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데이비스 레이놀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데이비스 레이놀즈는 1867년에 태어나 1951년에 사망한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다. 1891년 한국 선교를 결심하고, 1892년 한국에 도착하여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장로교 선교 공의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전주교회 목사로 부임했으며, 구약성경 번역 위원으로 참여하여 한국어 구약성경 번역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서 어학과 조직신학을 가르쳤으며, YMCA 낙성식에서 설교를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에 거주한 미국인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한국에 거주한 미국인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 장로교 선교사 - 펄 S. 벅
펄 S.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중국과 동양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작가이며, 펄벅재단을 설립하여 여성 인권, 인종 간 입양, 혼혈아 문제 등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했고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 장로교 선교사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 미국의 기독교 선교사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미국의 기독교 선교사 - 펄 S. 벅
펄 S.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중국과 동양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작가이며, 펄벅재단을 설립하여 여성 인권, 인종 간 입양, 혼혈아 문제 등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했고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윌리엄 데이비스 레이놀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윌리엄 데이비스 레이놀즈 |
한국어 이름 | 이눌서 (李訥瑞) |
![]() | |
출생일 | 1867년 11월 12일 |
출생지 | 노퍽, 버지니아주, 미국 |
사망 | 1951년 |
사망 장소 | 노스캐롤라이나주, 미국 |
소속 교단 | 미국 남장로교 |
배우자 | 팻시 볼링 레이놀즈 |
자녀 | 캐리 미베인 레이놀즈 윌슨 |
학력 | 햄든-시드니 대학 존스 홉킨스 대학교 유니온 장로교 신학교 |
2. 생애
레이놀즈는 1867년 버지니아주 노퍽에서 태어나 1891년 유니온 신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9월, 안식년을 맞아 미국에 돌아간 언더우드 선교사의 강연을 듣고 한국 선교를 결심, 1892년 1월 22일에 한국 선교 허가를 받았다. 그해 11월 3일 제물포에 도착하여 서울로 이동했다.
1893년 1월 28일, 장로교 선교 공의회(Presbyterian Mission Council)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회의에서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사들은 호남, 제주, 충청남도 등을 선교 지역으로 결정했다. 1894년 3월부터 5월까지 전라도 지역을 다니며 선교 구역을 조사했고, 1895년 조선상임성서실행위원회 산하 공인번역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897년 전주교회(후일 서문밖교회) 목사로 부임했다. 1900년 9월 9일, 전주 서문 밖 완산 북림 기슭에 있는 이눌서의 집 사랑방에서 하리슨 선교사(W. B. Harrison)가 김창국을 대상으로 근대식 교육을 시작하였다.
1902년 10월, 밀러 선교사의 지방 순회로 승동교회 임시 당회장이 되었다.[15] 1906년 3월부터 1907년 8월까지는 제임스 게일 목사의 안식년으로 연동교회 강단을 담당했다.[16] 1907년 YMCA 낙성식에서 설교를 했다.
같은 해, 이창직, 김정삼과 함께 구약성경 번역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10년 4월 2일 구약성서 전체 번역을 마치고, 5월 안식년으로 미국에 갔다가 1911년 10월 전주교회로 복귀, 독노회 회장을 역임했다.
1917년 평양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서 어학을 가르치기 시작, 1918년 안식년 후 1920년에 복귀했다. 1924년부터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1929년 지리산 노고단과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내에 9홀 골프장을 설계했다.[17]
1937년 6월, 미국으로 귀국하였으나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폐교로 복귀하지 못했다.[18] 1951년, 노스캐롤라이나 몬트리어트에서 사망했다.[1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레이놀즈는 1867년 버지니아주 노퍽에서 태어났으며, 1887년에 햄든-시드니 대학을 졸업하고 교사로 재직했다. 이후 개신교 목사가 되기 위해 1890년 미국 리치먼드에 있는 미국 남장로교회의 교단 신학교인 유니온 신학교에 진학했다.[10] 신학교 재학 중 1891년 9월에 있었던 전국 신학교 해외선교 집회에서 언더우드 선교사와 윤치호로부터 한국 선교에 대한 강연을 듣고 한국 선교에 참여하기로 결심했다.[10]2. 2. 한국 선교
레이놀즈는 1891년 9월 전국 신학교 해외선교 집회에서 언더우드 선교사와 윤치호의 강연을 듣고 한국 선교를 결심했다.[10] 1892년 10월 17일과 11월 3일, 미국 남장로교회 소속 선교사 7인(전킨(William McCleery Junkin, 全緯廉), 테이트(Lewis Boyd Tate, 崔義德), 레이놀즈(W. D. Reynolds, 李訥瑞), 마티 테이트(Mattie S. Tate, 최마태), 린니 데이비스(Linnie Davis), 팻시 볼링(Patsy Bolling), 메어리 레이번(Mary Leyburn))과 함께 한국에 입국했다.[11]
1893년 1월 28일, 장로교 선교 공의회(Presbyterian Mission Council)가 조직되었고 레이놀즈는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회의에서 미국 남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들은 호남, 제주, 충청남도 등을 선교 지역으로 결정했다. 1894년 3월부터 5월까지 레이놀즈는 군산, 전주, 목포, 순천 등 전라도 지역을 다니며 선교 구역을 조사했다. 1897년에는 전주교회(후일 서문밖교회) 목사로 부임했다.
