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파르족은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에 걸쳐 거주하는 민족으로, 아파르어를 사용한다. 아파르족은 "사람" 또는 "민족"을 뜻하는 아파르어 "단"에서 유래된 "단칼리"라는 용어로도 알려져 있다. 초기 기록은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파르족은 에티오피아 기록에도 자주 등장한다. 아파르족은 역사적으로 독립적인 왕국으로 조직되었으며,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우사 술탄국 등 여러 술탄국이 존재했다. 20세기 이후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 개편과 아파르 해방 전선 결성 등 정치적 변화를 겪었고, 현재는 아파르 혁명 민주 전선(ARDUF) 등 여러 정당을 통해 권익 보호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아파르족은 주로 이슬람교를 믿으며,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며 가축을 기르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시족 - 오로모인
오로모인은 에티오피아와 케냐에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가다 시스템과 태음태양력을 사용하는 쿠시계 민족으로, 다양한 종교를 믿고 정치적 소외와 인권 침해를 겪어왔으나 최근 정치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 쿠시족 - 소말리인
소말리인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거주하며 소말리아어와 수니파 이슬람교를 사용하고 씨족 중심의 사회 구조를 가지는 민족이다. - 에리트레아의 민족 - 티그리냐인
티그리냐인은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 주로 거주하며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다아마트 왕국 등 고대 왕국 및 정착지와 관련이 있다. - 에리트레아의 민족 - 베자족
베자족은 수단, 에리트레아, 이집트 동부의 동부 사막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쿠시어족 유목민으로, 고대에는 블렘미족으로 불렸으며 기독교를 믿다 이슬람화되었고, 여러 씨족으로 나뉘어 일부는 아랍화되었으며, 자치를 요구하며 베자 의회를 결성하기도 했고, 베자어를 사용한다.
아파르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카파라 (Qafara) |
인구 | |
전체 | 3,350,000명 (2019–2022년) |
에티오피아 | 2,700,000명 (2022년) |
에리트레아 | 304,000명 (2022년) |
지부티 | 342,000명 (2019년) |
문화 | |
거주 지역 | 아프리카의 뿔 |
언어 | 아파르어 |
종교 | 수니 이슬람 |
관련 민족 | 사호족, 소말리족, 베자족 및 기타 쿠시어족 |
2. 어원
"단칼리"라는 용어는 아파르어로 "사람" 또는 "민족"을 의미하는 "단"(dan)과 아파르 지역을 지칭하는 "칼리"에서 유래되었다. 이 용어는 수세기 동안 아파르족, 그들의 언어, 문화, 생활 방식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이 용어의 사용은 아파르족이 그들의 독특한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과 다양한 역사적, 현대적 도전에 직면하여 그들의 유산과 생활 방식을 보존하려는 결의를 반영한다.
3. 역사
3. 1. 초기 역사
아파르족에 대한 초기 기록은 13세기 알-안달루스의 작가 이븐 사이다 알-마그리비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수아킨 항구에서 바브엘만데브 근처 제일라까지 뻗어있는 지역에 "단칼"이라는 민족이 거주한다고 언급했다.[6]
아파르족은 에티오피아 기록에도 꾸준히 등장한다. 황제 암다 시온 1세의 왕실 연대기에는 와시 강 너머의 원정에서 아파르족이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아파르 국가는 원래 에티오피아 기록에서 "아달"로 알려졌으며, 조지 윈 브레튼 헌팅퍼드는 이를 "영구적인 물과 늪이 있는 울창한 숲 지역의 다나킬 국가"로 묘사했다. 연대기 작가는 아파르족의 외모와 군사적 기량에 대해 상세히 묘사했다.[7]
황제 바에다 마리암의 왕실 연대기에도 아파르족이 다시 언급된다. 다나킬의 통치자는 황제의 이웃인 도베아에 대한 원정에 개입하여 도움을 제공했다.[7]
16세기 포르투갈 탐험가 프란시스코 알바레스는 단칼리 술탄국이 서쪽으로는 아비시니아, 동쪽으로는 아달 술탄국에 의해 갇혀 있었다고 기록했다.[8] 그는 아파르족의 소금 거래가 매우 수익성이 좋았다고 묘사했다.[9]
3. 2. 16세기 ~ 19세기
