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파투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파투 국립공원은 스리랑카의 국립공원이다. 기원전 543년에 비자야 왕자가 탐바파니에 상륙하여 신할라 왕국을 건국했다는 기록이 있는 곳으로, 1905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1938년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멸종 위기 종인 코끼리, 표범, 나무늘보곰 등이 발견된다. 2012년 공원 경계 확장과 관련하여, 내전으로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국내 실향민들에게 장애가 된다는 논란과 산림 파괴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랑카의 공원 - 비하라마하데비 공원
비하라마하데비 공원은 스리랑카 콜롬보 중심부에 위치하며,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는 공원이다. - 스리랑카의 공원 - 쿠마나 국립공원
쿠마나 국립공원은 스리랑카 동부에 위치하여 다양한 동물과 철새의 서식지이며 고대 문명과의 연관성을 지닌 곳으로, 환경 파괴의 위협에 직면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지역이다.
윌파투 국립공원 | |
---|---|
개요 | |
![]() | |
위치 | 북서부 및 북중부 주, 스리랑카 |
가장 가까운 도시 | 만나르, 아누라다푸라, 푸탈람 |
좌표 | 8°26′N 80°00′E |
면적 | 1,316.671 km² |
지정 | 1905년 (야생 동물 보호 구역) 1938년 12월 25일 (국립 공원) |
관리 주체 | 스리랑카 야생 동물 보호 부서 |
람사르 습지 | 윌파투 람사르 습지 클러스터 |
람사르 등록일 | 2013년 2월 2일 |
람사르 등록 번호 | 2095 |
지리 | |
위치 | 해안에서 내륙으로 30 km 정도 떨어져 있음 |
위치 (남북) | 26 km |
콜롬보에서 거리 | 180 km |
고도 | 0–152 m |
동물 | |
주요 포식자 | 스리랑카표범 |
추가 정보 | 가장 큰 보호 지역인 스리랑카에서 먹이 자원 분포에 영향을 받음 |
표범 개체수 | 주요 표범 보존 거점이라는 증거가 있음 |
2. 역사
마하밤사에 따르면, 기원전 543년에 비자야 왕자가 현재 쿠드리말라이 포인트(말의 곶)로 알려진 탐바파니에 상륙하여 신할라 민족을 건국했다고 한다.[4] 1905년 이 지역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1938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2. 1. 고대 역사
마하밤사에 따르면, 기원전 543년에 비자야 왕자가 현재 쿠드리말라이 포인트(말의 곶)로 알려진 탐바파니에 상륙하여 탐바파니 왕국을 세우고 신할라 민족을 건국했다고 한다.[4] 쿠드리말라이는 47년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신하가 몬순으로 인해 항로를 벗어나 방문한 곳이기도 하다. 이후 현지 왕은 플리니우스 시대에 로마에 사절단을 보냈다.[4]2. 2. 국립공원 지정
마하밤사에는 기원전 543년에 비자야 왕자가 현재 쿠드리말라이 포인트(말의 곶)로 알려진 탐바파니에 상륙하여 탐바파니에 신할라 왕국을 세우고 신할라 민족을 건국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지역은 1905년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1938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4]2. 3. 경계 확장 및 논란
윌파투 국립공원의 경계는 원래 남쪽의 푸탈람구와 동쪽의 아누라다푸라구를 포함했다.[5][6][7][8] 2012년 10월 10일, 정부는 공원의 경계를 스리랑카 북부주 지역까지 확장하는 여러 관보(산림 보존 조례 451장 3절)를 발표했다.[9][10] 2012년 윌파투 국립공원 경계 확장은 특히 스리랑카 북부주 무슬림 추방 사건으로 인해 LTTE의 영향을 받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국내 실향민들에게 심각한 장애물로 여겨진다.[11]내전 종식 이후, 윌파투 국립공원 내 일부 지역이 특정 정치인들에 의해 주택 건설을 위해 점거되어 무슬림 정착촌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여러 시민 사회 단체와 연구자들은 이러한 사람들이 1990년 LTTE에 의해 민족 청소 정책에 따라 강제로 쫓겨났다가 원래 마을로 돌아온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1999년 민족 청소 이후 공원은 현재 크기로 확장되었으며, 이 지역 사람들은 옛 마을들이 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었다고 주장했다. 2018년에 촬영된 항공 사진은 상당 부분의 숲이 개간되었고, 해당 지역에 많은 수의 작은 집들이 건설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2. 4. 산림 파괴 문제
내전 종식 이후, 윌파투 국립공원 내 일부 지역이 특정 정치인들에 의해 주택 건설을 위해 점거되어 무슬림 정착촌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 여러 시민 사회 단체와 연구자들은 이들이 1990년 LTTE에 의해 민족 청소 정책에 따라 강제로 쫓겨났다가 원래 마을로 돌아온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1] 1999년 민족 청소 이후 공원은 현재 크기로 확장되었으며, 이 지역 사람들은 옛 마을들이 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었다고 주장했다.[1] 2018년에 촬영된 항공 사진에는 상당 부분의 숲이 개간되었고, 해당 지역에 많은 수의 작은 집들이 건설되고 있음이 나타났다.[1]3. 기후
연간 강수량은 약 1000mm이며 연평균 기온은 약 27.2°C이다. 3월의 계절풍 사이의 강우와 북동 계절풍(12월~2월)이 주요 강수원이다.
