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로드가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흐로드가르는 고대 영어로 표기된 이름으로, 앵글로색슨 문학 작품인 《베오울프》와 《위드싯》에 등장하는 덴마크의 왕이다. 《베오울프》에서 그는 거대한 홀 헤오로트를 건설하고, 괴물 그렌델과 그렌델의 어머니의 공격을 받아 게아트족 영웅 베오울프의 도움을 받는다. 스칸디나비아 문학에서는 스킬딩 왕조의 덴마크 왕으로 묘사되며, 《흐롤프 크라키의 사가》 등에서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쿌둥 가 - 스쿌둥 일족의 사가
스쿌둥 일족의 사가는 9세기부터 11세기 덴마크를 중심으로 활동한 스쿌둥 일족의 역사와 바이킹 시대, 중세 시대, 근세 시대 덴마크의 역사를 아우르며 덴마크의 정치, 사회, 문화, 예술과 한국과의 역사적 관계를 상세히 기술한다. - 스쿌둥 가 - 흐롤프 크라키
흐롤프 크라키는 스칸디나비아 전설에 나오는 덴마크의 전설적인 왕으로, 용맹과 관대함으로 유명하며 여러 사가와 문헌에 등장하지만 이복 누이 스쿨드의 반역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는 인물이다.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그렌델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괴물 그렌델은 카인의 후손으로 묘사되며 흉측한 외모를 지닌 채 흐로드가르 왕의 궁궐 헤오로트를 습격하여 공포를 몰아넣었으나, 베오울프와의 싸움 끝에 죽음을 맞이한다. - 베오울프의 등장인물 - 위글라프
위글라프는 서사시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인물로, 베오울프와 함께 드래곤과 싸우고 베오울프의 유언에 따라 왕위를 계승하는 충성심과 용기의 상징이다. - 6세기 유럽의 군주 - 토틸라
토틸라는 6세기 중반 오스트고트 왕국의 왕으로, 고트 전쟁을 이끌며 이탈리아 대부분을 장악하고 로마를 두 차례 함락시켰으나, 타기나에 전투에서 패배해 전사하며 왕국의 몰락을 초래했다. - 6세기 유럽의 군주 - 테오도리쿠스 대왕
테오도리쿠스 대왕은 488년 이탈리아를 정복하고 로마 문화를 부흥시킨 동고트족의 왕으로, 아리우스파 신자였으며 라벤나를 수도로 삼아 통치하다가 말년에 종교적 갈등을 겪었다.
흐로드가르 |
---|
2. 명칭
흐로드가르(Hrothgar, Hrōðgār)는 《베오울프》와 《위드싯》에 등장하는 고대 영어 형태이며, 이들은 이 인물을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자료이다.[3] 영어 외의 자료에서는 고대 아이슬란드어, 고대 덴마크어, 라틴어 형태로 나타난다. 사가와 시에서는 'Hróarr', 'Hroar' 등으로, 덴마크 라틴 연대기에서는 'Ro' 또는 'Roe'로 등장한다. 'Hrōðgār'는 원시 노르드어 *''Hrōþigaizaz''(로저와 파생 관계) "유명한 창"으로 생각된다. 고대 노르드어 이름 'Hróarr'와 그 변형은 *''Hrōþigaizaz''에서 파생되었으며, *''Hrōþiwarjaz'' ("유명한 수호자") 또는 *''Hrōþiharjaz'' ("유명한 전사")와 매우 유사한 이름에서 유래되었다.[4]
