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럽벌잡이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벌잡이새는 벌잡이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학명은 Merops apiaster이다. 화려한 색상을 지닌 날씬한 몸매가 특징이며, 등은 갈색과 노란색, 날개는 녹색, 부리는 검은색을 띤다. 주로 곤충을 먹으며, 특히 벌, 말벌, 땅벌 등을 잡아먹는다. 따뜻한 기후의 탁 트인 지역에서 번식하며, 둥지를 짓고 집단으로 생활한다. 유럽벌잡이새는 꿀벌을 주 먹이로 삼지만, 꿀벌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잡이새과 - 벌잡이새류
    벌잡이새류는 꿀벌을 주식으로 하는 곤충 사냥 기술과 번식 행동이 특징적인 새로, 구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아프리카에서 다양성이 높다.
  • 카메룬의 새 - 대백로
    대백로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왜가리과에 속하는 흰색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장식깃과 검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집단 번식을 하는 습성이 있고, 과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었지만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 카메룬의 새 - 뻐꾸기
    뻐꾸기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름철새로 찾아오는 뻐꾸기과의 새로, '뻐꾹'하는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관심 대상종으로 분류된다.
  • 아제르바이잔의 새 -
    꿩은 닭목 꿩과의 새로서 농경지, 초원, 숲 주변에 서식하며, 수컷은 화려한 깃털을, 암컷은 칙칙한 갈색 깃털을 가지며, 한국에는 한국꿩 등이 서식하고, 사냥과 식용으로 이용된다.
  • 아제르바이잔의 새 - 뻐꾸기
    뻐꾸기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름철새로 찾아오는 뻐꾸기과의 새로, '뻐꾹'하는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관심 대상종으로 분류된다.
유럽벌잡이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럽벌잡이새
유럽벌잡이새 (튀니지 이츠케울 국립공원)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강
파랑새목
벌잡이새과
벌잡이새속
유럽벌잡이새
학명Merops apiaster Linnaeus, 1758
영어 이름European Bee-eater
한국어 이름유럽벌잡이새 (欧羅巴蜂食)
분포
유럽벌잡이새 분포
유럽벌잡이새 분포
보전 상태
IUCN Red ListLC - 최소 관심
IUCN 참고BirdLife International. 2019. Merops apiaster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22683756A155512816.en. Accessed on 05 January 2024.
식별자
WikidataQ170718

2. 분류 및 계통

유럽벌잡이새는 1758년 스웨덴칼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현재 사용하는 학명인 ''Merops apiaster''로 처음 기술했다.[2] 속명 ''Merops''는 고대 그리스어로 "벌잡이새"를 의미하고, 종소명 ''apiaster''는 라틴어로 "벌잡이새"를 뜻하는데, 이는 "벌"을 의미하는 ''apis''에서 유래했다.[3]

3. 형태

다른 벌잡이새류처럼 화려한 색상을 가진 날씬한 새이다. 머리부터 등까지는 갈색, 목은 노란색, 가슴과 배는 파란색을 띤다. 날개는 녹색이고 부리는 검은색이다. 몸길이는 가운데 길게 뻗은 2개의 꼬리 깃털을 포함하여 27cm에서 29cm 정도이다. 암컷과 수컷은 비슷하게 생겼으나, 암컷은 어깨 깃털이 수컷보다 더 녹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수컷은 금색). 번식기가 아닐 때의 깃털은 비교적 수수하며, 등 부분이 청록색이고 길쭉한 중앙 꼬리 깃털이 없다. 어린 새는 번식기가 아닌 성체와 비슷하지만, 깃털 색 변화가 더 적고 균일하다. 성체는 6월이나 7월에 털갈이를 시작하여 8월이나 9월에 마친다. 겨울을 보내는 아프리카에서도 번식 깃털로 바뀌는 털갈이가 추가로 일어난다.[4]

