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니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니콜은 1828년 니콜 프리즘을 발명하여 편광 연구에 기여한 스코틀랜드의 과학자이다. 그는 또한 현미경 관찰을 위한 얇은 암석 및 결정 박편 제작 기술을 개발하여 광물 내부 구조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니콜의 업적은 굴절과 편광 연구를 발전시켰으며, 달의 도르숨 니콜과 남극 대륙의 니콜 크랙스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 영국의 발명가 - 토머스 페인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영국계 미국인 혁명가, 작가, 정치 사상가로서, 그의 팸플릿 『상식』은 미국 독립 여론 형성에 기여했고, 『미국의 위기』 시리즈는 미국인들의 사기를 진작시켰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인간의 권리』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옹호하고 『이성의 시대』를 통해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했으나, 그의 급진적 사상으로 인해 말년은 고독하게 보냈다. - 영국의 발명가 - 험프리 데이비
영국의 화학자이자 발명가인 험프리 데이비는 전기분해를 통해 여러 원소를 발견하고, 화학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탄광 안전 램프를 발명하고, 왕립 연구소 교수와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과학계를 이끌었다. - 19세기 물리학자 - 피에르 퀴리
프랑스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는 압전 효과 발견, 자기장 연구, 아내 마리 퀴리와 함께 방사능 연구를 통해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그의 업적은 핵물리학 및 화학 발전에 기여했고 사후에도 그의 이름이 기려지고 있다. - 19세기 물리학자 - 레옹 푸코
레옹 푸코는 푸코 진자를 이용한 지구 자전 증명, 회전 거울을 사용한 빛의 속도 측정, 와전류 발견, 푸코 테스트 고안 등 광학과 역학 분야에 공헌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다.
| 윌리엄 니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윌리엄 니콜 |
| 국적 | 스코틀랜드 |
| 출생 | 1768년 |
| 사망 | 1851년 9월 2일 |
| 분야 | 지질학, 물리학 |
| 업적 | |
| 주요 업적 | 니콜 프리즘 발명 (평면 편광을 얻는 최초의 장치) |
| 참고 | |
| 참고 사항 |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
2. 생애
윌리엄 니콜(1770년경[1][7] ~ 1851년 9월 2일[1])은 스코틀랜드 험비 출신의 물리학자이자 지질학자로, 광학과 광물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특히 빛의 편광 연구에 사용되는 니콜 프리즘을 발명했으며, 현미경 관찰을 위한 암석 및 화석 박편 제작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에든버러 대학교 강사로 활동하며 연구에 매진했고, 에든버러에서 생을 마감했다.[1] 그의 연구와 발명은 후속 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초기 생애
니콜은 스코틀랜드 이스트로디언의 험비에서 월터 니콜과 매리언 파울러의 아들로 태어났다.[1][7] 교구 기록에 따르면 그는 1770년 4월 18일에 태어나 4월 22일에 세례를 받았다.[1][7] 일부 자료에서는 그의 출생 연도를 1768년으로 보기도 하며,[1][7] 그의 묘비명을 포함한 다른 자료들은 1766년으로 표기하고 있다.[1][7] 그러나 묘비명은 그가 사망한 지 최소 50년 후에 새겨졌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2][8]2. 2. 과학 활동
윌리엄 니콜은 시각 장애가 있어 화학 및 광학 시연에 도움이 필요했던 삼촌 헨리 모이스의 조수로 과학 경력을 시작했다.[3][4][9][10] 헨리 모이스는 자연 철학 또는 과학 철학 순회 강사였다. 니콜은 삼촌 모이스가 사망한 후 1808년 에든버러 대학교 강사로 임명되어 그 분야에서 인기 있는 강사가 되었다.[11] 그는 광물의 결정학, 광물 속 결정수, 결정 내 유체 함유물, 화석 나무의 미세 구조 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다.[5][11] 연구 결과를 1826년까지 발표하지는 않았다.[5] 이후 에든버러에 정착하여 매우 은둔적인 삶을 살며 연구에 매진했다.[4]2. 3. 니콜 프리즘 발명
니콜은 1828년에 자신의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인 니콜 프리즘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12] 그는 아이스랜드 방해석(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투명한 탄산 칼슘 결정) 중에서도 무색 투명한 아이스랜드 스파(빙주석) 단결정을 사용했다. 이 평행 육면체 모양의 결정을 가장 짧은 대각선을 따라 결정면으로 잘라 이등분한 다음, 두 조각을 캐나다 발삼으로 다시 접착하여 프리즘을 만들었다.니콜 프리즘은 복굴절 원리를 이용한다. 프리즘에 빛이 들어오면 두 개의 광선으로 굴절되는데, 광축에 대해 특정 편광 방향을 가진 빛만 투과시킨다. 다른 편광 방향의 빛은 캐나다 발삼 접합면에서 전반사되어 제거된다.[13] 결과적으로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평면 편광된 상태가 된다.
