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3성(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과 내몽골 자치구 동북부, 허베이성 북부 지역을 포괄하는 지리적, 역사적 지역이다. 과거에는 만주족의 고향이자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였으며, 고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왕조와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영토가 할양되었고,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일본의 괴뢰국 만주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만주라는 명칭은 18세기 또는 19세기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중국 동북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만주는 중국 북부 지괴의 북쪽 부분으로, 극심한 계절적 기온 변화를 보이는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어 낱말 - 도로이 버일러
  • 만주어 낱말 - 서럼셔머 터허 암반
    서럼셔머 터허 암반은 청나라 시대에 변방 지역을 총괄하기 위해 파견된 고위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군사,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지역의 안정과 통치를 수행했지만, 강압적인 통치와 제국주의적 침략의 도구로 이용되는 한계도 있었다.
  • 러시아의 역사 - 요나라
    요나라는 907년 야율아보기가 건국하여 거란족과 한족을 이원적으로 통치하며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이 융합된 문화를 형성했고, 북송과 대립하다가 금나라에 멸망했다.
  • 러시아의 역사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일본의 옛 식민지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일본의 옛 식민지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만주
지도
만주의 지도. 빨간색은 중국 동북부(동삼성), 연한 빨간색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분홍색은 외만주.
만주는 대부분 빨간색의 중국 동북부(「동삼성」, 내만주)과 옅은 빨간색의 내몽골 동부를 합쳐서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됨.
명칭
한국어만주
중국어 (간체)满洲
중국어 (번체)滿洲
중국어 병음Mǎnzhōu
중국어 위어Man-chou
중국어 광둥어Mun5-zau1
중국어 오어Moe上-tseu平
만주어ᠮᠠᠨᠵᡠ ᡤᡠᡵᡠᠨ (Manju Gurun), ᡩᡝᡵᡤᡳ ᡳᠯᠠᠨ ᡤᠣᠯᠣ (Dergi Ilan Golo)
몽골어ᠮᠠᠨᠵᠤᠤᠷ (Manjuur), Манжуур (Manjuur)
러시아어Маньчжурия (Man'chzhuriya)
일본어満州 (Manshū)
일본어 (쿤레이)Mansyû
로마자 표기법Manju
지리
위치동북아시아
주요 지역중국 동북부 (동삼성), 내몽골 자치구 동부, 외만주
역사
기타원래는 민족명에서 유래했으며, 이후 지명으로 사용됨
기타
관련 문서만주국
만주 민족

2. 만주의 영역

만주는 넓은 지역을 아우르는 말로, 그 범위는 역사 및 지리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산해관


대략적인 경계는 북쪽으로 스타노보이 산맥, 남쪽으로 만리장성, 서쪽으로 대흥안령, 동쪽으로 압록강두만강 안쪽으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변화에 따라 변동하였다.[77]

지리적으로 아무르 강 유역이 만주족의 땅과 거의 일치하며, 북쪽 경계는 산맥으로 표시되었다.

만주는 남쪽으로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조선반도와 접하며, 서쪽으로는 대흥안령산맥을 사이에 두고 몽골 고원(내몽골 자치구)과 접한다. 남서쪽에서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인 산해관이 화북과 경계를 이룬다.

2. 1.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만주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의 3개 성인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과 가장 많이 연관되어 있다.[1] 일본 제국의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청더시(현재 허베이성), 후룬베이얼시, 싱안맹, 통랴오시, 츠펑시(현재 내몽골 자치구)를 포함했다.

일본에서 만주(滿洲)라고 불리는 지역은 만주국(滿洲國) 건국 당시의 지역 전체를 의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략 중화인민공화국의 "'''동북부'''"라고 불리는 현재의 랴오닝성(遼寧省)·지린성(吉林省)·헤이룽장성(黑龍江省) 3성과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 동부를 범위로 한다. 광의로는 몽골족의 거주 지역이지만, 만주국에 속했던 내몽골 자치구 동부 (츠펑시(구 조오다맹(盟))·통랴오시(구 제림맹)·후룬베이얼시(구 후룬베이얼맹)·싱안맹)을 포함한다.

2. 2. 현재 러시아 영토 (외만주)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과 같은 불평등 조약에 따라,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청나라 영토로 인정되었던 프리모르스키 지방, 유대인 자치주, 아무르주 남부, 하바롭스크 지방 남부, 그리고 자바이칼 지방의 일부가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다. 이 지역을 외만주라고 부른다.[3]

압록강 유역. 동쪽의 사할린섬과 서쪽의 몽골리아 쪽으로의 경계를 보여주는 지도는 역사적으로 만주족의 땅과 거의 일치한다


외만주는 스타노보이 산맥(외흥안령) 이남, 아무르 강 이북, 우스리 강 이동의 러시아 영토 지역을 말한다. 1689년 넬친스크 조약으로 청나라 영토가 되었지만, 1858년 아이군 조약으로 아무르 강 좌안이 러시아에 할양되고, 우스리 강 이동은 양국의 공동 관리 지역이 되었다. 이후 1860년 베이징 조약에 의해 이 공동 관리 지역도 공식적으로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 외만주의 면적은 약 1,550,000km2에 이른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60년대에 중소 국경 분쟁을 통해 이 조약들의 정당성에 대해 간접적으로 이의를 제기했지만, 최근에는 현상 유지를 확인하는 2001년 중러 우호 조약과 같은 협정에 서명했다.[3] 2004년 아무르 강과 우스리 강 합류 지점에서 소규모 영토 교환이 발생했다.[4] 당시 중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지도에 청나라 영토로 표시된 사할린섬도 때때로 광의의 만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2. 3.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토

