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핑은 노르드 사가, 《헬기크비다 훈딩스바나 I》, 《헤임스크링글라》 및 《소구브로트》 등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또는 씨족이다. 윌핑은 예아타의 소왕국인 외스테르예틀란드를 다스렸으며, 헬기 훈딩스바네, 요르바르드 일핑, 호그네 등이 윌핑족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베오울프》와 같은 작품에도 등장하며, 대중문화에서는 약탈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드인 씨족 - 볼숭
볼숭은 북유럽 신화에서 용맹하고 비극적인 운명을 지닌 가문의 이름으로, 레리르 왕의 아들 볼숭을 시작으로 시그문드의 비극을 거쳐 여러 작품에 영감을 주며 널리 알려졌다.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그렌델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괴물 그렌델은 카인의 후손으로 묘사되며 흉측한 외모를 지닌 채 흐로드가르 왕의 궁궐 헤오로트를 습격하여 공포를 몰아넣었으나, 베오울프와의 싸움 끝에 죽음을 맞이한다.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위글라프
위글라프는 서사시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인물로, 베오울프와 함께 드래곤과 싸우고 베오울프의 유언에 따라 왕위를 계승하는 충성심과 용기의 상징이다. - 고트인 - 아스파르
5세기 동로마 제국에서 알란족-고트족 혼혈 출신으로 군사적,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세 황제 시대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레오 1세 시대에 암살당한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 고트인 - 동고트족
동고트족은 3세기부터 로마 기록에 나타난 고트족의 한 분파로, 다뉴브 강 하류와 흑해 북부에서 거주하며 로마와 경쟁하고 용병을 제공하다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에 동고트 왕국을 건설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고, 그들의 고트어와 문화는 다른 유럽 민족에게 흡수되었다.
윌핑 | |
---|---|
개요 | |
유형 | 스웨덴의 씨족 |
어원 | 늑대 (울프) |
관련 | 뵐숭 가문 |
인물 | |
알려진 구성원 | 잉걀드 헬기 힌드 브뢴힐드 |
개요 | |
유형 | 스웨덴의 씨족 |
어원 | 늑대 (울프) |
관련 가문 | 뵐숭 가문 |
인물 | |
알려진 구성원 | 잉걀드 헬기 힌드 브뢴힐드 |
2. 문학 속의 일핑
윌핑(Ylfing) 또는 일핑 가문은 여러 노르드 문학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씨족으로 등장한다. 이들은 주로 스칸디나비아 지역, 특히 예아타족이 살았던 외스테르예틀란드의 통치 가문으로 묘사되지만, 작품마다 그들의 구체적인 위치나 역할, 다른 가문과의 관계 등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주요 등장 작품으로는 고 에다에 속하는 시 《헬기크비다 훈딩스바나 I》,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저술한 《헤임스크링글라》, 그리고 아이슬란드 사가인 《소구브로트》 등이 있다. 이들 작품에서는 윌핑 가문 출신 인물들의 행적과 그들이 다스렸던 영토, 다른 영웅들과의 관계 등이 서술된다. 예를 들어, 《헬기크비다 훈딩스바나 I》에서는 신피요틀리나 헬기 훈딩스바네와 같은 인물들의 거주지가 언급되며, 《헤임스크링글라》와 《소구브로트》에서는 호그니, 히욤룬드 등 윌핑 가문 인물들의 왕위 계승과 관련된 서로 다른 기록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윌핑 가문에 대한 전승이 다양하게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2. 1. 노르드 사가
노르드 사가에 따르면 윌핑 가문은 예아타의 소왕국인 외스테르예틀란드를 다스렸다.첫 번째 시 ''헬기크비다 훈딩스바나 I''에서 신피요틀리는 브라벨리르에 거주하는 것으로 묘사된다.(브라벨리르 전투 참조) 시의 42절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문 (고대 노르드어) | 번역 |
---|---|
헬기 훈딩스바네는 흐링스타디르(아마도 현대의 Ringstad)에 거주했으며, 이곳은 브라벨리르와 같은 평원에 있는 오래된 왕실 영지였다.
헤임스크링글라에 따르면, 호그니는 외스테르예틀란드의 통치자였으나, 헬기 훈딩스바네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반면, ''소구브로트''에서는 잉얄드가 죽은 후 이바르 비드파므가 히욤룬드에게 외스테르예틀란드의 왕위를 주었다고 기록한다. 이는 히욤룬드의 아버지 히욤바르가 다스렸던 왕국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Hann setti konunga ok jarla ok lét ser skatta gjalda; han setti Hjörmund konung, on Hervardar Ylfings, yfir Eystra-Gautland, er átt hafði faðir hans ok Granmarr konungr''.
(그는 왕들과 야를들을 임명하고 그들에게 세금을 바치게 했다; 그는 헤르바르드 윌핑의 아들 히욤룬드 왕을 외스트라-예틀란드에 세웠는데, 그곳은 그의 아버지와 그란마르 왕이 소유했던 곳이다.)
그러나 '소구브로트'의 기록은 헬기 훈딩스바네의 전설과 헤임스크링글라의 내용과 서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윌핑 가문(호그니 또는 헬기 훈딩스바네)은 이바르에게 살해당하기 전까지 외스테르예틀란드를 잃지 않았으며, 이바르가 그들의 친척인 히욤룬드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는 것이다.
