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크스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크스랜드는 남극의 일부로, 인도양에 면해 있으며 퀸메리 해안과 아델리랜드 사이에 위치한다. 동경 100°31'에서 136°11'까지 약 2,600km에 달하는 부채꼴 모양으로 뻗어 있으며, 대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다. 윌크스랜드는 녹스 해안, 버드 해안, 사브리나 해안, 반자레 해안, 클레어 해안, 아델리 해안으로 세분된다. 1838년부터 1842년까지 미국 탐험대가 이 지역을 탐사했으며, 찰스 윌크스 중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가 윌크스랜드 대부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프랑스는 아델리랜드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2006년에는 윌크스랜드 크레이터로 추정되는 지름 480km의 중력 이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극의 지역 - 트리니티반도
    트리니티반도는 남극 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1820년 에드워드 브랜스필드에 의해 발견되었고, 트리니티 하우스의 공로를 기려 명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820년 네이서니얼 팔머가 이끄는 탐험선이 처음 상륙했다.
  •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 돔 A
  •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 앨런 구릉 84001
    앨런 구릉 84001은 약 1,600만 년 전 화성에서 떨어져 나온 화산암 운석으로, 40억 9,100만 년 전 결정화되었으며 NASA가 생명체 흔적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논쟁이 있고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동남극 - 남극횡단산맥
    남극횡단산맥은 로스해와 웨델해 사이 남극 대륙을 가로지르는 약 3,500km의 산맥으로, 동남극과 서남극의 경계를 이루며 다양한 해양 동물 서식지이자 남극 지질학적 역사와 생태 연구에 중요한 지역이다.
  • 동남극 - 돔 A
윌크스랜드
지도
일반 정보
위치남극 대륙 동부
주장 국가오스트레일리아
면적2,600,000 제곱킬로미터
좌표남위 70도 동경 133도
지리
주요 지형포크스 빙하
덴먼 빙하
셰퍼드 산맥
보스트크호
역사
명칭 유래찰스 윌크스 미국 해군 중령
기타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영토오스트레일리아 남극 영토의 일부

2. 지리

윌크스랜드는 남쪽 인도양에 면한 남극의 광대한 지역으로, 퀸메리 해안과 아델리랜드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대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으며, 남극점을 향해 부채꼴 모양으로 길게 뻗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여러 해안 지역으로 나뉜다.

2. 1. 위치 및 범위

윌크스랜드는 남쪽 인도양에 면해 있으며, 퀸메리 해안과 아델리랜드 사이에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는 동경 100°31'의 호던 곶에서 서쪽으로는 동경 136°11'의 푸르쿠아파스 곶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은 약 2600km에 달하는 부채꼴 모양으로 남극점을 향해 뻗어 있으며, 추정 육지 면적은 2600000km2이며 대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다.

남극의 윌크스랜드,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윌크스랜드는 남극점으로 뻗어 있는 다음과 같은 해안 지역으로 세분화된다.

윌크스랜드의 세부 해안 지역
해안동경 범위
녹스 해안100°31' ~ 109°16'
버드 해안109°16' ~ 115°33'
사브리나 해안115°33' ~ 122°05'
반자레 해안122°05' ~ 130°10'
클레어 해안 (윌크스 해안)130°10' ~ 136°11'



더 넓은 의미에서 윌크스랜드는 동쪽으로 동경 142°02'의 알덴 곶까지 뻗어 있으며, 프랑스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델리랜드를 포함한다. 지리적으로는 서쪽 벙거힐스(Bunger Hills) 북서쪽의 호던 곶(남위 66°15′, 동경 100°31′)에서 동쪽 코먼웰스만(Commonwealth Bay) 서쪽의 알덴 곶(남위 66°48′, 동경 142°02′)에 걸쳐 있는 지역으로 정의된다.[3] 동쪽은 조지 5세 랜드, 서쪽은 퀸 메리 랜드(Queen Mary Land)와 접한다. 아델리 해안을 제외하고, 푸르콰파 포인트(Pourquoi Pas Point)(남위 66°12′, 동경 136°11′)가 동쪽 경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 해안선은 남극선(남위 66도 33분)을 거의 따라 남극점에서 약 2600k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원호를 그리고 있다.