(작성할 내용 없음)

3. 명칭

"만주"라는 이름은 16세기 후반 누르하치가 자신의 집단(건주여진)과 지배 영역을 "만주 구룬"(manju gurun, 만주국)이라 칭하면서 유래했다.[72] 1635년 홍타이지는 "여진"이라는 명칭을 금지하고 "만주"로 통일, 한자 표기를 "만주"로 정했다.[78][79]

"만주"의 어원에 대해서는 문수보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일반적이나, 티베트 불교 유래설을 부정하고 건주위의 수장 이만주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다.[72]

"만주"가 지명으로 사용된 것은 만주족의 고향이었기 때문이며, 서양에서 "만주"의 파생어(Manchuria|만주리아영어, Маньчжурия|마니주리야ru)를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72] 이후 한자 문화권에서도 "만주"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에도 시대 일본에서 다카하시 가게야스가 제작한 "일본변강략도"(1809)와 "신정만국전도"(1810)에서 처음으로 지명으로서 "만주"가 사용되었다는 설도 있다.[72]



1911년 중국 동북부의 세 성(省) 지도


1945년경 만주국 및 철도망 지도


"만주"라는 용어는 마크 C. 엘리엇, 노먼 스미스, 마리코 아사노 타마노이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또는 "문제가 있는" 용어로 묘사되었다.[12] 타마노이는 "'만주'는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이며, 이 지역을 만주라고 부르는 것은 일본 식민주의의 유산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2] 가반 매코맥은 만주라는 용어가 본질적으로 제국주의적이며, "정확한 의미"가 없다고 썼다.[15]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만주" 대신 "중국 동북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만주국을 인정하지 않고 만주를 중화민족 고유의 땅으로 간주하는 중국의 공식적인 역사관 때문이다. 현대 중국에서는 만주국을 "위만주국"이라 칭하며, 민족 명칭으로는 "만주족"을 사용한다.[72] 그러나 "만저우리"와 같이 일부 지명에는 여전히 "만주"가 사용되고 있다. 중국 공산당도 과거 하얼빈에 中国共产党满洲省委员会|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중국어를 설치하는 등 "만주"라는 단어를 사용한 적이 있었다.

원래 표기는 「만'''洲'''」( 滿洲|만주중국어)이다. 그러나 현대 일본에서는 (특히 만주국을 언급할 때) 「만'''州'''」 표기도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당용한자·常用漢字에 「洲」가 없기 때문으로 여겨지지만,「만주」가 중국의 일부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설명되는 경우도 있다. 청나라사 연구자들은 「만'''주'''」 표기는 잘못이며 「만'''洲'''」 표기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3. 1. 만주 (Manchuria)

만주는 현재 중국의 3개 성인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과 가장 많이 연관되어 있다.[1] 일본의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청더시(현재 허베이성), 훌룬부이르시, 흥안맹, 통랴오시, 츠펑시(현재 내몽골 자치구)를 포함했다.

"만주"라는 지리적 용어는 18세기 또는 19세기에 처음으로 일본에서 사용되었다. 유럽 언어로 들어온 "만주"는 네덜란드어를 통해 유입되었으며, 18세기부터 사용된 일본어 지명 "만주"(''Manshū'', 満州|만슈일본어 "만주족의 지역")에서 유래한 직역어이다.[10]

미국 연구원 마크 C. 엘리엇에 따르면, "만주"라는 용어는 가쓰라가와 호슈의 1794년 작품인 『북사분략』에 처음 등장했으며, 가쓰라가와가 제작한 "아시아 전도"와 "지구 반구 총도" 두 지도에 나타난다.[6] 미야와키 준코에 따르면, 일본 지리학자 다카하시 가게야스가 1809년 『일본변계략도』에서 처음으로 "만주"라는 용어를 지명으로 사용했으며, 서구인들은 이 작품을 통해 이 이름을 채택했다.[7][8] 1830년대까지는 다양한 인도유럽어 형태의 "만주"가 발견되었다.[9]

"만주"는 콘디 주조, 다카하시 가게야스, 바바 사다요시, 야마다 렌과 같은 일본 지도 제작자들의 지도에 점점 더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의 지도는 필립 프란츠 폰 지볼트에 의해 유럽으로 가져왔다.[9] 일본 학자 나카미 다쓰오에 따르면, 지볼트는 일본어에서 빌려온 "만주"라는 용어의 사용을 유럽인들에게 전파한 사람이며, 일본은 18세기에 처음으로 지리적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한 국가이다.[10]