흐로드가르는 앵글로색슨 문학의 두 서사시 《베오울프》와 《위드싯》에 등장한다. 《베오울프》는 흐로드가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며, 게아트족 영웅 베오울프가 괴물 그렌델로부터 백성을 구하기 위해 그를 방문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위드싯》은 흐로드가르, 헤오로트, 그의 조카 흐로둘프, 그들의 적 잉겔드를 간략히 언급하지만, 《베오울프》에서 부족한 잉겔드와의 불화가 어떻게 끝나는지에 대한 정보를 보충한다.[1]
3. 앵글로색슨 문학
3. 1. 베오울프
서사시 《베오울프》에서 흐로드가르는 거대한 연회장 헤오로트를 건설한 덴마크의 왕이다. 게아트족 영웅 베오울프가 괴물 그렌델을 물리치기 위해 도착했을 때 덴마크를 다스리고 있었다.[5]
흐로드가르는 헬프데네 왕의 네 자녀 중 둘째로, 형 헤오로가르와 남동생 할가, 그리고 스웨덴 왕과 결혼한 여동생이 있었다. 여동생의 이름은 원고에 명확히 나오지 않지만, 이르사 등으로 불린다.[6][7]
흐로드가르는 정직하고 관대한 왕으로 묘사된다. "그는 맹세를 어기지 않았고, 반지를 나누어주었고, 그의 식탁에 보물을 주었다."[10] 그는 "유명한 왕", "유명한 전사", 스킬딩 씨족의 "보호자", "늙고 좋은" 사람으로 불렸다.[11] 덴마크인들은 그를 훌륭한 왕으로 여겼다.[11]
베오울프가 그렌델을 물리치자 흐로드가르는 큰 보물로 감사를 표했다.[12] 그는 베오울프의 아버지 에그데오와의 우정을 떠올리고, 베오울프를 아들처럼 사랑하겠다고 맹세했다.[15][16]
흐로드가르의 조카 흐로돌프[17] (스칸디나비아 자료에서는 롤프 크라키)는 그의 지지자이자 오른팔이었다.[18] 흐로돌프는 흐로드가르의 남동생 할가의 아들이다.
흐로드가르는 벨세오 왕비와의 사이에서 흐레드릭, 흐로문드 두 아들과 딸 프레아와루를 두었다.[19] 흐로돌프는 흐로드가르가 아들들이 성장하기 전에 죽을 경우 섭정자가 될 예정이었다.[19]
그렌델의 어머니의 공격으로 절망에 빠졌던 흐로드가르는 베오울프의 조언으로 다시 일어섰다.[21][22] 베오울프가 그렌델의 어머니를 물리친 후, 흐로드가르는 베오울프에게 오만함과 신을 잊지 말라는 교훈을 남겼다.[23]
베오울프가 떠날 때, 흐로드가르는 매우 슬퍼하며 그와 작별했다.[24]
흐로드가르는 딸 프레아와루를 헤아도바르드의 왕자 잉겔드와 결혼시켜 분쟁을 끝내려 했지만 실패했다.[25][26]
《위드지스》에 따르면, 흐로드가르와 흐로돌프는 헤오로트에서 잉겔드를 물리쳤다.
3. 2. 위드싯
위드싯은 흐로드가르와 흐로둘프가 헤오로트에서 잉겔드를 물리쳤다는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한다.[1]4. 스칸디나비아 문학
스칸디나비아 문학에서 흐로드가르는 스킬딩 왕조의 덴마크 왕으로, 헤알프데네의 아들이자 할가의 형이며, 흐로둘프의 삼촌으로 묘사된다.[35] 이는 에아드길스와 동시대 인물이라는 점에서 《베오울프》와 일치한다.[36] 이러한 묘사는 사건 발생 700~800년 후, 《베오울프》와 《위드시스》 작성 300~400년 후에 구전으로 구성된 점을 고려하면 주목할 만하다.
주요 차이점으로는 헤아도바르드의 잉겔드와 프로다가 스칸디나비아 전통에도 등장하지만, 부족 간 반목이 아닌 가족 간 반목으로 묘사된 점, 일부 출처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가 뒤바뀌어[37] 잉겔드 또는 프로다가 헤알프데네의 형제로 묘사된 점, 잉겔드 또는 프로다가 헤알프데네를 살해했지만 흐로드가르와 할가에게 복수당해 죽는 점, 스칸디나비아 전통에서 흐로드가르는 조카 흐로둘프에 비해 비중이 적은 점 등이 있다.