4. 생태 및 습성

유럽벌잡이새는 따뜻한 기후의 탁 트인 지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곤충을 먹이로 삼으며, 특히 , 말벌, 땅벌 등을 즐겨 먹는다. 사냥할 때는 탁 트인 장소의 나뭇가지 같은 곳에 앉아 기다리다가, 날아가는 곤충을 공중에서 낚아채는 방식을 사용한다. 벌과 같이 침이 있는 곤충을 잡았을 때는, 먹기 전에 딱딱한 표면에 여러 번 내리쳐서 침을 제거한다. 하루에 약 250마리의 벌을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벌잡이새의 식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벌목 곤충이며, 그중에서도 서양꿀벌의 비중이 높다. 스페인에서 이루어진 한 연구에 따르면, 유럽벌잡이새 먹이의 69.4%에서 82%가 벌목 곤충이었다.[7][16] 하지만 이들이 꿀벌 개체군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 연구 결과, 유럽벌잡이새는 자신이 서식하는 지역 내 전체 일벌 수의 1% 미만을 잡아먹는 것으로 나타났다.[8][17]

또한, 먹이 종류에 따른 성장 효율에 대한 연구도 있다. 한 연구에서는 유럽벌잡이새가 벌과 잠자리를 섞어 먹었을 때, 벌이나 잠자리 중 한 종류만 먹었을 때보다 먹이를 체중으로 전환하는 효율이 더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9][18]

둥지 근처에 양봉장이 있는 경우 꿀벌 포식이 늘어날 수 있지만, 유럽벌잡이새가 의도적으로 양봉장을 찾아가 꿀벌을 사냥하는 경우는 드물다. 주로 둥지 주변의 목초지 등에서 먹이를 찾으며, 먹이가 부족할 때는 최대 반경 12km까지 날아가기도 한다. 양봉장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주로 날씨가 춥고 비가 와서 벌들이 벌통 밖으로 잘 나오지 않고 다른 곤충을 찾기 어려울 때 관찰된다.[19]

많은 양봉가들은 유럽벌잡이새의 존재가 꿀벌의 외부 활동을 위축시켜 꿀 생산에 피해를 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리비아 트리폴리 동쪽 80km 지점의 유칼립투스 숲에서 실시된 연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지역에서 유럽벌잡이새 먹이의 90.8%가 꿀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꿀벌의 먹이 채집 활동은 유럽벌잡이새가 있을 때 오히려 더 활발해지는 경우도 관찰되어, 유럽벌잡이새가 꿀벌 활동의 주된 방해 요인은 아니라고 결론지었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봉 시에는 유럽벌잡이새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특히 유럽벌잡이새의 이동이 집중되는 시기(3월 하순부터 4월 중순, 9월 중순)에는 여왕벌 교체를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유럽벌잡이새가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자주 머무르는 나무나 높은 전선 주변에는 벌통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21]

4. 1. 번식

꿀벌잡이새의 알


이 꿀벌잡이새들은 사교적인 습성이 있어, 모래 언덕이나 특히 강가 근처에 집단으로 둥지를 튼다. 보통 5월 초에 비교적 긴 터널(옆으로 된 굴)을 파고, 6월 초(상순) 쯤에 5개에서 8개의 둥근 흰색 알을 낳는다. 수컷과 암컷 모두 알을 돌보며, 약 3주 동안 함께 알을 품는다. 또한 함께 먹이를 먹고 잠을 자기도 한다.

구애 기간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큰 먹이를 주고, 작은 먹이는 자신이 먹는다.[5][15] 대부분의 수컷은 일부일처제이지만, 드물게 일부다처제도 발견된다.[6] 이들의 전형적인 울음소리는 독특하고 부드러우며 액체 같으면서도 거친 "prreee" 또는 "prruup" 소리이다.

5. 꿀벌과의 관계

유럽벌잡이새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곤충을 먹으며, 특히 , 말벌, 땅벌을 선호한다. 탁 트인 장소의 나뭇가지 같은 횃대에 앉아 있다가 날아가는 곤충을 공중에서 낚아채 사냥한다. 벌과 같이 침이 있는 곤충을 잡으면, 먹기 전에 딱딱한 표면에 반복해서 내리쳐 침을 제거한다. 하루에 약 250마리의 벌을 먹을 수 있다.