“만주리아”라는 지명이 중국에서 사용된 역사는 불확실하다. 한 견해에 따르면, 만주족이나 중국인들은 이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10][11] 여진족에게 홍타이지(洪承疇)에 의해 1635년 그들의 민족 집단에 대한 새로운 이름으로 "만주(Manchu)"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그러나 “만주(Manchu)”라는 이름이나 “만주(Manshū)”의 중국어 표기인 “만주(Manzhou)”는 지리적 의미를 갖지 않았던 반면, 일본어에서는 “만주리아(Manchuria)”와 “만주(Manchu)” 모두 “만슈(Manshū)”로 표기된다. 나카미 다쓰오(Nakami Tatsuo)에 따르면, “만주(Manzhou)”는 지역이 아닌 만주족이나 그들의 국가 중 하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원래 '만주(Manzhou)'는 만주족 또는 그들의 국가의 이름이었지, 지역의 이름이 아니었다. 사실 만주족이나 한족 모두 중국의 동북 지방을 '만주(Manzhou)'라고 부른 적이 없다."[9] 1912년, 영국 외교관이자 한문학자인 허버트 자일스(Herbert Giles)는 "중국과 만주"에서 "'만주리아'는 지리적 표현으로서 중국인이나 만주족 자신에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10]

마크 C. 엘리엇(Mark C. Elliott)과 리 나랑고아(Li Narangoa)와 같은 학자들은 만주족의 고향에 대한 독특한 장소로서의 의식이 만주리아를 독립된 지리적 실체로 만드는 데 기여했고, “만주(Manchuria)”(Manzhou)가 중국인들에 의해 지명으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엘리엇에 따르면, 만주 제국 혈통은 그들의 원래 고향이 백두산이라고 믿었다. 청나라 법정은 백두산에 초점을 맞춘 지역 정체성을 만들려고 노력했고, 이는 점차 만주 정체성의 상징이 되었다. 1877년, 닝보 출신 학자 공채(Gong Chai)의 수필에서 “만주(Manzhou)”가 지명으로 사용되었다. “만주(Manzhou)”는 베이징 북동쪽에 위치하고 왕조의 발상지로 확인되었다. “만주(Manzhou)”는 20년 후 청나라 관리들에 의해 다시 지명으로 사용되었다. “만주(Manzhou)”는 1900년대 초 중국 지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기 민국 시대에는 “만주(Manzhou)”를 사용한 지도가 소수였지만, 그 이름은 1930년대까지 중국 공산당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 이전에는 지역 이름이 상대적으로 유동적이었지만, 그 이후로 일본의 대체 이름은 “만슈(Manshū)”로 대체되었고, “동북(Dongbei)”과 “동삼성(Dongsansheng)”이 중국에서 정통적인 이름이 되었다. 마크 잠사(Mark Gamsa)에 따르면, “만주(Manzhou)”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그것을 불허했다. 1950년대까지 “만주(Manzhou)”는 지명으로 사실상 사라졌지만, 일부는 습관적으로 여전히 사용했다.[9]

"만주"라는 용어는 마크 C. 엘리엇(Mark C. Elliott), 노먼 스미스(Norman Smith), 마리코 아사노 타마노이(Mariko Asano Tamanoi)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또는 "문제가 있는" 용어로 묘사되어 왔다. 역사학자 노먼 스미스는 마리코 아사노 타마노이가 『엇갈린 역사: 제국 시대의 만주』(2005)의 서론에서 제시한 이유를 바탕으로 "'만주'라는 용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썼다.[12] 타마노이에 따르면, "'만주'는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이며, 이 지역을 만주라고 부르는 것은 일본 식민주의의 유산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것"이다. 일본은 중국과 구별되는 분쟁 지역이라는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만주"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중국은 "만주"라는 이름을 거부함으로써 이 지역에 대한 자국의 소유권을 주장했다.

역사학자 가반 매코맥(Gavan McCormack)은 로버트 H. G. 리(Robert H. G. Lee)의 "만주 또는 만-주라는 용어는 주로 서구인과 일본인이 사용하는 현대적 창작물이다"라는 말에 동의하며, 만주라는 용어는 본질적으로 제국주의적이며, 일본이 만주국이라는 괴뢰 국가를 설립할 당시 중국과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만주"라는 지리적 명칭의 사용을 의도적으로 장려했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가 없다고 썼다.[15]

청나라 시대에는 이 지역을 "동삼성(東三省, Dōngsānshěng)"이라 불렀는데, 이는 만주어로 ''Dergi Ilan Golo''(ᡩᡝᡵᡤᡳ
ᡳᠯᠠᠨ
ᡤᠣᠯᠣ)에 해당한다. 1683년 길림(吉林)과 흑룡강(黑龍江)이 분리된 이후로 길림, 흑룡강, 봉천(奉天)을 가리키는 말이었다.[17] 일본 또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동삼성(東三省, Tōsanshō)"이라는 명칭과 함께 "만주(満州, Manshū)"를 사용했다. 그러나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에서는 "동삼성(Tōsanshō)"이 "만주(Manshū)"로 완전히 대체된 반면, 중국에서는 "삼성(三省)"과 "동북(東北)"이 같은 지역을 가리키는 정식 명칭이 되었다.

만주는 문자 그대로 "고개의 동쪽"을 의미하는 관동(關東, Guāndōng)으로 불렸으며, 산해관(山海關)을 가리키는 관외(關外, Guānwài, 고개 밖)라고도 불렸다.

