 곡면은 모든 종류의 조건에 이상적인 쉘터를 만들어준다. 캐나다 원주민들은 오대호-세인트로렌스 저지대에서 위그웜 또는 장막에 거주했다.이 구조물은 아치형 기둥으로 만들어지며,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지고, 어떤 종류의 나무 껍질 지붕재로 덮여 있다. 건설 세부 사항은 문화와 재료의 현지 가용성에 따라 다르다. 사용된 지붕 재료로는 풀, 덤불, 나무 껍질, 갈대, 매트, 갈대, 가죽 또는 천 등이 있다.


위그웜은 대개 계절별 구조물이지만, 이 용어는 더 영구적인 둥글고 원뿔형 구조물에도 적용된다. 위그웜은 일반적으로 티피보다 설치하는 데 더 오래 걸린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티피처럼 휴대할 수 없다.
전형적인 북동부의 위그웜은 가장 혹독한 날씨에도 견딜 수 있는 곡면을 가지고 있다. 길이 약 3.05m에서 약 4.57m의 거의 모든 종류의 나무의 어린 녹색 묘목을 잘라 구부렸다. 묘목을 구부리는 동안 땅에 원을 그렸다. 원의 지름은 약 3.05m에서 약 4.88m로 다양했다. 구부러진 묘목은 가장 키가 큰 묘목을 가운데에, 더 짧은 묘목을 바깥쪽에 사용하여 그려진 원 위에 놓았다. 묘목은 원에 한 방향으로 아치를 형성했다. 다음 세트의 묘목은 쉘터를 지지하기 위해 위그웜을 감싸는 데 사용되었다. 두 세트의 묘목이 마침내 함께 묶이면 측면과 지붕이 그 위에 놓였다. 위그웜의 측면은 보통 나무에서 벗겨낸 껍질이었다. 가족의 남자가 위그웜의 프레임을 담당했다.
메리 로우랜드슨은 1675년 필립 왕 전쟁 동안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그녀가 함께 머물렀던 원주민들의 거주지를 언급할 때 "위그웜"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 "위그웜"이라는 용어는 "인디언 집"의 동의어로 일반 영어 사용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법은 위그웜과 다른 쉘터 간에 중요한 차이가 있으므로 선호되지 않는다. 미국 혁명 동안 "위그웜"이라는 용어는 영국 군인들이 다양한 임시 구조물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2]
아메리카 원주민 중 북동부에서 오대호 주변 부족들이 전통 가옥으로 사용한 것이다. 텐트와 달리 안에 화덕을 만들어 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조는 굽은 튼튼한 나뭇가지를 기둥으로 삼고, 나무 껍질이나 천을 겹쳐 덮고, 입구에 돗자리를 걸어 집으로 삼았다. 조립이 간편하여 동부 삼림 지대의 인디언들은 이동 생활을 하면서 곳곳에서 이를 지어 사용했다. 평소에는 티피를 사용하여 이동하며 사냥 생활을 해온 평원 부족들은 가을이 되면 위그웜 집락을 마련하고 "겨울 마을"로 삼아 봄이 오기를 기다렸다.
오대호 지역에서 백인에 의해 남서부로 쫓겨난 키카푸족은 현재도 이 주거지에서 사는 사람이 많다. 많은 부족에서는 "월경 오두막"으로 초경을 맞이한 여자나 월경 시에는 소형 위그웜을 만들어 여기서 월경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관습이 있었다. 오지브웨족이나 아파치족 등 현재도 의식 때 중요한 장소로 티피와 함께 이것을 활용하는 부족이 많다.
