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격대 행진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격대 행진곡은 1909년 일본의 '하이카라 절'을 원곡으로 추정되며, 1930년대 김일성이 이끄는 항일 빨치산 조직에서 불리기 시작하여 북한에서 널리 퍼진 군가이다. 조선인민군 열병식에서 연주되며, 일본 내 조선학교 운동회 등에서도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하이카라 절'을 원곡으로 한 군가 '용진가'가 독립군가로 불렸으며,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에서 북한 측 군악대가 유격대 행진곡을 연주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가요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 혁명가요 - 김정일 장군의 노래
    김정일 장군의 노래는 1997년 발표된 북한의 대표적인 선전가요로, 김정일의 업적을 찬양하며 고난의 행군 시기 개인 숭배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고, 방송 시작 시 애국가와 함께 연주되거나 선전선동 활동에 활용되었으며, 예술이 지배 수단으로 전락한 북한 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분석된다.
  • 군가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 군가 - 김정일 장군의 노래
    김정일 장군의 노래는 1997년 발표된 북한의 대표적인 선전가요로, 김정일의 업적을 찬양하며 고난의 행군 시기 개인 숭배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고, 방송 시작 시 애국가와 함께 연주되거나 선전선동 활동에 활용되었으며, 예술이 지배 수단으로 전락한 북한 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분석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 내 나라 제일로 좋아
    조국에 대한 애정을 노래하는 "내 나라 제일로 좋아"는 이국에서의 경험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통해 자신이 사는 나라가 제일 좋다는 애국심을 강조하는 곡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유격대 행진곡
곡 정보
제목유격대 행진곡
원어 제목유격대 행진곡 (遊擊隊 行進曲)
로마자 표기Yugyeokdae Haengjin-gok
분야군가, 행진곡
관련 정보
관련 곡하이카라 부시

2. 유래 및 역사

이 곡의 원곡은 1909년 진나카 료게츠가 작사·작곡하여 메이지 시대 말기 대일본제국에서 유행한 노래 『하이카라 절』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자세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1930년대 김일성이 이끌던 항일 빨치산 부대에서 이 곡조에 가사를 붙여 '유격대 행진곡'으로 불렀던 것이 해방 이후 북한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비슷한 시기인 1910년대부터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이 같은 곡조를 바탕으로 한 독립군가인 『용진가』를 불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결과적으로 하나의 일본 유행가가 일제강점기 항일 투쟁 과정에서 남북 양측에서 각기 다른 이름과 가사를 가진 노래로 불리게 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 1. '하이카라 절'과의 관계

1909년 진나카 료게츠가 작사·작곡하여 메이지 시대 말기 대일본제국에서 유행한 노래 『하이카라 절』을 유용·편곡한 곡으로 여겨진다. 다만 자세한 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1930년대김일성이 이끌던 항일 빨치산 부대에서 불리던 것이 해방 이후 북한에 널리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조선인민군열병식에서 행진곡으로 연주되거나 일본조선학교의 운동회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는 난수 방송의 신호음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한편, 대한민국에도 『하이카라 절』을 원곡으로 하는 군가 『용진가』가 알려져 있다. 이 노래는 항일 빨치산 조직 결성 이전인 1910년대에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이 불렀던 독립군가 중 하나이다. 광복 후 오랫동안 잊혔으나, 한국 광복군 제3지대 대원이었던 박노일이 설립한 독립군가 보존회에 의해 부흥 운동이 이루어졌다. 이 단체는 1975년에 발매된 LP 음반 「독립군가 음반 제1집」 B면에 음원을 수록했고, 1988년 8월 한국레코드산업협회에서 발매된 「독립군가모음집」에도 음원이 실렸다.[1] 『용진가』의 작사자에 대해서는 1920년대에 이광수가 작사했다는 기록도 있으나[2], 작사자 미상으로 보는 기록도 있다.

2000년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당시 북한 측 군악대가 『유격대 행진곡』을 연주했는데, 대한민국 측에서는 이를 『용진가』의 역사와 내용을 바탕으로 일제 통치 시대에 맞선 독립 투쟁이라는 남북 공유의 역사를 상징하는 선곡으로 해석하는 보도도 있었다.[3][4]

2. 2. 북한에서의 전승

1930년대에 김일성이 이끄는 항일 빨치산 조직에서 불리던 것이, 해방 이후 북한에서 널리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인민군열병식에서 종종 행진곡으로 연주되며, 일본조선학교의 운동회 등에서도 행진곡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과거에는 난수 방송에도 사용되었다.

3. 대한민국에서의 '용진가'

대한민국에서는 『하이카라 절』을 원곡으로 하는 군가인 용진가|용진가한국어가 알려져 있다. 이 노래는 일제강점기만주 등지에서 활동하던 독립군들이 불렀던 독립군가 중 하나로 전해진다.[1] 이후 광복을 거치며 한동안 잊혔으나, 독립군가 보존 노력을 통해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

3. 1. 독립군가로서의 '용진가'

한편, 대한민국에서도 『하이카라 절』을 원곡으로 한 군가 용진가|용진가한국어가 알려져 있다. 이는 항일 빨치산 설립 이전인 1910년대에 만주에서 활동한 독립군에 의해 불린 독립군가 중 하나이다.