1900년대 만주 지도(분홍색)


“만주”라는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PRC) 사람들 사이에서 일본 제국주의, 일본 제국의 괴뢰국 만주국, 그리고 만주 민족주의와의 연관성 때문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공식적인 국가 문서에서는 이 지역을 동북 지역(东北; Dōngběi)이라고 부른다. 현대 중국어에서 동북 지역 주민은 “동북 사람”(东北人; Dōngběirén)이다. “동북”이라는 용어는 그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전체 지역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내몽골 북동부를 제외한 “3동성” 또는 “3동북성”으로 제한된다. 중국에서는 “만주”(满洲; Mǎnzhōu)라는 용어는 오늘날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종종 일본 제국주의의 유산과 만주국 괴뢰국과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26][27]

만주는 원래 지명이라기보다는 민족명이다.[72] 민족명으로서의 "만주"(Manchu, manju, 만주족)의 유래는 16세기 후반의 누르하치(사후 태조)로 거슬러 올라간다. 누르하치는 자신의 집단(건주여진)의 명칭을 "만주", 지배 영역을 "만주 구룬"(manju gurun, 만주국)이라고 불렀다. 민족명으로는 "여진"(女真/女直)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었지만, 청의 창시자인 홍타이지가 원의 옥새(하스보 타무가)를 입수한 다음 해인 1635년에 "여진"을 금지하고 "만주"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여 한자 표기를 "만주"로 정했다.[78][79]

"만주"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민족 신앙의 대상이었던 불교의 만주실리(文殊師利=문수보살)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만주"가 지명으로 사용된 것은 이 지역이 만주족의 고토였던 것에서, 서양에서 "만주"의 파생어를 사용하여 불리게 된 것이 시작이다. 이에 밀려 한자 문화권에서도 이 지역을 "만주"라고 부르게 되었다. 참고로, "만주"라는 말을 민족명이 아니라 지명으로도 사용하게 된 것은 에도 시대의 일본이라는 설도 있다. 그 설에서는 다카하시 가게야스의 "일본변강략도"(1809년)·"신정만국전도"(1810년)가 초출로 여겨진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지역 명칭으로 "만주"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고, 대신 "중국 동북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중국에서 역사에 대한 공식적인 견해로, 만주국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만주 땅을 태고부터 불가분의 중국인(중화민족) 고유의 땅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오늘날 중국에서는 20세기의 만주국을 청나라의 전신인 만주를 사칭한 것으로 간주하여 "위만주국"이라는 호칭 외에는 인정하지 않는다. 민족 명칭으로도 "만주족"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도 "만저우리"와 같이 일부 지명에는 사용되고 있다.

중국 공산당도 과거에는 中国共产党满洲省委员会|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중국어하얼빈에 설치하는 등, "위"라는 글자를 붙이지 않고 만주라는 단어를 사용한 예가 있었다.

원래 표기는 「만'''洲'''」( 滿洲|만주중국어)이다. 그러나 현대 일본에서는 (특히 만주국을 언급할 때) 「만'''州'''」 표기도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당용한자·常用漢字에 「洲」가 없기 때문으로 여겨지지만,「만주」가 중국의 일부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설명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만주」 표기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전후이지만, 그 이전에도 용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궁 린조(間宮林蔵)의 『동타트 지방기행』(1810년), 만철 조사부(満鉄調査部)의 『만주 역사지리』(1913년) 제1권에서는 「滿洲」와 「滿州」가 혼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해군(大日本帝国海軍)의 통보함(通報艦)인 만주 (통보함)(満州)는 러시아어로 만주 지역을 나타내는 마니쥬리야를 개칭한 것이지만, 1920년 8월 13일 관보와 1930년 해군성 연보에서는 「滿州」로 표기되어 있다.[80][81]

한편, 청나라사 연구자를 중심으로 「만'''주'''」 표기는 잘못이며 「만'''洲'''」 표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3. 2. 기타 명칭

"만주"라는 용어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또는 "문제가 있는" 용어로 묘사되어 왔다. 역사학자 노먼 스미스는 마리코 아사노 타마노이가 제시한 이유를 바탕으로 "'만주'라는 용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썼다.[12] 타마노이에 따르면, "'만주'는 일본 제국주의의 산물이며, 이 지역을 만주라고 부르는 것은 일본 식민주의의 유산을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것"이다. 일본은 중국과 구별되는 분쟁 지역이라는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만주"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중국은 "만주"라는 이름을 거부함으로써 이 지역에 대한 자국의 소유권을 주장했다.

