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1859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을 받고 목사가 된 후, 1885년 한국에 파송된 북장로교 선교사이다. 그는 한국어 학습과 함께 정동교회 설립, 한영사전 및 한영문법 발간, 성경 번역, YMCA 설립 등 초기 한국 프로테스탄트 전파에 기여했다. 또한, 경신학교,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등 교육 기관을 설립하여 교육 사업에도 힘썼다. 1916년 미국으로 귀국하여 사망했으며, 그의 가족들은 이후에도 한국에서 의료 선교와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성경 번역자 - 존 로스 (선교사)
스코틀랜드 출신 장로교 선교사 존 로스는 중국 동북부에서 활동하며 조선족 상인들을 통해 한국어를 배워 한국어 성경 번역에 기여하고 한국어 학습서와 한국 역사서를 저술했다. - 한국어 성경 번역자 - 제임스 게일
제임스 게일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번역가로, 한국에서 성경 번역, 사전 편찬, 문학 작품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한국에 거주한 미국인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한국에 거주한 미국인 - 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
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는 한국 근대화에 기여한 미국의 의료 선교사이자 작가로, 제중원 여성 부서를 이끌고 명성황후의 주치의를 지냈으며, 콜레라 유행 시 무료 진료소를 운영했다. - 장로교 선교사 - 펄 S. 벅
펄 S.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중국과 동양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여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작가이며, 펄벅재단을 설립하여 여성 인권, 인종 간 입양, 혼혈아 문제 등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했고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 장로교 선교사 - 넬슨 벨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언론인인 넬슨 벨은 중국에서 의료 선교사로 활동 후 《더 서던 프레즈비테리언 저널》을 창간하여 보수적인 장로교 세력을 옹호했으며, 사위 빌리 그레이엄에게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창간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정치적으로도 활동했다.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한국어 이름 | 원두우 |
한자 | 元杜尤 |
로마자 표기 | Horaeseu Geuraenteu Eondeoudeu Won Du-u |
출생일 | 1859년 7월 19일 |
출생지 | 런던, 영국 |
사망일 | 1916년 10월 12일 |
사망지 | 애틀랜틱 시티, 뉴저지, 미국 |
안장 장소 |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대한민국 (1999년–) 그로브 교회 묘지, 미국 (1916년–1999년) |
국적 | 미국 |
주요 활동 | |
직업 | 초기 한국 선교사, 연세대학교의 전신 학교 설립자 |
주요 작품 | 조선의 부름 |
종교 | 장로교 |
가족 | |
배우자 | 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 |
자녀 | 원한경 (아들) |
교육 | |
학력 | 뉴브런즈윅 신학교 |
모교 | 뉴욕 대학교 뉴브런즈윅 신학교 |
기타 | |
직책 |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장 |
사목 표어 |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사도 바울) |
2. 생애
언더우드는 1884년 미국 성서공회 간행물에 실린 이수정의 편지에 감명을 받아 한국 선교를 결심했다고 전해진다.[2]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펜젤러와 함께 조선에 들어왔다.[4] 그는 앨런이 운영하던 광혜원(이후 제중원, 세브란스 의학교를 거쳐 현재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가르쳤다.[3]
1886년 조선 최초의 근대식 고아원을 설립하여 경신학교로 발전시켰다. 1887년에는 정동교회를 설립하였다. 1890년에는 『한영사전』과 『한영문법』을 발행하고, 1894년에는 찬송가를 번역하는 등 한국어 연구와 번역에도 힘썼다. 아펜젤러, 스크랜튼, 게일, 레아놀즈와 함께 성경 번역에 참여하여 1900년 신약, 1910년 구약을 완성했다. 1897년 기독교신문 발행, 1903년 YMCA 설립 등 조선 초기 개신교 전파에 큰 업적을 남겼다.
1912년 피어선기념성경학원(현재 평택대학교)의 초대 총장이 되었다. 같은 해 경신학교 총장이 되었고, 1915년에는 조선기독교대학(경신학교 대학부)을 설립, 1917년 연희전문학교(현재의 연세대학교)로 발전시켰다. 저서로는 『조선의 부르짖음』(The Call of Korea, 1908년) 등이 있다.
1916년 건강 문제로 미국으로 귀국, 애틀랜타에서 사망하여 유해는 서울 외국인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선교사 임명
1859년 7월 19일 영국 런던에서 아버지 존과 어머니 엘리자베스 사이의 네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5세 때 어머니와 사별하였다. 10세 때 프랑스의 가톨릭계 기숙학교에 입학하였다. 사업에 실패하고 재기를 꾀하던 아버지와 함께 13세에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1877년 뉴욕 대학교에 입학하여 1881년 졸업하였다. 이어 뉴저지주의 뉴브런즈윅 신학교(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에서 공부하여 1883년 11월 장로교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1884년 동 신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후 1년 동안 해외 선교를 위해 의학을 공부했다.[11]미국 성서공회 간행물에 실린 이수정(최초의 한국어 성경 번역가)의 편지에 감명을 받아 한국에서 선교 활동을 하겠다고 결심했다고 전해진다.[2] 1884년 7월 북장로교 해외 선교사로 임명되어 조선으로 파송이 결정되었다. 1884년 12월 16일 샌프란시스코를 출항하여 일본 요코하마에 도착하였으나, 갑신정변으로 인한 조선의 정세 불안과 여비 문제로 요코하마에 머물게 되었고, 당시 일본에서 성경 번역 활동 등을 하고 있던 조선인 기독교도 이수정에게서 한국어를 배웠다.[11]
2. 2. 조선 입국 및 선교 활동
1885년 4월 2일 부산항을 통해 입국했으며,[11] 같은 달 5일에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와 함께 제물포항에 도착하였다. 조선 정부에서 선교활동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중원에서 물리와 화학을 가르치는 교사가 되었다.[3] 1886년에는 조선 최초의 근대적 고아원을 설립하였는데, 이 고아원은 후에 학교가 되어 기독학당, 구세학당 등으로 불리다가 1905년 경신학교로 발전하였다.개신교 선교사로서 교회 설립과 전도 여행에 힘썼다. 1887년 조선인 교우들과 함께 조선 장로교 교회사에서 첫 장로교 교회인 정동교회(현재 새문안교회)를 설립하였고,[11] 1900년대 초 개신교 양평동교회를 설립하였다. 전도가 활발한 지역이었던 북한 지역을 3차례 전도 여행하였다.