광복 후 오랫동안 잊혀졌지만, 전 한국 광복군 제3지대 대원이었던 박노일이 설립한 독립군가 보존회에 의해 부흥 운동이 이루어졌다. 이 단체의 주최로 1975년에 발매된 LP 레코드 「독립군가 음반 제1집」 B면과, 1988년 8월 한국레코드산업협회에서 발매된 「독립군가모음집」에 별세가 녹음한 음원이 실려 있다.[1] 「독립군가 제1집」 가사 카드에는 『용진가』를 1920년대에 이광수가 작사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2], 「독립군가모음집」에서는 작사자 미상으로 표기되어 있다.

2000년에 열린 제1회 남북 정상 회담에서는 북한 측 군악대가 『유격대 행진곡』을 연주했다. 대한민국 측에서는 이를 『용진가』의 역사와 내용을 고려하여, 일제강점기 항일 투쟁이라는 남북이 공유하는 역사를 상징하는 선곡으로 해석하는 보도가 있었다.[3][4]

3. 2. 2000년 남북정상회담에서의 '유격대 행진곡'

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한 측 군악대는 유격대 행진곡을 연주하였다. 이 곡은 대한민국의 독립군가인 용진가와 그 뿌리가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진가는 1910년대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들이 불렀던 노래로, 일제강점기 항일투쟁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한민국 측에서는 북한의 '유격대 행진곡' 연주를 남북이 공유하는 항일 독립 투쟁의 역사를 상징하는 선곡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었다[3][4]. 이는 남북 간 공동의 역사 인식을 확인하고 미래의 화합과 협력을 기대하게 하는 장면으로 여겨질 수 있다.

4. 남북한에서의 비교

'유격대 행진곡'과 대한민국의 군가 '용진가'는 모두 1909년 진나카 료게츠가 작사·작곡하고 메이지 시대 말기 대일본제국에서 유행한 '하이카라 절'을 원곡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유격대 행진곡'은 정확한 경위는 불분명하지만, 1930년대 김일성이 이끌던 항일 빨치산 부대에서 불리던 것이 해방 이후 북한 지역에 널리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조선인민군열병식에서 행진곡으로 자주 연주되며, 일본조선학교의 운동회 등 행사에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는 난수 방송에 사용되기도 했다.

한편, 대한민국의 '용진가'는 1910년대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이 부르던 독립군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는 '유격대 행진곡'의 모태가 된 항일 빨치산 활동보다 앞선 시기이다. 광복 후 오랫동안 잊혔으나, 전 한국 광복군 제3지대 대원이었던 박노일이 설립한 독립군가 보존회의 노력으로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 1975년 발매된 '독립군가 음반 제1집'과 1988년 한국레코드산업협회에서 발매한 '독립군가모음집'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1]. (덧붙여, '독립군가 제1집' 가사 카드에서는 '용진가'는 1920년대이광수가 작사했다고 되어 있지만[2], '독립군가모음집'에서는 작사자 미상으로 되어 있다.)

2000년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당시, 북한 측 군악대가 '유격대 행진곡'을 연주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측에서는 '용진가'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이 곡이 일제강점기에 맞서 싸운 독립 투쟁이라는 남북이 공유하는 역사를 상징하는 의미로 연주된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3][4]. 이는 같은 뿌리를 가진 노래가 남북 분단 현실 속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승되고 해석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5. 한국 현대사에서의 의의

'유격대 행진곡'은 대한민국의 군가인 '용진가'와 함께 일본 노래 '하이카라 절'에서 파생된 곡으로 여겨진다. '유격대 행진곡'은 1930년대 김일성이 이끈 항일 빨치산 부대에서 불렸으며[1], '용진가'는 그보다 앞선 1910년대 만주 지역 독립군 사이에서 불렸던 노래이다[1]. 이처럼 두 노래는 비록 남북에서 각기 다른 맥락으로 전승되었으나, 모두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이라는 공통의 역사적 배경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2000년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확인되었다. 당시 북한 군악대가 '유격대 행진곡'을 연주하자, 대한민국 측에서는 '용진가'의 역사와 내용을 바탕으로 이를 일제강점기에 맞선 투쟁이라는 남북 공유의 역사를 상징하는 선곡으로 해석하는 보도도 있었다[3][4]. 이는 두 노래가 단순한 군가를 넘어,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웠던 민족의 저항 정신을 담고 있으며, 남북이 공유하는 역사적 경험을 상기시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독립군가 모음집 http://www.genie.co.[...] genie 2019-02-10
[2] 웹사이트 독립군가 음반 제1집 (1975.10. 제작) - 젊은 학도들아 http://www.doklipkun[...] 独立軍歌保存会 2019-02-10
[3] 웹사이트 남북이 함께 <독립군가>를 부르는 날이 오기를... http://blog.unikorea[...] 통일 미래 길잡이 2016-11-12
[4] 웹사이트 <용진가>는 독립군 대표군가였다 http://legacy.h21.ha[...] 한겨레21 2016-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