역사학자 빌 세월은 "만주"가 "진정한 지리적 용어"가 아니라고 부인하며, 일본인들은 만주를 별개의 실체로 본 적이 없으며 만주라는 이름을 그 지역을 가리키는 데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유럽인들이라고 주장했다.[14] 다른 학자들은 제국주의적 함의를 인정하면서도 정치적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고 순전히 지리적 용어로서 "만주"를 사용했다.[27] 역사학자 가반 매코맥(Gavan McCormack)은 만주라는 용어가 본질적으로 제국주의적이며, 일본이 만주국이라는 괴뢰 국가를 설립할 당시 중국과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만주"라는 지리적 명칭의 사용을 의도적으로 장려했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가 없다고 썼다.[15]

청나라 시대에는 이 지역을 "동삼성(東三省)"이라 불렀으며, 이는 만주어로 ''Dergi Ilan Golo''(ᡩᡝᡵᡤᡳ
ᡳᠯᠠᠨ
ᡤᠣᠯᠣ)에 해당한다. 1683년 길림(吉林)과 흑룡강(黑龍江)이 분리된 이후로 길림, 흑룡강, 봉천(奉天)을 가리키는 말이었다.[17] 일본 또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동삼성(東三省)"이라는 명칭과 함께 "만주(満州)"를 사용했다. 그러나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에서는 "동삼성(東三省)"이 "만주(満州)"로 완전히 대체된 반면, 중국에서는 "삼성(三省)"과 "동북(東北)"이 같은 지역을 가리키는 정식 명칭이 되었다.

만주는 문자 그대로 "고개의 동쪽"을 의미하는 관동(關東)으로 불렸으며, 산해관(山海關)을 가리키는 관외(關外, 고개 밖)라고도 불렸다. 산해관은 오늘날 허베이성(河北省) 친황다오에 위치하며, 중국 만리장성의 동쪽 끝에 있다. 이러한 용례는 19세기와 20세기에 만주로 이주한 대규모 한족(漢族)의 이동을 가리키는 "관동(關東)으로 쇄도하다"(闖關東)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다. 관동(關東)이라는 이름은 후에 관동주(關東州)였던 랴오닝성(遼寧省) 랴오둥반도(遼東半島) 지역을 더욱 좁게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19]

4. 역사

흉노, 예맥(한민족), 선비족, 오환족, 거란족, 만주족의 거점지였으며 현재는 중국,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신도군)의 영토이다.

누르간(Nurgan), 여진족이 거주했던 지역을 명나라가 부르던 이름


명나라 시대에 여진족이 거주하던 지역은 누르간(Nurgan)으로 불렸다.[16]

청나라의 만주족 지배자들은 만주를 성역화하고 한족들의 이주를 금지시켰으나, 이 지역을 파고드는 러시아인들에 대항하는 완충지를 건설하기 위해 19세기 중반부터 이곳의 한족 이주를 묵인했다. 그로 인해 산둥, 허베이 등 중국 북부로부터 한족 이민들이 물밀듯이 유입(19세기 말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시작까지 무려 2,500만명)[115]되어 이 지역의 인구학적 구성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1920년대 말 한족 이민들의 숫자는 한 해 백만명까지 치솟았다.[116]

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켜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웠지만, 1945년 소련의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만주가 점령되면서 만주국은 멸망한다. 이후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소련은 중국에게 만주를 반환한다.

4. 1. 고대 ~ 근세

오늘날의 우수리스크(Ussuriysk)에 있는 12세기 여진의 돌거북


5세기,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은 만주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만주는 만주족, 몽골족, 한국인, 나나이족, 니브흐족, 울치족, 후이족 등 여러 민족의 고향이었다. 남부 만주에는 투르크계 민족과 한족도 거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숙신, 동호, 선비, 우환, 말갈, 거란, 여진족 등 다양한 민족과 그들의 왕국들이 만주에서 세력을 키웠다. 한국어족에 속하는 고조선(기원전 108년 이전), 부여(기원전 2세기~서기 494년), 고구려(기원전 37년~서기 688년)와 같은 왕국들 또한 이 지역의 광대한 영토에 세워졌다. 중국의 진(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 (기원전 202년~서기 9년, 서기 25년~서기 220년), 조위(220년~266년), 서진(266년~316년), (618년~690년, 705년~907년) 왕조들은 만주의 일부를 지배했다.[35] 만주 북서부 일부는 552년~603년의 제1돌궐 제국과 581년~630년의 동돌궐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초기 만주는 사냥, 어업, 축산, 농업이 혼합된 경제를 가지고 있었다.

남쪽의 송나라(960년~1279년)와 함께, 내몽골의 거란족은 요나라(916년~1125년)를 건국하고 외몽골과 만주를 정복하여 인접한 북중국의 십육주 일부를 지배하기에 이르렀다. 요나라는 만주 전체를 지배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36]

14세기 원나라 지배하의 만주, 성인 요양과 북한 포함


1616년 명나라 지배하의 만주, 여진족의 고향, 이들은 만주족이 되어 후금 (1616년-1636년)을 건국했다.