니콜 프리즘의 발명은 굴절과 편광 연구를 크게 촉진했으며, 편광 현미경의 편광자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이후 분자 구조와 유기 화합물의 광학 활성을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2. 4. 박편 제작 기술 개발
1815년경[14], 윌리엄 니콜은 현미경으로 결정이나 암석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매우 얇은 박편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특히 그는 화석 나무의 미세한 구조를 연구하는 데 이 기술을 적용하고자 했다.[14]박편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연구할 표본에서 조각을 떼어내어 한 면을 완벽하게 평평하게 갈고 연마한다. 이 면을 캐나다 발삼이라는 접착제를 이용해 판유리에 단단히 붙인다. 그 다음, 유리 바깥으로 노출된 표면을 다시 갈아내는데, 돌 조각이 유리 위에 아주 얇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막처럼 남을 때까지 계속한다.
이 기술 덕분에 이전처럼 빛이 표면에 반사되는 것을 보는 대신, 빛이 시료를 통과하는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광물의 내부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니콜은 이 방법으로 화석 나무와 최근 나무의 박편을 많이 만들었다.
니콜이 개발한 박편 제작 기술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인 설명은 헨리 위덤이 1831년에 출판한 저서 Observations on Fossil Vegetables|화석 식물 관찰eng에 실렸다.[6][15][16]
2. 5. 사망
그는 1851년 9월 2일 에든버러의 자택(4 Inverleith Terrace, 현재는 12 Inverleith Terrace로 재명명됨)에서 사망하여[1], 워리스톤 묘지에 묻혔다. 그의 묘소는 현재 동쪽 벽, 봉인된 동쪽 문 북쪽에 있는 명판으로 표시되어 있다.니콜이 사망한 후 그의 기구와 표본은 알렉산더 브라이슨(Alexander Bryson영어)에게 인계되었다. 브라이슨은 컬렉션에 많은 추가를 했으며, 데이비드 브루스터와 니콜에 의해 훨씬 전에 기술되었던 액체를 포함하는 공동을 전시할 목적으로 광물과 암석의 다수의 박편을 제작했다.[15]
달의 링클 리지(지형) 중 하나인 도르숨 니콜[19]과 남극 대륙 코트랜드에 있는 암석 노두인 니콜 크랙스(Nicol Crags영어)[17][18]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9]
3. 업적 및 영향
윌리엄 니콜은 광학 및 광물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1815년경, 광물을 투과광으로 현미경 관찰하기 위해 결정이나 암석의 극히 얇은 절편, 즉 박편(薄片)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특히 화석화된 나무의 미세 구조 연구에 활용되었다.[14] 연구 대상 표본에서 얇은 조각을 떼어내 캐나다 발삼으로 판유리에 고정시킨 후, 노출된 면을 매우 얇고 투명해질 때까지 정밀하게 연마하는 방식이었다. 이 박편 제작 기술 덕분에 과학자들은 반사광이 아닌 투과광을 이용하여 광물 표본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니콜은 이 기술을 이용해 화석과 현대 목재 슬라이드를 다수 제작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헨리 위덤(Henry Witham)의 저서 『화석 식물의 관찰』(Observations on Fossil Vegetables, 1831)에 실렸다. 니콜은 이 박편 제작 과정에 대한 최초의 학술적 발표를 하기도 했다.[15][16]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은 1828년 논문으로 발표된 니콜 프리즘의 발명이다.[12] 이 프리즘은 복굴절 현상을 일으키는 방해석의 일종인 아이스랜드 스파(투명한 탄산 칼슘 결정) 단결정을 특정 각도(가장 짧은 대각선을 따른 결정면)로 잘라 둘로 나눈 뒤, 그 절단면을 캐나다 발삼으로 다시 붙여 만든다. 니콜 프리즘은 빛이 통과할 때 특정 편광 방향의 빛만 투과시키고, 다른 방향의 빛은 캐나다 발삼 접합면에서 전반사시켜 제거함으로써 평면 편광을 만들어낸다.[13] 이 장치는 편광 현미경의 핵심 부품인 편광자로 널리 사용되면서 빛의 굴절과 편광에 대한 연구를 크게 촉진했다. 나아가 유기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밝히고 광학 활성을 측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었다.[13]
니콜이 사망한 후 그의 실험 기구와 표본들은 알렉산더 브라이슨(Alexander Bryson)에게 인계되었다. 브라이슨은 이 컬렉션을 확장하고, 데이비드 브루스터와 니콜이 오래전에 기술했던 액체 내포물(fluid inclusion)을 관찰하기 위해 다수의 광물 및 암석 박편을 추가로 제작했다.[15]
그의 과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달의 도르숨 중 하나에 Dorsum Nicol|도르숨 니콜영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19] 남극 대륙 코츠 랜드(Coats Land)에 있는 암석 노두에는 Nicol Crags|니콜 크랙스영어라는 이름이 명명되었다.[17][18]
4. 같이 보기
4. 1. 관련 인물
- '''헨리 모이스''' (Henry Moyeseng): 니콜의 삼촌이자 과학적 스승이다. 자연 철학 순회 강사였던 모이스는 시각 장애가 있어 화학 및 광학 시연에 조수가 필요했고, 니콜이 그 역할을 맡으면서 과학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3][4][9][10]