유럽벌잡이새의 식단에서 가장 중요한 먹이는 벌목(Hymenoptera) 곤충이며, 그중에서도 유럽 꿀벌이 주를 이룬다. 스페인에서 이루어진 한 연구에 따르면, 유럽벌잡이새 먹이의 69.4%에서 82%가 꿀벌이었다.[7][16] 하지만 이들이 꿀벌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작다. 일반적으로 서식지 내 전체 일벌 수의 1% 미만을 잡아먹는 것으로 추정된다.[8][17] 또한, 한 연구에서는 벌과 잠자리를 함께 먹을 때, 둘 중 한 종류만 먹는 경우보다 먹이를 체중으로 전환하는 효율이 더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9][18]

양봉장이 유럽벌잡이새의 번식 군락 근처에 있으면 꿀벌 포식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먹이인 꿀벌의 수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유럽벌잡이새는 의도적으로 양봉장 안으로 날아들어가기보다는, 번식지로부터 반경 12km 이내의 목초지나 초원에서 먹이를 사냥한다. 이 최대 거리는 먹이가 부족할 때만 관찰된다. 새들이 양봉장에 접근하는 경우는 주로 춥고 비가 오는 날씨처럼 꿀벌이 벌통 밖으로 잘 나오지 않고 다른 곤충 먹이를 찾기 어려울 때 관찰된다.[10][19]

양봉가에 의해 입구가 돌로 막혀 파괴된 유럽벌잡이새 군락.


많은 양봉가들은 유럽벌잡이새가 꿀벌의 먹이 활동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생각하며, 이 때문에 꿀벌이 5월부터 8월 말까지 벌통 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여긴다. 하지만 리비아 트리폴리 동쪽 80km 지점의 유칼립투스 숲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는 이러한 통념과 달랐다. 이 연구에서는 유럽벌잡이새가 꿀벌의 먹이 활동에 가장 큰 방해 요인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벌잡이새가 있을 때 꿀벌의 먹이 활동률이 더 높은 경우도 관찰되었다. 해당 연구 지역에서 벌잡이새의 먹이는 꿀벌이 90.8%, 딱정벌레가 9.2%를 차지했다.[11][20]

그럼에도 불구하고, 꿀벌에 대한 포식은 특정 시기에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여왕벌 교체 시기나 유럽벌잡이새의 이동이 절정에 달하는 시기(주로 3월 말에서 4월 중순, 그리고 9월 중순)에는 포식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다. 또한, 나무나 전선처럼 유럽벌잡이새가 횃대로 이용하기 좋은 구조물 바로 근처에 있는 벌통은 포식 위험이 더 높다. 새들이 이런 높은 곳에 앉아 있다가 날아가는 벌을 덮치기 쉽기 때문이다.[12][21]

참조

[1] 간행물 Merops apiaster 2021-11-12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biodiversity[...] Holmiae:Laurentii Salvii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4] 서적 RSPB Handbook of British Birds UK
[5] 논문 Economics of courtship-feeding in the European bee-eater (''Merops apiaster'')
[6] 논문 A Case of Bigamy in the European Bee-Eater (''Merops apiaster'')
[7] 논문 Regurgitated pellets of Merops apiaster as fomites of infective Nosema ceranae (Microsporidia) spores
[8] 논문 The role of resources and risks in regulating wild bee populations
[9] 서적 Perspectives on Animal Behavio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0] 웹사이트 Prigonirea prigoriei. [Myths and truths about honey bees and bee eaters ] https://sor.ro/ro/no[...] Romanian Ornithological Society 2018-06-27
[11]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Bee-eater ''Merops apiaster'' on the behavior of honey bee ''Apis mellifera'' L. during foraging http://www.moa.gov.c[...] Mansoura Journal of Plant Protection and Pathology, 1(12): 1023-1030 2018-06-27
[12] 뉴스 Bee-eater is not to blame for decline in honey bees https://www.timesofm[...] 2018-06-27
[13] 간행물 Merops apiaster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22683756A155512816 https://dx.doi.org/1[...]
[14] 서적 RSPB Handbook of British Birds UK
[15] 논문 Economics of courtship-feeding in the European bee-eater (''Merops apiaster'')
[16] 논문 Regurgitated pellets of Merops apiaster as fomites of infective Nosema ceranae (Microsporidia) spores
[17] 논문 The role of resources and risks in regulating wild bee populations
[18] 서적 Perspectives on Animal Behavior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 웹사이트 Prigonirea prigoriei. [Myths and truths about honey bees and bee eaters ] https://sor.ro/ro/no[...] Romanian Ornithological Society 2018-06-27
[20]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Bee-eater ''Merops apiaster'' on the behavior of honey bee ''Apis mellifera'' L. during foraging http://www.moa.gov.c[...] Mansoura Journal of Plant Protection and Pathology, 1(12): 1023-1030 2018-06-27
[21] 뉴스 Bee-eater is not to blame for decline in honey bees https://www.timesofm[...] Times of Malta 2015-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