12세기 초, 요나라의 속국이었던 퉁구스계 여진족은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금나라(1115년-1234년)를 세워 북중국과 몽골의 일부를 지배하게 되었으며, 이는 일련의 성공적인 군사 원정 이후였다. 몽골의 원나라 지배 시대(1271년~1368년) 동안,[37] 만주는 관할되는 요양 성이었다. 1375년, 요양성의 몽골 관리인 나하추가 1368년~1635년의 몽골 기반 북원의 명령으로 요동을 침략했지만, 나중에 1387년 명나라에 항복했다. 북쪽 국경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명나라는 북쪽 국경에서 원나라 잔당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진족을 "평정"하기로 결정했다. 명나라는 영락제 (1402년~1424년) 치세에 만주에 대한 지배를 공고히 하여 1409년~1435년의 누르간 지역 군사 위원회를 설립했다. 1580년대부터 건주 여진의 수장인 누르하치(1558년~1626년)는 이 지역의 여진 부족들을 통일하기 시작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여진족은 만주의 대부분을 장악했다. 1616년 누르하치는 후금을 건국했고, 이는 나중에 청나라로 알려지게 되었다. 청나라는 에벤크족 수장 봄보고르가 이끄는 에벤크-다우르 연합을 격파하고 1640년 봄보고르를 참수했으며, 청나라 군대는 에벤크족을 학살하고 강제 이주시켜 생존자들을 팔기에 편입시켰다.[38]

15세기 비단에 먹과 채색으로 그린 그림에서 말을 타고 사냥하는 여진족 남성


중국 설날, "중국 신", 용, 나선형, 두루마리와 같은 모티브, 농업, 목축, 난방 방법, 철 솥, 비단, 목화와 같은 물품 등 중국 문화와 종교의 영향은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을 포함한 아무르 원주민들에게 퍼져나갔다.[39]

1644년, 농민 반란군이 명나라의 수도 베이징을 함락시킨 후, 여진족(이제 만주족이라고 불림)은 명나라 장군 오삼계와 동맹을 맺고 베이징을 장악하여 짧은 기간 존재했던 순나라(1644년~1649년)를 멸망시키고 청나라(1644년~1912년)의 중국 통치를 시작했다. 만주족의 중국 정복에는 250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40] 청나라는 17세기 후반에 한족 민간인의 길림성과 흑룡강성 유입을 제한하기 위해 버드나무 울타리 – 도랑과 제방 시스템 –를 건설했다.[41] 한족 기인을 포함한 팔기군만이 길림성과 흑룡강성에 정착할 수 있었다.

1820년 청나라 지배하의 만주, 봉천성, 길림성, 흑룡강성 포함


명나라를 정복한 후, 청나라는 종종 그들의 국가를 "중국"(中國, ''Zhongguo''; "중원")이라고 지칭했고, 만주어로는 ''Dulimbai Gurun''("중원")이라고 불렀다.[42] ''청실록''에서 청나라의 영토(만주와 현재의 신장, 몽골, 티베트 포함)는 중국어와 만주어로 약 3분의 2의 경우 "중원"으로 지칭되며, 약 3분의 1의 경우에는 한족이 거주하는 전통적인 중국 성을 가리킨다. 또한 공식 문서, 국제 조약 및 외교에서 청나라를 가리키는 데 "중국"( ''Zhongguo'', ''Dulimbai gurun'')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외교 문서에서 "중국어"( ''Dulimbai gurun i bithe'')는 중국어, 만주어, 몽골어를 가리켰고, "중국인"(中國人 Zhongguo ren; 만주어: Dulimbai gurun i niyalma)은 청나라의 모든 한족, 만주족, 몽골족 신민을 가리켰다. 청나라는 청나라 칙령과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에서 만주의 땅이 "중국"(Zhongguo, Dulimbai gurun)에 속한다고 명시적으로 밝혔다.[43]

4. 2. 근현대

1858년 5월 28일 아이군 조약과 1860년 11월 14일 베이징 조약으로 인해 흑룡강 이북 및 우스리강 이동의 외만주 지역은 러시아에 할양되었다. 1860년에는 특프친 등의 건의로 동삼성으로의 한족 이주가 허용되어 농지 개발이 추진되면서 한족 인구가 급증하여 만주족 인구를 넘어섰다.[88]

1900년 의화단의 난을 틈타 러시아가 만주를 군사 점령했다.[93] 1904년부터 발발한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포츠머스 조약에 따라 남만주의 철도·광산 개발 권익이 일본에 양도되었다.[95]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96] 1912년 중화민국이 성립되었으나, 만주는 장쩌린 군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96][97]

1905년 하쿠토리 쿠요시는 만주 연구의 긴급성을 강조했다.[98] 북만주의 러시아 권익은 유지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러시아 혁명으로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시베리아 출병으로 외만주와 북만주가 일본군에 점령되었다. 1920년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이 발생했고, 일본은 1922년 철수했다.

소비에트 연방은 동청 철도 경영권을 계승했지만, 1928년 장쉐량 정권이 무력 탈취를 시도했다.[99] 소련은 북만주를 침공, 점령하여 중동철도 권익을 확보했다(중동철도 사건).[100]

1931년 일본은 류조호 사건을 계기로 만주 전역을 침략, 점령했다(만주 사변).[102] 1932년 만주국을 건국하고 아이신기오로 푸이를 수반으로 삼았다.[103][104] 만주국은 일본의 괴뢰 정권으로, 남만주 철도와 만주 중공업 개발을 통해 산업 투자가 이루어졌다.[105] 만주국은 몽골과의 국경 분쟁(노몬한 사건)을 일으켰다.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만주를 침공했고,[107][108] 만주국은 멸망했다.[107] 이후 중국 공산당이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여 1949년 만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되었다.[110] 1954년 고강숙청된 후, 만주는 공산주의 체제하에서도 비교적 풍요로운 지역이었다.[112] 1990년대 이후 개혁 개방 정책으로 화동, 화남 경제 특구에 비해 경제적으로 뒤처지게 되었다.[113]

2004년 중러 국경 협정이 체결되었고, 2008년 국경이 확정되었다.