2. 3. 성경 번역
레이놀즈는 1895년 10월 조선상임성서실행위원회 산하 공인번역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한국에 들어온 지 3년 밖에 되지 않아 레이놀즈에게 중책을 맡기는 것에 대해 아펜젤러가 반대했지만, 레이놀즈는 번역위원으로 활동하며 오히려 아펜젤러의 마태복음 번역 오류를 지적하기도 했다.[12]1910년 4월 2일 오후 5시, 레이놀즈는 구약의 마지막 구절 번역을 마치고 서울에 있는 영국성서공회 소속 휴 밀러(Hugh Miller)에게 '번역다됐소'라는 전보를 보냈다.[13] 이는 최초로 구약 전체를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게일과 언더우드가 참여한 예레미야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레이놀즈가 번역하여 사실상 개인 번역과 다름없다는 평가를 받는다.[14] 레이놀즈가 번역한 《구약전서》는 1911년 3월 요코하마에서 3만 부 인쇄되어 반포되었다.
2. 4. 신학 교육
William Davis Reynolds영어는 1902년 10월 밀러 선교사가 지방 순회를 위해 자리를 비우면서 승동교회 임시 당회장이 되었다.[15] 1906년 3월부터 1907년 8월까지는 제임스 게일 목사가 안식년으로 자리를 비워 연동교회 강단을 담당했다.[16] 1907년에는 YMCA 낙성식에서 설교했다. 1911년에는 독노회 회장을 역임했다.1917년, 평양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서 어학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1924년부터는 조직신학 교수가 되었다. 1929년에는 지리산 노고단과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내에 9홀 골프장을 설계했다.[17]
2. 5. 말년
1937년 6월, 미국으로 귀국하였으나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폐교로 복귀하지 못했다.[18] 1951년, 노스캐롤라이나 몬트리어트에서 사망했다.[18]참조
[1]
웹사이트
A history of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https://pres-outlook[...]
2017-07-18
[2]
웹사이트
Directory of Protestant Missionaries in China, Japan and Corea for the year 1904
https://divinity-adh[...]
1904
[3]
웹사이트
Magazine & Journal Articles
https://kmhistory.co[...]
[4]
웹사이트
The Biblicism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Its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https://www.scielo.o[...]
2016-04-13
[5]
웹사이트
William D. Reynolds, “How We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http://koreanchristi[...]
1910
[6]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of the RASKB: 1900-1920
http://anthony.sogan[...]
[7]
웹사이트
레이놀즈(한국명:이눌서, 李訥瑞, William David Reynolds, 1867.12.11~1951) 선교사
http://kcm.kr/dic_vi[...]
2008-05-16
[8]
문서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Guide to the Reynolds and Groves Family Papers
[9]
웹사이트
1932년판 햄든-시드니 대학 졸업생 명단
https://www.myherita[...]
[10]
웹사이트
평양대부흥
http://www.1907reviv[...]
미국 남장로교회
[11]
뉴스
선교사들에서 나온 좋은 씨앗, 물가에 심겨졌다
http://www.igoodnews[...]
기독교연합신문
2015-03-31
[12]
뉴스
일제강점기 조선땅에 온 벽안의 선각자들 ⑤ 윌리엄 데이비드 레이놀즈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4-12-01
[13]
뉴스
일제강점기 조선땅에 온 벽안의 선각자들 ⑤ 윌리엄 데이비드 레이놀즈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4-12-01
[14]
뉴스
한글 성경번역에 힘쓴 선교사들
http://www.newspower[...]
뉴스파워
2013-02-15
[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8-16
[1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8-16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8-16
[18]
웹사이트
William Davis Reynolds(1867-1951)
https://www.findag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