2. 2. 해안 지역



녹스 해안에서 사브리나 해안까지의 위성 사진


윌크스랜드는 남극점을 향해 뻗어 있으며, 지리적으로 서쪽에서 동쪽 순서로 다음과 같은 해안 지역으로 세분화된다. 이 "해안"들은 배후지를 포함하여 "랜드"라고 부르기도 한다.[4][5][6][7][8][9]

지역서쪽 경계동쪽 경계설명
녹스 해안
Knox Coast영어
100°31' E109°16' E호던 곶과 해치 제도(Hatch Islands영어) 사이.
버드 해안
Budd Coast영어
109°16' E115°33' E해치 제도(Hatch Islands영어)와 왈드론 곶(Cape Waldron영어) 사이.
사브리나 해안
Sabrina Coast영어
115°33' E122°05' E왈드론 곶(Cape Waldron영어)과 사우다드 곶(Cape Southard영어) 사이.
반자레 해안
Banzare Coast영어
122°05' E130°10' E사우다드 곶(Cape Southard영어)과 모스 곶(Cape Morse영어) 사이.
클레어 해안
Clarie Coast영어
130°10' E136°11' E모스 곶(Cape Morse영어)과 푸르쿠아파스 곶(Pourquoi Pas Point|뿌르쿠아 파 포인트영어) 사이.
아델리 해안
Adélie Coast영어
136°11' E142°02' E푸르쿠아파스 곶(Pourquoi Pas Point|뿌르쿠아 파 포인트영어)과 알덴 곶(Point Alden영어) 사이.



일반적으로 윌크스랜드는 동경 100°31'의 호던 곶에서 동경 136°11'의 푸르쿠아파스 곶까지를 의미하지만, 더 넓은 의미에서는 동쪽으로 동경 142°02'의 알덴 곶까지 확장하여 프랑스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델리랜드(아델리 해안 포함)를 포함하기도 한다.

3. 역사

윌크스랜드는 1838년부터 1842년까지 미국 탐험대를 지휘한 미국 탐험가 찰스 윌크스 중위(후에 소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명칭은 윌크스가 해안선 2400km에 걸쳐 대륙 연변을 발견하여 남극대륙이라는 실질적인 증거를 제공한 공로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1] 다만, 윌크스가 발견했다고 기록한 지역 중 일부(조지 5세 랜드 동쪽 142°02' E 너머)는 이후 탐험 결과 위치가 수정되어 윌크스랜드의 정의에서 제외된다.

3. 1. 초기 탐험 (19세기)

윌크스랜드는 미국 탐험대를 지휘한 찰스 윌크스 중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세기 초, 여러 탐험가들이 윌크스랜드 해안 지역을 탐험하며 남극 대륙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기여했다.

1838년부터 1839년까지 남극해 탐험 항해를 한 영국 엔더비사 소속 포경선 선장 존 배리니(John Balleny)는 1839년 2월 동경 163도 부근에서 배리니 제도를 발견했다. 그의 탐험대 일원이 섬에 상륙한 후, 배리니는 서쪽으로 항해를 계속했다. 1839년 3월, 배리니는 남위 64도 58분, 동경 121도 08분 위치에서[11] 남서쪽 동경 117도 부근에 있는 육지를 잠시 관측했다.[12] 이 지역은 후에 배리니 탐험대의 커터 '사브리나 호'의 이름을 따 사브리나 해안으로 불리게 되었다.[6]

1837년부터 프랑스 해군의 아스트롤라베호를 이끌고 남극 탐험에 나선 쥘 뒤몽 뒤르빌은 1840년 1월, 태즈메이니아 호바트에서 남하하여 남극 대륙 해안에 도달했다. 그는 해안과 주변 섬들을 발견하고, 발견한 해안에 자신의 아내 이름을 딴 아델리 해안과 탐험대 제2함장 샤를 자키노의 아내 이름을 딴 클라리 해안(Clarie Coast)이라는 명칭을 붙였다.[9][8] 아델리 해안 앞바다의 뒤물랭 제도(Dumoulin Islands)와 지올로지 군도(Géologie Archipelago)도 이때 발견되었으며, 뒤르빌 탐험대는 뒤물랭 제도 중 한 섬에 상륙했다. 아델리 해안이 접한 해역에는 뒤르빌 해(D'Urville Sea)라는 이름이 붙었다.

같은 시기, 미국 탐험 원정대(1838년~1842년)를 이끌던 미국 해군의 찰스 윌크스 중위(후에 소장)는 시드니를 거점으로 남극 탐험에 나섰다. 1839년 12월, 기함 빈센스호를 타고 출발한 윌크스는 1840년 1월 25일, 배리니 제도 서쪽에서 "남극 대륙"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그는 2월 중순까지 남극 대륙 가장자리를 따라 2400km 이상 탐사하며 남극대륙이라는 실질적인 증거를 제공했다.[1][3] 노스 해안, 바드 해안 등의 지명은 윌크스 탐험대에 참여했던 함장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윌크스랜드라는 명칭은 이 탐험을 이끈 찰스 윌크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그는 해안선 2400km에 걸쳐 대륙 연변을 발견하여 남극이 대륙이라는 실질적인 증거를 제공했다.[1] 다만, 윌크스가 발견했다고 기록한 해안의 위치는 이후의 탐험 결과 실제로는 더 남쪽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3] 윌크스랜드의 정의에서는 그가 발견했지만 나중에 위치가 수정된 조지 5세 랜드의 동경 142°02' 동쪽 지역은 제외된다.