5. 현재 거주하는 민족

중국 한족러시아인이 가장 많다. 러시아령 만주에는 우크라이나인유대인도 거주한다.

이 지역은 만주족 외에도 예맥,[20][21][22] 선비족,[23] 숙신족, 거란족을 포함한 여러 역사적 집단의 고향으로 여겨진다. 이 지역에는 많은 몽골인후이족도 거주하고 있다.[24][25]

6. 지리 및 기후

만주 또는 중국 동북부의 기후 지도


만주는 주로 깔때기 모양의 중국 북부 지괴의 북쪽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작되고 덮여 있는 1억ha에 달하는 광대한 선캄브리아기 암석 지역이다. 중국 북부 지괴는 트라이아스기 이전에 독립된 대륙이었으며, 석탄기 동안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육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쪽의 흥안령은 시베리아 지괴와 중국 북부 지괴의 충돌로 형성된 쥐라기[28] 산맥으로, 초대륙 판게아 형성의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하이랑강 (Hailang River) 헤이룽장성(Heilongjiang) 하이린시(Hailin City) 근처


만주의 어떤 지역도 빙하 작용을 받지 않았지만, 만주 저지대의 비옥한 지역 대부분의 지표 지질은 매우 깊은 황토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황토는 히말라야 산맥, 쿤룬 산맥, 톈산 산맥과 고비 사막, 타클라마칸 사막의 빙하 지역에서 형성된 먼지빙퇴석 입자의 바람에 의한 이동으로 형성되었다.[29] 토양은 산악 지역의 발달이 저조한 오르텐트(orthent)와 영구 동토층이 발생하고 오르텔(orthels)이 우세한 극북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비옥한 몰리솔(mollisols)과 플루벤트(fluvents)이다.[30]

만주의 기후는 여름의 습하고 거의 열대적인 더위부터 겨울의 건조하고 북극과 같은 추위까지 극단적인 계절적 대조를 보인다. 이러한 패턴은 만주의 위치가 거대한 유라시아 대륙과 광대한 태평양 사이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완전한 계절풍의 풍향 역전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육지가 바다보다 더 빨리 가열되어 아시아 상공에 저기압이 형성되고, 따뜻하고 습한 남동풍이 뇌우를 동반한 많은 비를 가져온다. 연 강수량은 서쪽의 400mm 이하에서 장백산맥의 1150mm 이상까지 다양하다.[31] 여름철 기온은 매우 따뜻하거나 덥고, 7월 평균 최고 기온은 남쪽의 31°C에서 극북 지역의 24°C까지 다양하다.[32]

그러나 겨울에는 광대한 시베리아의 고기압으로 인해 매우 차가운 북서풍이 불어 극남 지역에서는 , 북쪽에서는 까지 기온이 내려간다.[33] 불연속 영구 동토층이 헤이룽장성(Heilongjiang) 북부에 도달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며칠 동안만 눈이 내리고, 눈이 많이 오는 일은 없다. 이것은 북미의 같은 위도가 4기 빙하기 동안 완전히 빙하로 덮였던 반면, 만주는 더 추웠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빙하를 형성하기에는 너무 건조했던 이유를 설명한다.[34] – 유럽의 빙상 표면에서 불어오는 강한 서풍에 의해 더욱 강화된 상황이다.