2. 2. 서부 지역
아차체멘, 캘리포니아의 토착민들은 덤불이나 줄 잎으로 만든 매트로 덮인 버드나무 가지로 만든 원뿔형 오두막을 지었다. ''키차''로 알려진 임시 쉼터는 잠을 자거나 악천후 시 피난처로 사용되었다. 주거지가 수명이 다하면 간단히 태워버리고 약 하루 만에 그 자리에 새것을 세웠다.[3]인류학자 모리스 오플러가 기록한 치리카후아 위키업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가족이 사는 집은 남자들이 만들며, 보통 바닥이 지면과 같은 둥근 돔 모양의 덤불 가옥이다. 중앙 높이는 약 2.44m이고 지름은 약 약 2.13m이다. 그것을 짓기 위해, 떡갈나무나 버드나무의 긴 신선한 장대를 땅에 박거나 파는 막대기로 만든 구멍에 넣는다. 프레임을 형성하는 이 기둥들은 약 0.30m 간격으로 배치되며 꼭대기에서 유카 잎 줄기로 묶여 있다. 그 위에 빅 블루스템 풀이나 곰 풀 묶음의 짚을 유카 끈으로 지붕 널 스타일로 묶는다. 중앙 벽난로 위의 연기 구멍은 화덕을 사용할 때 연기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입구에 매달린 가죽은 가로보에 고정되어 앞뒤로 흔들 수 있다. 출입구는 어느 방향으로든 향할 수 있다. 방수를 위해 가죽 조각을 외부 해치에 던져놓고, 비가 오는 날씨에는 불이 필요하지 않으면 연기 구멍까지 덮는다. 따뜻하고 건조한 날씨에는 외부 지붕의 많은 부분이 벗겨진다. 이러한 유형의 튼튼한 가옥을 짓는 데 약 3일이 걸린다. 이 집들은 "눈이 많이 와도 따뜻하고 편안하다". 내부는 덤불과 풀 침대로 줄지어 있으며 그 위에 로브가 펴져 있다.[3]
여성은 집의 가구뿐만 아니라 가옥 자체의 건설, 유지 관리 및 수리를 담당하고 그 안의 모든 것을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녀는 풀과 덤불 침대를 제공하고 너무 낡고 마르면 교체한다. 그러나 이전에는 "그들은 영구적인 집이 없었으므로 청소에 신경 쓰지 않았다." 돔형 가옥 또는 위키업은 모든 치리카후아 부족에게 일반적인 집 유형이었다. 중부 치리카후아 제보자는 "내가 어렸을 때 티피와 타원형 집을 모두 사용했다. 타원형 오두막은 가죽으로 덮여 있었고 최고의 집이었다. 더 부유한 사람들이 이런 종류를 가지고 있었다. 티피형은 덤불로 만들어졌다. 중앙에 불을 피울 곳이 있었다. 그것은 그냥 헐렁하게 던져졌다. 두 종류 모두 내가 태어나기 전에도 흔했다."라고 말했다.
더 일반적인 돔 모양과 다른 집 형태는 남부 치리카후아에서도 기록되었다. "우리가 정착했을 때는 위키업을 사용했고, 우리가 많이 이동할 때는 다른 종류를 사용했다..."[4]
3. 다양한 명칭
영어 단어 '위그웜(wigwam)'은 원시 알곤킨어 ''*wi·kiwa·ʔmi''에서 유래된 동부 아베나키어 wigwômaaq에서 파생되었다.[5][6] 이 구조물은 다른 언어에서도 비슷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언어 | 명칭 |
---|---|
서부 아베나키어 | wigwômabe (모음 축약) |
아니시나베어 | wiigiwaamoj |
동부 오지브웨어, 오다와 방언 | wiigwaamojg (모음 축약) |
포타와토미어 (WNLAP 철자법) | wigwampot (모음 축약) |
알곤킨어 | miigiwaamalq (확정되지 않은 접두사 m- 대신 확정된 3인칭 접두사 w- 사용) |
블랙풋어 | ookóówabla (소유 주제 접미사 -m 없이) |
샤이엔어 | mâhëöchy (확정되지 않은 접두사 m- 대신 확정된 3인칭 접두사 w- 사용 및 소유 주제 접미사 -m'' 없이) |
마이애미-일리노이언어 | wiikiaamimia |
미크마크어 | wikuommic |
모히칸어 | wicuw[7] |
닙목어 | ȣichiȣamxlo |
우나미어 | wikëwamunm |
'위키업(wickiup)'으로도 불리며, 해당하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
언어 | 명칭 |
---|---|
폭스어 | wiikiyaapisac |
크리어 | (확정되지 않은 접두사 m- 대신 확정된 3인칭 접두사 w- 사용) |
몬타네어 | mīciwāhpmoe (확정되지 않은 접두사 m- 대신 확정된 3인칭 접두사 w- 사용) |
메노미니어 | wikiopmez |
소크어 | wîkiyâpisac |
위그웜은 미국 남서부에서는 "위키업(wickiup, wikiup)"이라고 불린다.