흐로드가르 등의 이름은 이야기가 기록될 당시 고대 아이슬란드어 또는 라틴어화된 고대 덴마크어 형태로 나타나며, 고대 영어나 "진정한" 원시 노르드어 형태는 아니다.[3]
영웅 베오울프가 스칸디나비아 문헌 속 흐로둘프의 광전사 뵈드바르 비아르키와 기원이 같을 수 있다는 논쟁도 존재한다.[38]
아이슬란드 자료에서 흐로드가르(Hrothgar), 할가(Halga), 흐로둘프(Hroðulf)는 각각 '흐로아르(Hróarr)', '헬기(Helgi)', '흐롤프(Hrólfr)'로 표기되며, 흐롤프는 '크라키(Kraki)'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스횔둥가 사가》(Skjöldunga saga)는 라틴어 요약본만 남아 이름이 라틴어화되었다.
흐로드가르에 관한 기록 중, ''노르웨이의 건설''을 제외한 모든 기록은 공통적으로 덴마크 왕 할프데네의 아들, 할가의 형제, 흐로울프의 삼촌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담고 있다. 그 외에는 할가와 그의 딸 이르사의 근친상간으로 흐로울프가 태어났다는 이야기가 스칸디나비아 전승의 주된 내용이며, 이는 《베오울프》에는 언급되지 않았거나 시인이 알지 못했던 이야기이다. 덴마크 자료 (《레드라 연대기》, 《룬덴 연대기》, 《데인인의 사적》)는 모두 흐로드가르를 덴마크의 왕으로 묘사하여 《베오울프》와 일치한다.
4. 1. 흐롤프 크라키의 사가
흐로아르(Hróarr)는 온순하고 쾌활한 인물로 묘사되며, 왕국 통치에는 관심이 없어 동생 헬기(Helgi)에게 덴마크 왕위를 맡긴다. 그는 노섬브리아 왕 노르드리(Norðri)의 딸 오그(Ögn)와 결혼하여 노섬브리아에서 산다. 헬기는 흐로아르에게 덴마크 왕국의 몫을 보상하는 의미로 금반지를 선물한다.[38]세빌(Sævil) 예르의 아들이자 흐로아르와 헬기의 조카인 흐로크르(Hrókr)는 할아버지 할프단(Halfdan)에게서 상속받은 것이 없다는 사실에 질투를 느껴 삼촌 헬기에게 상속을 요구한다. 헬기는 덴마크의 3분의 1을 줄 수 없다고 거절하고, 흐로크르는 노섬브리아로 가서 금반지를 요구한다. 흐로아르는 반지를 보여달라는 흐로크르의 요청에 화가 나 반지를 물에 던져버린다. 분노한 흐로크르는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흐로아르를 죽이지만, 헬기에게 복수당해 팔을 잘린다. 흐로아르의 아들 아그나르(Agnar)는 물속으로 잠수하여 반지를 되찾고 큰 영광을 얻는다.[38]
헬기는 딸 이르사(Yrsa)를 되찾기 위해 스웨덴을 공격하다가 스웨덴 왕 아딜스(Aðils)에게 죽임을 당하고, 이르사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흐로울프 크라키(Hrólfr Kraki)가 왕위를 계승한다.[38]
이 사가는 다른 스칸디나비아 문헌 및 베오울프와는 달리, 할가의 딸 이르사와의 근친상간 이야기는 다루지만, 흐로드가르를 덴마크 왕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대신 흐로드가르는 노섬브리아 왕 노르드리의 딸 오그와 결혼하여 노섬브리아에서 산다.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흐로드가르의 아내 웨알드세오와 흐로울프 크라키의 사가에 등장하는 오그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각에서는 오그가 웨알드세오와 그녀의 가족(헬밍 가문)이 앵글로색슨족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38] 또한, 흐로드가르의 아들 흐레드릭과 흐로드문드는 스칸디나비아 전통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흐로울프 크라키의 사가에서는 아그나르에 해당한다는 점이 다르다.
4. 2. 스횔둥가 사가, 비야르카리무르
스횔둥가 사가(Skjöldunga saga)[38][39]와 뱌르카림르(Bjarkarímur)[38]는 흐로드가르에 관한 설화와 유사한 버전을 전하지만, 몇 가지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잉겔드(Ingjaldus)가 다시 등장하지만, 《흐롤프 크라키의 사가》와 달리 잉겔드는 헤알프다네(Haldan)의 이복형제로서 프로다(Froda)의 자리를 대신한다.이 자료들은 할단에게 잉갈두스라는 이복형제가 있었고, 시그리트라는 왕비가 있었는데 그들 사이에서 '''로아스'''와 헬고, 딸 시그니, 이렇게 세 명의 자녀를 낳았다고 전한다.