성서 번역에도 공헌하였는데, 1887년 상임 성서위원회 위원 자격으로 아펜젤러와 함께 마가 복음서의 한글판을 번역·출간하였다.[11] 아펜젤러, 스크랜튼, 게일, 레아놀즈와 함께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했으며, 신약은 1900년에, 구약은 1910년에 완성되었다.[5] 1894년에는 찬송가를 번역하였다.[11]
1900년 게일과 함께 서울 YMCA를 설립하였다.[5] 1903년에는 YMCA 설립에 참여하였다.[11] 학생 시절에 피어선 박사에게 영향을 받았던 인연으로 1912년부터 1916년까지 피어선기념성경학원(현재 평택대학교) 교장을 역임하였다.[11] 같은 해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경신학교(儆新學校)의 총장이 되었다.[5]
1915년에는 조선기독교대학(경신학교 대학부)을 설립하였고, 이 학교는 1917년 연희전문학교(현재의 연세대학교)가 되었다.[11]
뛰어난 복음주의 설교가로서 예수의 부활,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알기 쉽게 설교했다.[11]
한국어 연구에도 힘써 1890년 한영사전과 한영문법을 발행하였다.[11] 1897년에는 기독교신문을 발행했다.[11]
2. 3. 한국 사회와의 연대와 민족의식 고취
언더우드(원두우)는 일제에 의해 반일 인사로 여겨질 만큼 한국 민중과 연대했다.[11] 그는 라디오 방송으로 "참고 견딘다면 해방의 날이 올 것입니다."라고 연설하며 한국인들의 독립 의지를 북돋았고, 친일 성향의 선교사나 일제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2. 4. 사망 및 사후
1916년 건강 악화로 미국으로 돌아가 1916년 10월 12일 뉴저지주 애틀랜틱시티에서 사망하였다.[6] 시신은 조선으로 옮겨져 양화진 외인 묘지에 안장되었다.[6] 사후에도 언더우드 가문은 조선에 남아 3대에 걸쳐 의료 선교와 한남대학교 설립 등 교육 발전에 기여하였고, 특히 4대손인 원한광(Horace Horton Underwood Jr.)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해외에 알려 전두환 군사독재정권에 의해 강제 추방당했다.3. 언더우드 가문의 유산
연세대학교 캠퍼스 중앙에는 언더우드 동상이 있으며, 서울국제학교의 언더우드 활동 센터는 그의 손자인 리처드 F. 언더우드에게 헌정되었다. 언더우드의 후손들은 100년 이상 한국 사회, 종교, 정치,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아들 호레이스 허튼 언더우드(1890–1951)는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의 전신 중 하나)에서 교육 사업을 이어갔다.
그의 손자 호레이스 그랜트 언더우드 2세 (1917–2004)는 한국 전쟁 휴전 회담에서 통역관으로 활동했다.[7][8]
그의 증손자 호레이스 허튼 언더우드 2세 (1942– )는 연세대학교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했다.
4. 가족
아버지 존 언더우드는 화학 기술자로, 잉크와 타자기 제조 공장을 설립했다. 형 존 T. 언더우드는 언더우드 타자기 회사를 크게 성장시킨 뛰어난 사업가였다.[1] 1889년, 조선에서 의료 선교 활동을 하던 릴리아스 호튼(한국명 원호돈(元好敦))과 결혼했다.[1] 아들 호러스 호튼 언더우드(한국명 원한경(元漢卿)) 역시 조선에서 교육자로 활동했다.[1]
참조
[1]
백과사전
언더우드 Horace Grant Underwood
http://www.encyber.c[...]
Doosan Corporation
2008-07-08
[2]
뉴스
이수정과 마가복음
http://m.amennews.co[...]
2024-08-21
[3]
웹사이트
Americans in Korea in the late 1800s
http://www.asianrese[...]
Association for Asia Research
2003-08-05
[4]
웹사이트
The Early Years of the RASKB: 1900-1920
http://anthony.sogan[...]
[5]
뉴스
10 Most Remembered
https://koreatimes.c[...]
2007-10-17
[6]
웹사이트
A Church for Hudson County - History
http://www.groverefo[...]
[7]
웹사이트
2002 VAN FLEET AWARD
https://web.archive.[...]
2008-12-05
[8]
웹사이트
TRIBUTE TO DR. HORACE GRANT UNDERWOOD
https://web.archive.[...]
2011-07-19
[9]
뉴스
Underwood Family Bids Farewell to Korea after 119 Years of Service
https://web.archive.[...]
2009-12-24
[10]
웹사이트
RCA Report of the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Building a New Future for the Oldest Protestant Seminary in North America.
https://web.archive.[...]
2013-09-27
[11]
서적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상)
장신대 출판부
199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