4. 동식물
윌파투 국립공원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식물과 동물을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각 === 식물 === 과 === 동물 ===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식물
윌파투에는 염생식물과 같은 해안 식생과 팜(''Manilkara hexandra'')과 새틴(''Chloroxylon swietenia''), 밀라(''Vitex altissima''), 위라(''Drypetes sepiaria''), 흑단(''Diospyros ebenum'') 및 웨워르나(''Alseodaphne semecapriflolia'')와 같은 키 큰 나무가 있는 낮은 관목 몬순 숲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식물이 있다.4. 2. 동물
윌파투 국립공원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을 볼 수 있다.31종의 포유류가 확인되었는데, 그 중 멸종 위기 종으로는 스리랑카코끼리, 스리랑카 나무늘보곰, 스리랑카표범, 물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스리랑카 삼바사슴, 스리랑카 액시스 사슴, 몽구스, 생쥐, 땃쥐 등이 서식하고 있다.
조류는 채색황새, 넓적부리, 작은가마우지, 실론야계를 비롯하여 올빼미, 제비갈매기, 갈매기, 독수리, 솔개, 말똥가리 등 다양한 종이 발견된다. 습지 조류로는 흰뺨오리, 알락오리, 검둥오리, 넓적부리, 검은머리흰죽지, 큰 흰색 왜가리, 황로, 자주해오라기 등을 볼 수 있다.
파충류는 벵골왕도마뱀, 늪지악어, 코브라, 쥐뱀, 비단뱀, 연못거북, 부드러운 껍질 거북 등이 공원 내 물웅덩이에 서식한다.
5. 사진
윌파투 국립공원에서 촬영된 동물 사진은 다음과 같다.
'''새'''
'''파충류'''
'''포유류'''
5. 1. 새
채색황새, 넓적부리, 작은가마우지, 스리랑카 덤불닭을 비롯하여 많은 종의 올빼미, 제비갈매기, 갈매기, 독수리, 솔개, 말똥가리가 윌파투 국립공원에서 발견된다. 윌파투에서 볼 수 있는 습지 조류 종은 흰뺨오리, 알락오리, 검둥오리, 넓적부리, 검은머리흰죽지, 큰 흰색 왜가리, 소 흰죽지 및 자주해오라기이다.5. 2. 파충류
윌파투 국립공원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파충류는 벵골왕도마뱀, 늪지악어(머거악어), 코브라, 쥐뱀, 비단뱀, 연못거북 그리고 부드러운 껍질 거북 등이며, 이들은 공원 내 대형 영구적 물웅덩이에 서식한다.5. 3. 길짐승(포유류)
윌파투 국립공원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포유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Wilpattu Ramsar Wetland Cluster
https://rsis.ramsar.[...]
2018-04-25
[2]
논문
Edge effects and distribution of prey forage resources influence how an apex predator utilizes Sri Lanka's largest protected area
https://zslpublicati[...]
2021-05
[3]
논문
Evidence for a critical leopard conservation stronghold from a large protected landscape on the island of Sri Lanka
https://www.scienced[...]
2022-09-01
[4]
웹사이트
Project Expedition
https://www.projecte[...]
2021-02-07
[5]
웹사이트
Separating The Issues Concerning Muslim Resettlement
https://www.colombot[...]
2021-04-25
[6]
웹사이트
Survey Online Store
https://www.survey.g[...]
2021-04-25
[7]
웹사이트
Future of the displaced in Musali South – Ilankai Tamil Sangam
https://sangam.org/f[...]
2021-04-25
[8]
논문
Some aspects of the behaviour of muntjacs in Wilpattu National Park
http://dx.doi.org/10[...]
1977
[9]
서적
Denying the right to return : resettlement in Musali South and the Wilpattu controversy
http://worldcat.org/[...]
Kandy Forum
2015
[10]
웹사이트
Muslims Caged In Musali
https://www.colombot[...]
2021-04-26
[11]
뉴스
Muslims Caged In Musali
Colombo Telegraph
2017-04-09
[12]
웹사이트
Wilpattu deforestation controversy
http://www.dailymirr[...]
2018-09-30
[13]
웹사이트
The Controversy of Wilpattu – Ilankai Tamil Sangam
https://sangam.org/c[...]
[14]
논문
Contested Conservation, Ethnopolitics, and the State
[15]
웹사이트
The Wilpattu Controversy: Open Letter to the President
https://www.colombot[...]
2017-03-31
[16]
웹사이트
Wilpattu deforestation controversy
https://b.marfeelcac[...]
2018-09-30
[17]
Youtube
New developments in deforestation of Wilpattu
https://www.youtube.[...]
2018-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