아파르 사회는 전통적으로 독립적인 왕국으로 조직되었으며, 각 왕국은 자체 술탄에 의해 통치되었다. 여기에는 아우사 술탄국, 기리포/비루 술탄국, 타주라 술탄국, 라하이토 술탄국, 고바아드 술탄국이 있었다.[10] 1577년, 아달 지도자 이맘 무함마드 자사는 수도를 하라르에서 현재 아파르 지역의 아우사로 옮겼다.[10] 1647년, 하라르 토후국의 통치자들은 분리되어 자신들만의 정체를 형성했다. 하라리 이맘들은 18세기에 아우사 술탄국을 나중에 설립한 아파르의 무다이토 왕조에 의해 전복될 때까지 남부 아파르 지역에 계속 존재했다.[10] 술탄의 주요 상징은 마법의 속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지는 은색 지휘봉이었다.[11]
아파르족은 아사이마라("붉은 남자")와 아도이마라("하얀 남자")의 두 하위 집단으로 나뉜다. 아사이마라는 귀족으로 여겨졌고, 아도이마라는 열등한 계통으로 여겨졌다. 이 그룹은 150개 이상의 하위 부족으로 더 세분화되었으며, 아사이마라의 주요 부족은 남부의 무다이토였으며, 이곳에 아우사의 술탄이 속해 있었다. 아와시 하류 지역을 점령한 모다이토는 가장 강력한 부족이었으며, 어떤 유럽인도 환대나 혈연 관계를 주장하지 않고는 그들의 영토를 통과하지 않았다.[12] 일부 아파르족은 서부 카라반의 안전을 제공함으로써 유럽인들을 도왔는데, 이는 홍해 남부 해안과 에티오피아 중부 사이를 순환하는 대가였다. 아파르족은 또한 홍해 노예 무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아랍 노예 상인들의 안내 역할을 했다. 아라비아로 가는 주요 노예 경로는 아파르 지역을 통과했으며, 아파르족은 1928년까지 노예를 적극적으로 거래한 것으로 알려졌다.[12]
아파르족은 일관되게 폭력적이고 피에 굶주린 것으로 여겨졌으며, 카라반과 탐험대를 학살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평판이 좋지 않았다. 이탈리아 탐험가 L. M. 네스빗이 묘사한 바와 같이: "다나킬족은 눈에 보이는 낯선 사람을 죽인다. 생명을 빼앗는 것은 그들의 본성이 되었다."[13] 한 주목할 만한 사건에서, 베르너 문칭거는 아내, 자녀, 350명의 병사, 2개의 총, 45마리의 낙타로 구성된 병력과 함께 타주라에 도착했는데, 그들의 임무는 안코버와 타주라 사이의 길을 열고 다나킬 사막을 통과하여 셰와의 메넬리크 왕과 소통하는 것이었다. 11월 14일, 아우사에 도착하자 이집트군은 밤에 많은 수의 아파르족에게 공격을 받았다. 아파르족은 그들의 군대를 학살하여 타주라로 도망친 소수만 남았다. 이집트 사상자 중에는 지도자 문칭거, 그의 아내, 그리고 그의 자녀가 있었다.[13][14][15][16]
19세기 말경, 홍해 해안의 라헤이타와 타주라 술탄국은 유럽 열강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이탈리아는 아삽과 마사와를 포함한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를 형성했고, 프랑스는 지부티에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를 형성했지만, 내륙 아우사는 더 오랫동안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비교적 비옥하고 아와시 강에 위치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사막 지역에 의해 외부와 구분되었다.[17] 에티오피아는 아우사를 중립화하고, 1895-1896년의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중에 이탈리아를 돕는 것을 막고 싶어했다. 아비시니아의 무력 시위는 아파르 술탄 마하마드 한파레가 이탈리아와의 조약을 존중하는 것을 단념하게 했고, 대신 한파레는 전쟁 후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의 간접적인 통치를 받아들임으로써 에티오피아 제국 내에서 약간의 자율성을 확보했다.[17][18]
3. 3. 20세기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에티오피아에 현대적인 행정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에티오피아가 통제하는 아파르 지역은 에리트레아, 티그레이, 월로, 셰와, 하라르게 주로 나뉘었다. 아파르 부족 지도자, 장로, 종교 지도자 및 기타 고위 인사들은 1961년부터 이 분할을 끝내기 위해 정부에 성공하지 못한 시도를 했다. 알리미라 한파레 아파르 술탄의 실패한 반란 이후, 아파르 민족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1975년 아파르 해방 전선이 결성되었다. 술탄 한파데는 곧 사우디 아라비아로 망명했다. 당시 에티오피아를 통치하던 공산주의 데르그 정권은 나중에 아삽 자치구 (현재 아세브로 불리며 에리트레아에 위치)를 설립했지만, 1990년대 초까지 저강도 반란이 계속되었다. 지부티에서는 1980년대 내내 유사한 움직임이 잠복하다가 결국 1991년 아파르 반란으로 정점에 달했다. 같은 해 데르그 정권이 몰락한 후 술탄 한파데는 망명에서 돌아왔다.
1993년 3월, 아파르 혁명 민주 전선 (ARDUF)이 결성되었다. 이는 1991년에 설립되어 모하무다 가스 (또는 가즈)가 이끄는 아파르 혁명 민주 통합 연합 (ARDUU)과 ''Afar Ummatah Demokrasiyyoh Focca'' (AUDF), 아파르 혁명군 (ARF)의 세 아파르 조직의 연합체였다. 이 정당은 아파르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2년 현재 ARDUF는 통합 에티오피아 민주 세력 (UEDF) 연합 야당의 일부이다.