- '''데이비드 브루스터''' (David Brewstereng): 스코틀랜드의 저명한 과학자이다. 니콜과 함께 광물 내 액체 함유 공동에 대해 기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 '''알렉산더 브라이슨''' (Alexander Brysoneng): 니콜이 사망한 후 그의 연구 기구와 표본을 인계받았다. 브라이슨은 니콜과 브루스터가 기술했던 액체 함유 공동을 전시할 목적으로 광물과 암석의 박편을 다수 제작하며 니콜의 연구를 이어갔다.[15]
4. 2. 관련 학문 및 기술
윌리엄 니콜은 광학 분야, 특히 편광과 현미경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니콜 프리즘니콜은 1828년 발표한 논문[12]에서 그의 가장 잘 알려진 발명품인 니콜 프리즘을 소개했다. 이 프리즘은 복굴절 성질을 가진 아이스랜드 방해석(투명한 탄산 칼슘 결정)의 평행 육면체를 가장 짧은 대각선을 따라 잘라 이등분한 뒤, 두 조각을 캐나다 발삼으로 다시 붙여 만든 것이다. 프리즘에 들어온 빛은 복굴절에 의해 두 개의 광선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평면 편광된 상태로 프리즘을 통과하고 다른 하나는 캐나다 발삼 접합면에서 전반사되어 제거된다.[13] 니콜 프리즘은 굴절과 편광 연구를 크게 발전시켰으며, 이후 편광 현미경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어 분자 구조와 유기 화합물의 광학 활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박편 제작 기술1815년경, 니콜은 현미경으로 결정이나 암석 시료를 관찰하기 위한 박편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14] 이는 특히 화석 나무의 미세 구조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고안되었다. 그는 연구할 표본에서 얇은 조각을 떼어내어 표면을 완벽하게 평평하게 갈고 광택을 낸 다음, 캐나다 발삼을 이용해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했다. 이후 시료의 노출된 면을 다시 갈아내어 빛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얇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상태로 만들었다. 이 박편 제작 기술 덕분에 기존의 반사광 관찰 방식으로는 볼 수 없었던 광물의 내부 구조를 투과광을 이용하여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광물학과 암석학 연구에 혁신을 가져왔다. 니콜은 이 방법으로 화석 및 현대 나무의 박편을 다수 제작했으며, 이 기술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인 설명은 헨리 위덤의 저서 ''화석 식물 관찰''(1831)에 니콜에 의해 제공되었다.[6][15][16]
니콜은 또한 결정 내 유체 함유물에 대한 연구도 수행했다.[5] 니콜이 사망한 후 그의 기구와 준비물들은 알렉산더 브라이슨에게 넘어갔다.[6]
참조
[1]
서적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 – 2002. Biographical Index Part Two
https://www.royalsoc[...]
2006
[2]
간행물
The inventor of the Nicol prism
1906-02-08
[3]
문서
Joseph Priestley to [[Joseph Banks]]
1783-02-06
[4]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9
[5]
문서
Nicol, William
[6]
서적
The Founders of Geology
https://www.biodiver[...]
1897
[7]
서적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 – 2002. Biographical Index Part Two
https://www.royalsoc[...]
2006
[8]
간행물
The inventor of the Nicol prism
1906-02-08
[9]
문서
Joseph Priestley to [[Joseph Banks]]
1783-02-06
[10]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9
[11]
문서
Nicol, William
[12]
문서
On a method of so far increasing the divergence of the two rays in calcareous-spar that only one image may be seen at a time
[13]
웹사이트
William Nicol
http://encyclopedia.[...]
2013-01-06
[14]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9
[15]
서적
The Founders of Geology
https://www.biodiver[...]
1897
[16]
간행물
Palaeobotany under the microscope: history of the invention and widespread adoption of the petrographic thin section technique
https://www.research[...]
2014
[17]
문서
Nicol Crags
[18]
웹사이트
Nicol Crags, Antarctica - Geographical Names, map, geographic coordinates
https://geographic.o[...]
2024-12-03
[19]
웹사이트
Dorsum Nicol auf The-Moon Wiki
http://the-moon.wi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