잉갈두스는 이복형제 할단을 질투하여 그를 공격하여 죽이고 시그리트와 결혼한다. 잉갈두스와 시그리트는 후에 래레쿠스(Rærecus)와 프로도라는 두 아들을 낳는다. 그들의 이복 여동생 시그니는 어머니와 함께 지내다가 예르인 셸란섬의 사빌과 결혼한다. 잉갈두스는 조카들이 복수를 원할까 봐 걱정하여 그들을 찾아 죽이려 하지만, 로아스와 헬고는 스쿠네 근처 섬에 숨어 살아남는다. 그들이 성장하자 잉갈두스를 죽여 아버지의 복수를 한다.
두 형제는 모두 덴마크의 왕이 되고, 로아스는 잉글랜드 왕의 딸과 결혼한다. 헬고가 자신의 딸 이르사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롤포가 여덟 살이 되자 헬고는 죽고 롤포가 왕위를 계승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로아스는 이복형제 래레쿠스와 프로도에게 죽임을 당하고, 그 후 롤포는 덴마크의 유일한 왕이 된다.
이 버전은 흐로드가르(로아스)와 할가(헬고)를 헤알프다네(할단)의 아들로, 흐로드가르를 흐로둘프(롤포)의 삼촌으로 묘사하여 다른 모든 흐로드가르 전승과 일치한다. 또한 프로다(프로도)와 잉겔드(잉갈두스)의 불화, 여동생이 있었다는 언급은 《베오울프》, 《흐롤프 크라키의 사가》와 일치하지만, 잉겔드를 프로다의 아버지로 설정하여 역할이 반전된다. 할가의 딸 이르사와의 근친상간 관계를 다루는 점, 흐로드가르를 덴마크의 왕으로 제시하는 점은 다른 스칸디나비아 버전과 일치한다. 앵글로색슨 여인과 흐로드가르를 결혼시키는 점, 여동생이 사빌 예르와 결혼했고, 숙부를 죽여 아버지의 복수를 하기 전 친족 살해 위협을 피해 섬에 숨어야 했다는 점은 《흐롤프 크라키의 사가》와 일치한다.
4. 3. Hversu Noregr byggdist
''Hversu Noregr byggdist''라는 고대 노르드어 족보 작품에는 흐로아르에게 발다르라는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발다르는 할랄드 늙은이의 아버지였고, 할프단 용감왕의 할아버지였으며, 이바르 비드팜네의 증조할아버지였다. 그리고 이바르 비드팜네는 하랄드 와르투스의 외할아버지였다.[35] 하랄드 와르투스는 그의 조카 시구르드 링(스웨덴의 왕이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과의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사망했다.이 이야기는 흐로드가르의 삶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하랄 1세 노르웨이가 스칸디나비아 전설 속 왕들과 영웅들로부터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흐로아르가 스킬핑 가문의 흐로드가르와 동일 인물이라고 추정하는 유일한 이유는 흐로드가르만이 그의 이름 외에 다른 신원 확인이 필요 없을 정도로 유명한 고대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Skjöldunga saga''에 따르면, 발다르는 할가의 사촌 뢰레크가 데인족의 왕으로 흐로돌프(흐롤프 크라키)를 계승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고 한다. 전쟁 후 뢰레크는 셸란을 차지했고, 발다르는 스코네를 차지했다. ''Hversu Noregr byggdist''와 동일한 전통에 근거한다면, 발다르는 전 왕 흐로드가르의 아들로서 왕위를 주장할 권리가 있었다.