2. 2. 《헬기크비다 훈딩스바나 I》
고 에다 중 하나인 《헬기크비다 훈딩스바나 I》에는 윌핑 일족과 관련된 인물들의 거주지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이 시에서 신피요틀리는 브라벨리르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브라벨리르 전투와 관련이 있는 지명이다. 시의 42절에서 신피요틀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원문 | 번역 |
---|---|
한편, 헬기 훈딩스바네는 흐링스타디르(아마도 현대의 Ringstad)에 거주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곳은 브라벨리르와 같은 평원에 위치한 오래된 왕족 영지로 추정된다.
2. 3. 《헤임스크링글라》
헤임스크링글라에 따르면 호그니(Högne)는 외스테르예틀란드의 통치자였다. 헬기 훈딩스바네의 전설에 따르면, 호그니는 헬기 훈딩스바네에게 왕위를 잃었다고 전해진다.한편, 《소구브로트》(Sögubrot)에서는 다른 이야기가 전해진다. 잉얄드(Ingjald)가 죽은 후, 이바르 비드파므(Ivar Vidfamne)가 히욤룬드(Hjörvard)에게 동예아타의 왕위를 주었다는 것이다. 이는 그 땅이 본래 히욤룬드의 아버지 히욤바르(Hjörvard)의 왕국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 Hann setti konunga ok jarla ok lét ser skatta gjalda; han setti Hjörmund konung, on Hervardar Ylfings, yfir Eystra-Gautland, er átt hafði faðir hans ok Granmarr konungr|non
그러나 이러한 《소구브로트》의 내용은 헬기 훈딩스바네의 전설 및 《헤임스크링글라》와 모순되는 지점이 있다. 《헤임스크링글라》 등에서는 윌핑 왕조가 이바르 비드파므가 호그네나 헬기 훈딩스바네를 죽이기 전까지는 외스테르예틀란드를 잃지 않았으며, 그 이후에야 친척인 히욤룬드에게 왕위가 넘어갔다고 보기 때문이다.
2. 4. 《소구브로트》
《소구브로트》에 따르면, 잉얄드가 죽은 후 이바르 비드파므는 외스테르예틀란드(Eystra-Gautland)의 왕위를 헤르바르드 윌핑(Hervardr Ylfing)의 아들인 효르문드(Hjörmundr)에게 주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그곳이 효르문드의 아버지(헤르바르드)와 그란마르(Granmarr) 왕이 통치했던 왕국이었기 때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Hann setti konunga ok jarla ok lét ser skatta gjalda; han setti Hjörmund konung, on Hervardar Ylfings, yfir Eystra-Gautland, er átt hafði faðir hans ok Granmarr konungrnon''
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헬기 훈딩스바네의 전설이나 헤임스크링글라의 내용과는 모순되는 지점이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윌핑 왕조는 이바르 비드파므가 호그니나 헬기 훈딩스바네를 죽이기 전까지는 외스테르예틀란드의 통치권을 잃지 않았다. 따라서 이바르가 윌핑 왕조 인물들을 제거하고 그들의 친척인 효르문드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는 《소구브로트》의 설명은 다른 기록들과 충돌하여 역사적 사실 관계에 대한 논쟁의 여지를 남긴다.
3. 알려진 일핑족
- 일푸르 또는 울푸르(Ylfur or Úlfur) (''씨족의 가능한 조상''), 씨족이 조상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에 근거함.
- 헬름 울핑검(Helm Wulfingum) ("울핑의 헬름"), ''위드시스(Widsith)''에 언급됨.
- 헤아돌라프(Heaðolaf) (''베오울프(Beowulf)'')
- 헬기 훈딩스바네(Helgi Hundingsbane) (''에다(Edda)'', ''볼숭가 사가(Völsunga saga)'' 및 ''노르나-게스트스 사트르(Norna-Gests þáttr)'')
- 요르바르드 일핑(Hjörvard Ylfing) (예: ''헤임스크링글라(Heimskringla)'' 및 ''소구브로트(Sögubrot)'')
- 요르문드(Hjörmund) (예: ''헤임스크링글라'' 및 ''소구브로트'')
- 호그네(Högne) (예: ''헤임스크링글라'')
- 호그네의 아들 힐두르 (예: ''헤임스크링글라'')
- 현명한 에리크(Eric the Wise) (''스칼드스카파르말(Skáldskaparmál)'' 및 ''힌들라의 시(Lay of Hyndla)'')
- 리키울프(Rikiwulf) ("부유하고 강력한 늑대"), 876년 현재 틸트(Tielt) 근처 플란데런(Flanders)에 정착하여 리키울핑가-하임(Rikiwulfinga-haim)을 건설했다.
- 웨알세오(Wealhþeow), 덴마크 왕 흐로드가르(Hroðgar)의 왕비, ''베오울프(Beowulf)''에 등장.
4. 대중문화 속의 일핑
윌핑 약탈자들은 《베오울프: 쉴드랜드로의 귀환》에 적대자로 등장한다.
참조
[1]
문서
[2]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Generalstabens litografiska anstalt
[3]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And the Pre-Viking Kingdom of East Anglia
Boydell & Brewer
[4]
서적
Det svenska rikets uppkomst
Generalstabens litografiska anstalt
[5]
서적
The Origins of Beowulf: And the Pre-Viking Kingdom of East Anglia
Boydell & Brew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