3. 2. 20세기 탐험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의 더글러스 모슨은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탐험대Australasian Antarctic Expeditioneng를 이끌고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남쪽에 위치한 남극 대륙의 조사와 탐험을 실시했다. 커먼웰스만(Commonwealth Bay)에 기지를 건설한 이 탐험대는 윌크스랜드 일대를 조사하는 동시에, 윌크스랜드 동쪽에 조지 5세 랜드, 서쪽에 퀸 메리 랜드를 발견했다.

1930년부터 1931년에 걸쳐 모슨이 다시 이끈 영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남극 연구 탐험대British-Australian-New Zealand Antarctic Research Expedition|BANZAREeng에 의한 탐험이 이루어졌다. 이 탐험대는 항공기 관측을 통해 반자레 해안(Banzare Coast)을 발견했다[7].

1933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윌크스랜드를 포함한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4. 지질

윌크스랜드 지역, 동남극에서 상당한 양의 용수를 생산하는 딥블 빙붕의 전선


2005년 기준으로 남자기극은 윌크스랜드 해안 근처에 위치했다.

윌크스랜드의 빙상 아래에는 거대한 중력 이상이 발견되어, 이것이 대규모 운석 충돌구(윌크스 랜드 크레이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10] 이 지형 구조의 정확한 성격과 이것이 과거 지구 역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0]

4. 1. 윌크스 랜드 크레이터

2006년, 랄프 폰 프레세와 라라미 포츠가 이끄는 연구팀은 NASA의 GRACE 위성의 중력 측정값을 분석하여 윌크스랜드에서 거대한 중력 이상을 발견했다.[2][10] 이 중력 이상 지역은 지름 약 480km에 달하는 윌크스 랜드 크레이터로 추정되며, 약 2억 5천만 년 전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10]

윌크스랜드 빙상 아래 깊숙이 묻혀 있는 이 거대한 지형 구조가 실제로 운석 충돌로 형성된 크레이터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만약 이것이 충돌 크레이터로 확인된다면, 지구상에서 발견된 가장 큰 규모의 크레이터 중 하나가 될 것이며, 지름 약 50km 크기의 소행성이나 혜성이 충돌하여 생성된 것으로 추측된다.[10] 특히, 이 크레이터의 추정 형성 시기인 2억 5천만 년 전은 고생대중생대의 경계에서 발생한 P-T 경계 대멸종 사건 시기와 일치하여, 두 사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0]

5. 영유권 주장

프랑스는 윌크스랜드 내 아델리랜드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아델리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윌크스랜드 지역을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의 일부로 간주하여 영유권을 주장한다. 그러나 남극 조약에 따라 남극 지역에 대한 모든 영토 주권 주장 및 청구권은 현재 동결된 상태이다.

5. 1. 오스트레일리아와 프랑스의 영유권 주장



오스트레일리아는 윌크스랜드 중 프랑스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델리랜드(동경 136도 ~ 142도)를 제외한 지역, 즉 동경 136도 서쪽과 동경 142도 동쪽 지역에 대해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으로서 영유권을 주장한다. 프랑스아델리랜드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일부로 간주하며 영유권을 주장한다.

그러나 남극 조약에 따라 남극 지역의 영토 주권 주장 및 청구권은 현재 동결된 상태이다.

6. 대중문화

윌크스랜드는 1998년 영화 ''X파일: 미래와의 전쟁''의 주요 배경으로 등장한다. 폭스 멀더는 의지에 반해 그곳에 억류된 파트너 다나 스컬리를 구하기 위해 남극으로 향한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담배 피우는 남자가 운영하는 거대한 비밀 연구소를 발견한다.

참조

[1] 서적 The Great United States Exploring Expe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2] 웹사이트 Big Bang in Antarctica — Killer Crater Found Under Ice http://researchnews.[...] Research News 2006-06-01
[3] 간행물 2013-05-03
[4] 간행물 2013-05-03
[5] 간행물 2013-05-03
[6] 간행물 2013-05-03
[7] 간행물 2013-05-03
[8] 간행물 2013-05-03
[9] 간행물 2013-05-03
[10] 뉴스 BIG BANG IN ANTARCTICA -- KILLER CRATER FOUND UNDER ICE ''Research and Innovation Communications'' http://researchnews.[...]
[11] 문서 Eliza Scott: discovery of Antarctic, log books http://www.aim25.ac.[...]
[12] 간행물 2013-05-03
[13] 간행물 2013-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