4. 인구
4. 1. 지리적 분포
아파르족은 주로 에티오피아의 다나킬 사막에 거주하며, 에리트레아와 지부티에도 거주한다.[20] 에티오피아에는 2,276,867명의 아파르족이 있으며(총 인구의 2.73%), 이 중 105,551명이 도시 거주자이다(2007년 최신 인구 조사). 아파르족은 지부티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며, 에티오피아의 9개 인정된 민족 구획 (킬릴) 중 하나이다.[21]

4. 2. 언어
아파르족은 아파르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아파르어는 쿠시어파에 속하며,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한 갈래이다.
아파르어는 에티오피아 아파르 지역, 남부 에리트레아, 북부 지부티의 아파르족 사이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아파르족은 전통적으로 유목 목축 민족이므로, 아파르어 사용자는 더 넓은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아파르어는 사호어와 함께 사호-아파르어군 방언군을 이룬다.
5. 사회
5. 1. 종교
아파르족은 주로 무슬림이며, 다양한 지역 무슬림 정치체를 통해 이슬람과 오랫동안 연관되어 왔다.[22] 수니파 이슬람을 실천하며,[22] 대다수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온 성직자와 상인들의 영향력 확대로 인해 13세기까지 이슬람을 받아들였다.[23] 주로 수니파 이슬람의 샤피이 학파를 따르며, 카디리야와 같은 수피교단도 널리 퍼져 있다. 아파르족의 종교 생활은 신성한 장소에서의 비 희생, 점, 민간 치료와 같은 이슬람 개념과 이슬람 이전의 개념이 혼합된 다소 혼합적인 성격을 띤다.[24][25]
5. 2. 문화
사회적으로 아파르족은 장로들이 이끄는 씨족 가족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정치적으로 지배적인 계급인 '아사이마라'(asaimara, '붉은 사람들')와 노동 계급이며 마블라 산맥에서 발견되는 '아도이마라'(adoimara, '백인')의 두 주요 계급으로 나뉜다.[26] 씨족은 유동적일 수 있으며, (이사 씨족)과 같은 외부인도 포함할 수 있다.[24]
아파르족은 뛰어난 무예로 명성이 높다. 남자들은 전통적으로 유명한 곡선 칼인 '질레'를 휴대한다. 그들은 또한 광범위한 전투 노래를 가지고 있다.[22]
아파르족은 주로 가축을 키우며, 낙타를 주로 사육하지만 염소, 양, 소도 기른다. 그러나 가축을 위한 목초지가 줄어들고 환경 파괴가 진행되면서 일부 아파르족은 대신 경작, 이주 노동, 무역으로 전환했다. 에티오피아의 아파르족은 전통적으로 소금 무역에 종사해 왔지만, 최근 티그라이족이 이 직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24]
참조
[1]
웹사이트
Afar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2-02
[2]
웹사이트
Afar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4-03-06
[3]
서적
Institutional Change in the Horn of Africa: The Allocation of Property Right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Universal-Publishers
[4]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23-10-25
[5]
간행물
"A discussion on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Red Sea and the nature of the Red Sea, the Gulf of Aden and Ethiopia rift junction – The seismicity of the Red Sea, Gulf of Aden and Afar triangl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1970
[6]
문서
The Ethiopian Borderlands
Red Sea Press
[7]
문서
The Ethiopian Borderlands
[8]
서적
Le" Futuh al-Habasa": écriture de l'histoire, guerre et société dans le Bar Sa'ad ad-din
https://tel.archives[...]
Université Panthéon-Sorbonne
2022-05-12
[9]
문서
The Ethiopian Borderlands
[10]
서적
The Influence of Islam on the 'Afar (Ethiopia)
https://www.proquest[...]
2024-03-18
[11]
문서
[12]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and Culture
https://web.archive.[...]
Facts on File, Inc.
2019-03-12
[13]
서적
Wylde, Modern Abyssinia, p. 25
[14]
문서
[15]
서적
Edward Ullendorff, The Ethiopians: An Introduction to Country and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inking Outside the Box: Essays on the History and (Under)Development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21-11-15
[17]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vol 1–6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8-07
[18]
서적
Deux vies dans l'histoire de la Corne de l'Afrique: Les sultans 'afar Maḥammad Ḥanfaré (r. 1861–1902) & 'Ali-Miraḥ Ḥanfaré (r. 1944–2011)
https://books.google[...]
Centre français des études éthiopiennes
2022-08-07
[19]
웹사이트
Ethiopia – Political Parties
https://www.angelfir[...]
2006-07-01
[20]
웹인용
"Country level"
http://www.csa.gov.e[...]
2010-08-16
[2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8-04-10
[22]
문서
Lonely Planet Ethiopia and Eritrea
Lonely Planet
[23]
학술지
A Historical Overview of Islam in Eritrea.
2005
[24]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25]
간행물
"Arab-Berber contacts in the Middle Ages and Ancient Arabic dialects: new evidence from an old Ibadite religious text."
de Gruyter, Berlin
[26]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5-10-14
[27]
웹사이트
Afar People
http://www.joshuapro[...]
[28]
문서
『世界の民族 2』《熱帯アフリカ》
平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