참조

[1] 논문 The Power of Imagination: Whose Northeast and Whose Manchuria? Brill
[2] 서적 World Geographical Scheme for Recording Plant Distributions: Edition 2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Taxonomic Databases For Plant Sciences (TDWG) 2006-11-27
[3] 간행물 Sino-Russian Treaty of Friendship
[4] 간행물 Complementary Agreement betwe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Russian Federation on the Eastern Section of the China-Russia Boundary
[5] 서적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Volumes 11–12 https://books.google[...]
[6] 논문 https://www.jstor.or[...]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9] 논문 https://www.jstor.or[...]
[10] 서적 Qing China's Northeast Crescent: The Great Game https://books.google[...] Brill
[11]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https://books.google[...] 2022-11-16
[13] 간행물 https://www.jstor.or[...] 2019-07-02
[14] 서적 https://books.google[...] 2022-11-16
[15] 서적 https://books.google[...] 2022-11-16
[16] 서적 https://books.google[...] 2022-11-16
[17] 서적 The Making of a Chinese City: History and Historiography in Harbin https://books.google[...] M. E. Sharpe 2022-11-16
[18] 서적 Oriental Affairs: A Monthly Review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The Controversial Manchuria https://www.thoughtc[...]
[20] 서적 The Ancient State of Puyŏ in Northeast Asia: Archaeology and Historical Memo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 서적 Ethnic Fermented Foods and Alcoholic Beverages of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8-05
[21] 서적 Haan (han, Han) of Minjung Theology and Han (han, Han) of Han Philosophy: In the Paradigm of Process Philosophy and Metaphysics of Relatednes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0
[22] 서적 Reconstructing Ancient Korean History: The Formation of Korean-ness in the Shadow of Histor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6-05-12
[2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anchuria https://www.thoughtc[...]
[24] 학술지 The Mongols of Manchuria George Allen and Unwin, Ltd. 1934
[25] 서적 Manchuria; its people, resources and recent history https://archive.org/[...] J. B. Millet 1910
[26] 서적 Memory Maps: The State and Manchuria in Postwar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7] 서적 Mapping Chengde: The Qing Landscape Enterpri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01
[28] 서적 Magmatism and Geodynamics: Terrestrial Magmatism throughout the Earth's History 2000
[29] 간행물 Geology and Geo-Botany of Asia 1904-05
[30] 서적 Tropical Soils: Properties and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31] 웹사이트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in China http://www.amlinkint[...] 2010-05-18
[32] 서적 Manchuria: Land of Opportunities
[33] 서적 Manchuria
[34] 웹사이트 Earth History 2001 https://web.archive.[...]
[3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36] 서적 Ruins of Identity: Ethnogenesis in the Japanese Islands https://books.google[...]
[37] 서적 Empire of emptiness: Buddhist art and political authority in Qing China
[38]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39] 서적 https://books.google[...] 1994
[40] 뉴스 5 Of The 10 Deadliest Wars Began In China https://www.business[...] 2014-10-06
[41] 논문 The Limits of Tartary: Manchuria in Imperial and National Geographies 2000
[42] 서적 Hauer 2007 https://books.google[...]
[42] 서적 Dvořák 1895 https://books.google[...]
[42] 서적 Wu 1995 https://books.google[...]
[43] 간행물 reinventing china https://web.archive.[...] 2006
[44] 서적 https://books.google[...] 2003
[45] 간행물 https://www.jstor.or[...] 2000
[46] 간행물 https://www.jstor.or[...] 2000
[47] 논문 Land Use and Society in Manchuria and Inner Mongolia During the Qing Dynasty 2000
[48] 간행물 http://www.phil-fak.[...] 1998
[49] 서적 The Unending Frontier: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50] 간행물 https://www.jstor.or[...] 2000
[51] 저널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52] 저널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53] 서적 The Unending Frontier: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54]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24
[55] 뉴스 The Amur's siren song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4-08-15
[56] 서적 Forsyth 1994 https://books.google[...]
[57] 서적 Stephan 1996 https://books.google[...]
[58] 간행물 Kang 2013 http://history.emory[...]
[59] 저널 Kim 2012/2013 https://www.jstor.or[...]
[60] 웹사이트 Manchuria {{!}} historical region, Chin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05
[61] 서적 Memories of Dr. Wu Lien-teh, plague fighter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62] 서적 The Last Emperor
[63] 웹사이트 Manchurian plague, 1910–11 https://disasterhist[...]
[64] 뉴스 In 1911, another epidemic swept through China. That time, the world came together. https://edition.cnn.[...] CNN 2020-04-19
[65] 서적 Rhoads 2011 https://books.google[...]
[66] 간행물 Lattimore 1933 https://www.jstor.or[...]
[67] 서적 ibid
[68] 서적 ibid
[69] 웹사이트 Yalta Conference https://www.history.[...] History Channel 2024-04-27
[70] 서적 杉山(2008)
[71] 웹사이트 읽는 페이지 {{!}} 생활 속의 불교 용어 {{!}} 만주 http://www.otani.ac.[...] 대谷대학 2021-01-14
[72] 서적 小林(2008)pp.16-17
[73] 서적 二〇世紀満洲歴史辞典 2012
[74] 서적 二〇世紀満洲歴史辞典 2012
[75] 웹사이트 만주・만주 https://kotobank.jp/[...]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76] 웹사이트 읽는 페이지 {{!}} 생활 속의 불교 용어 {{!}} 만주 http://www.otani.ac.[...] 대谷대학 2021-01-14
[77] 서적 만주리아사 연구 「만주」육백년의 사회변용 吉川弘文館 2014-11-01
[78] 서적 松村(2006)pp.156-159
[79] 서적 松村(2006)pp.159-160
[80] 간행물 서임 및 사령 https://dl.ndl.go.jp[...] 일본 마이크로 사진 1920-08-13
[81] 논문 第三編 海軍:第一 軍艦 https://dl.ndl.go.jp[...]
[82] 서적 大清帝国 講談社
[83] 서적 海と帝国 : 明清時代 講談社
[84] 서적 明-清 山川出版社
[85] 서적 概説中国史 下 昭和堂
[86] 서적 「中国」の形成 : 現代への展望 岩波書店
[87] 참고문헌 河内 (1989) pp.230-232
[88] 참고문헌 三上 (1975) pp.819-823
[89] 참고문헌 石橋 (2000) pp.131-132
[90] 참고문헌 石橋 (2000) pp.131-132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논문 渤海史研究と近代日本 https://hdl.handle.n[...] 明治大学史学地理学会 1999-12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天児 2004
[112] 서적 鈴木 2021
[113] 서적 黄 2006
[114] 웹사이트 环渤海经济圈介绍:天然的聚宝盆 http://he.ce.cn/ztpd[...] 2015-11-02
[115] 서적 Swallows and Settlers : the Greatflow North China to Manchuria The Center for Chi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00
[116] 서적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소명출판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