4. 4. 덴마크 연대기 (Chronicon Lethrense, Annales Lundenses, Gesta Danorum)
흐로드가르는 덴마크 왕으로, 로스킬레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35] 할가의 형제이자 흐로둘프의 삼촌이다.[35]흐로드가르에 관한 기록 중 《노르웨이의 건설》을 제외하면, 모든 기록에서 세 가지 요소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그는 덴마크 왕 헤알프데네의 아들이고, 할가의 형제이며, 흐로울프의 삼촌이었다. 스칸디나비아 전승은 할가와 그의 딸 이르사의 근친상간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흐로울프를 낳았으며, 《베오울프》에는 언급되지 않았거나 시인이 알지 못했던 이야기이다. 덴마크 자료 (《렉레의 연대기》, 《룬데세 연대기》, 《데인인의 사적》)는 모두 흐로드가르를 덴마크의 왕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베오울프》와 일치한다.[35]
5. 같이 보기
- 베오울프
- 흐로돌프 (롤프 크라키)
- 스킬둥 가문
참조
[1]
웹사이트
this English language presentation by the Swedish National Heritage Board
http://www.raa.se/cm[...]
2007-08-24
[2]
논문
Wicked Queens and Cousin Strategies in Beowulf and Elsewhere
https://www.mun.ca/m[...]
2001-06
[3]
웹사이트
Lexikon över urnnordiska personnamn
http://www.sofi.se/G[...]
2006-09-15
[4]
웹사이트
'Peterson, Lena: ''Lexikon över urnordiska personnamn'', PDF'
http://www.sofi.se/G[...]
2006-09-15
[5]
문서
lines 59-63
[6]
문서
The manuscript (Cotton Vitellius A. xv, the Nowell Codex) reads hyrde ic þ elan cwen. hyrde ic means "I have heard". þ is an abbreviation for the word þæt, "that." elan is meaningless. cwen means "queen." There is no gap in the manuscript between þ and elan, but clearly there is information missing: the name of the sister; a verb, almost certainly the word wæs, "was"; and the name of the man whose queen she was; it seems certain that the scribe missed a few words, and elan is a fragment of the possessive form of a man's name ending in -ela. The Beowulf manuscript was copied down by two different scribes (Scribe B took over midway through line 1939); this passage was copied down by Scribe A, who was somewhat more error-prone than Scribe B.
[7]
문서
In Norse tradition, Hrothgar's sister's name was Signý, but she was married to Sævil, a mere Danish earl (see the sections on the Skjöldunga saga and the Hrólfr Kraki's saga').
[8]
서적
Sidelights on Teutonic History During the Migration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문서
lines 64-67
[10]
문서
lines 80-81
[11]
문서
lines 862-863
[12]
문서
lines 1020-1062
[13]
문서
line 612
[14]
문서
See Widsith, 21.
[15]
문서
lines 456-490.
[16]
문서
lines 925-956
[17]
문서
lines 1011-1017
[18]
문서
lines 1162-1165
[19]
문서
lines 1168-1191
[20]
문서
line 1769
[21]
문서
lines 1321-1325
[22]
문서
lines 1383-1412
[23]
문서
lines 1698-1784
[24]
문서
lines 1870-1880
[25]
문서
lines 2000-2069
[26]
문서
lines 2027-2028
[27]
문서
lines 2067-2069
[28]
문서
lines 80-85
[29]
웹사이트
Modern English translation
http://www.gutenberg[...]
Francis Barton Gummere
[30]
문서
The Hrólfr Kraki's saga and the Skjöldunga saga.
[31]
문서
In the Gesta Danorum
[32]
문서
I.e. Hrólfr Kraki's saga
[33]
문서
The Chronicon Lethrense/Annales Lundenses, Gesta Danorum and the Skjöldunga saga
[34]
문서
The Chronicon Lethrense/Annales Lundenses and the Gesta Danorum
[35]
문서
Although Hrólfr Kraki's saga makes him move to Northumbria.
[36]
문서
Called Aðils, Athisl, Athislus or Adillus
[37]
문서
It has been reversed in Gesta Danorum, Skjöldunga saga and Bjarkarímur, but not in Hrólfr Kraki's saga
[38]
웹사이트
The Relation of the Hrolfs Saga Kraka and the Bjarkarimur to Beowulf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1916
[39]
간행물
Nerman (1925:150)
[40]
웹사이트
Tunstall's comments on his translation of the Chronicon Lethrense
http://www.oe.eclips[...]
2007-03-10
[41]
문서
Hakon according to Chronicon Lethrense proper, Athisl according to the included Annals of Lu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