- 오지브웨어: wiigiwaamoj (발음: wiigwaam)
- 서부 아파치어: gowąhapw
- 치리카와 아파치어: guughąapc 또는 kuughąapc
4. 역사적 의의
위그웜은 아메리카 원주민 중 북동부에서 오대호 주변 부족들이 전통 가옥으로 사용한 것이다. 텐트와 달리 안에 화덕을 만들어 불을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굽은 튼튼한 나뭇가지를 기둥으로 삼고, 나무 껍질이나 천을 겹쳐 덮고, 입구에 돗자리를 걸어 집으로 사용했다. 조립이 간편하여 동부 삼림 지대의 인디언들은 이동 생활을 하면서 곳곳에서 위그웜을 지었다. 평소에는 티피를 사용하여 이동하며 사냥 생활을 해온 평원 부족들은 가을이 되면 위그웜 집락을 마련하고 "겨울 마을"로 삼아 봄이 오기를 기다렸다.
오대호 지역에서 백인에 의해 남서부로 쫓겨난 키카푸족은 현재도 이 주거지에서 사는 사람이 많다. 많은 부족에서는 초경을 맞이한 여자나 월경 시에는 "월경 오두막"으로 소형 위그웜을 만들어 여기서 월경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관습이 있었다. 오지브웨족이나 아파치족 등 현재도 의식 때 중요한 장소로 티피와 함께 이것을 활용하는 부족이 많다.
5. 현대적 활용
오늘날 아프리카의 뿔에 거주하는 소말리아인과 아파르족은 ''아칼''(aqal)이라고 불리는 거의 동일한 구조물을 사용한다. ''아칼''의 지붕은 오래된 옷 조각이나 비닐 시트, 엮은 매트 (전통적으로 풀로 만듦) 또는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사용하여 덮는다. 비슷한 돔형 텐트는 부시맨과 나마족, 그리고 남아프리카의 다른 원주민들도 사용한다.
북유럽 사미족의 전통적인 반영구적 주거지는 고아티(''감'' 또는 ''코타''라고도 함)였다. 건설, 목적 및 수명은 북미 원주민의 ''위그웜''과 유사하다. 대부분의 고아티 주거지는 휴대 가능한 나무 기둥으로 구성되었으며 벽 대신 목재 또는 이탄 이끼로 외부를 덮었다.
북아시아의 많은 원주민들도 춤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반영구적 주거지를 짓거나 짓는다. 이러한 시베리아 원주민 주거지 중 일부는 평원 인디언의 티피 또는 사미족의 ''라부''를 연상시키는 텐트와 유사하지만, 춤의 다른 형태는 더 영구적이다. 더 영구적인 형태의 춤은 사미족의 목재 또는 이탄 이끼로 덮인 고아티 주거지, 또는 북미 동부 숲과 북부 지역의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의 위그웜과 건설 방식이 매우 유사하다.
영국에서는 벤더 텐트라고 알려진 유사한 구조물이 뉴에이지 여행자에 의해 숲 (종종 개암나무)의 기둥과 플라스틱 방수포를 사용하여 빠르고 저렴하게 지어진다.
야란가는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돔 내부에 내부 방이 있을 수 있다.
6. 연구
콜로라도 위키업 프로젝트는 콜로라도의 원주민 목조 구조물 유적지를 연구하는 프로젝트로, 2003년부터 도밍게즈 고고학 연구 그룹(Dominquez Archaeological Research Group)에서 수행해 왔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구 결과는 7권의 시리즈로 출판되었다.
참조
[1]
서적
A Historical Look at American Indians
books.google.com/boo[...]
[2]
간행물
British Soldiers and Brush Huts, 1776–1781
2003
[3]
문서
[4]
문서
[5]
웹사이트
wigwam
[6]
웹사이트
wigwam
[7]
웹사이트
A Modern Mohegan Dictionary
https://rmc.library.[...]
The Mohegan Tribe
2021-10-21
[8]
웹사이트
Colorado Wickiup Project
https://dargnet.org/[...]
2022-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