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 자하레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자하레비치는 소련의 역도 선수로, 10세에 역도를 시작하여 1982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이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총 36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전병관
    전병관은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한국 역도 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올림픽, 아시안 게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이형근 (역도 선수)
    이형근은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로서 체육훈장 청룡장, 거상장, 백마장을 수훈했으며, 배우자는 한은주이고, 자녀로는 이혁진, 이지현, 이훈택, 이은경, 이선경이 있다.
  • 소련의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유리 바르다냔
    아르메니아 출신 역도 선수이자 정치인인 유리 바르다냔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 세계 선수권 7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소련의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라파옐 치미시캰
    라파옐 치미시캰은 1929년 조지아 출신의 역도 선수로, 1952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2연패,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6회 우승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으며, 은퇴 후 국제 역도 심판으로 활동했다.
  • 소련의 남자 역도 선수 - 유리 바르다냔
    아르메니아 출신 역도 선수이자 정치인인 유리 바르다냔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 세계 선수권 7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소련의 남자 역도 선수 - 라파옐 치미시캰
    라파옐 치미시캰은 1929년 조지아 출신의 역도 선수로, 1952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2연패,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6회 우승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으며, 은퇴 후 국제 역도 심판으로 활동했다.
유리 자하레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리 이바노비치 자하레비치
원어 이름Юрий Иванович Захаревич (러시아어)
출생 이름유리 이바노비치 자하레비치
출생일1963년 1월 18일
출생지칼리닌 주 소련, 목시노
국적소비에트 연방
180 cm
종목역도
세부 종목90 kg급, 100 kg급, 110 kg급
최고 기록스내치: 210 kg (1988년)
용상: 250 kg (1988년)
합계: 455 kg (1988년)
올림픽 메달
올림픽 역도남자
하계 올림픽1988년 서울 110 kg급 금메달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메달

2. 선수 경력

유리 자하레비치는 10세 때 역도를 시작했다. 1982년 류블랴나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198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소련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보이콧하면서 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했다.[1]

이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3연패(1985-1987)를 달성했다.[1] 1986년 소피아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 201.0kg, 용상 248.0kg, 합계 447.5kg의 세계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3] 1987년 오스트라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인상 203.0kg 세계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3]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특히 이 대회는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 결실을 맺은 직후 열린 하계 올림픽으로, 자하레비치의 금메달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더욱 빛나는 성과였다. 그는 이 대회에서 인상 210.0kg, 합계 455.0kg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자하레비치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984년부터 1988년까지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1년, 1982년, 1990년에는 은메달을 획득했다.[1] 선수 경력 동안 총 36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1]

자하레비치는 선수 경력 동안 총 36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자하레비치는 1981년부터 1988년까지 다양한 체급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81년 3월 21일 리보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미들 헤비급 인상 181kg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1] 같은 날 182kg으로 기록을 경신했다.[1] 이후 1981년 6월 20일 리냐노 사비아도로에서 인상 183.5kg, 합계 405kg을 기록하며 미들 헤비급 세계 기록을 다시 한번 갈아치웠다.[1]

1981년 12월에는 도네츠크에서 서브 헤비급으로 출전하여 용상 232.5kg, 인상 188kg, 192.5kg, 합계 417.5kg, 425kg을 기록하며 5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1982년 5월 22일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에서는 인상 193.5kg, 195kg, 용상 234kg, 235kg, 합계 427.5kg, 430kg으로 6개의 서브 헤비급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1983년 3월 4일 오데사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서브 헤비급에서 인상 200kg, 용상 240kg, 합계 432.5kg, 합계 440kg을 기록하며 4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1984년 9월 16일 바르나에서는 헤비급으로 출전하여 인상 197.5kg, 200.5kg을 기록했다.[1]

1986년 소피아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헤비급에서 인상 201kg, 용상 248kg, 합계 445kg, 447.5kg을 기록하며 4개의 세계 기록을 추가했다.[1] 1987년에는 랭스에서 인상 202.5kg, 오스트라바에서 인상 203kg을 기록하며 헤비급 인상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1988년은 자하레비치의 해였다. 4월 30일 카디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인상 203.5kg, 용상 250.5kg, 합계 450kg, 452.5kg을 기록하며 4개의 헤비급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1] 그리고 1988년 하계 올림픽이 열린 서울에서 인상 205kg, 210kg, 합계 455kg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3개의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2. 1. 초기 경력

유리 자하레비치는 10세 때 역도를 시작했다. 1982년 류블랴나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2. 2. 전성기

유리 자하레비치는 10세 때 역도를 시작하여 1982년 류블랴나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8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소련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보이콧하면서 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했다.[1]

이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3연패(1985-1987)를 달성했다.[1] 1986년 소피아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 201.0kg, 용상 248.0kg, 합계 447.5kg의 세계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3] 1987년 오스트라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인상 203.0kg 세계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3]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특히 이 대회는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 결실을 맺은 직후 열린 하계 올림픽으로, 자하레비치의 금메달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더욱 빛나는 성과였다. 그는 이 대회에서 인상 210.0kg, 합계 455.0kg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자하레비치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1984년부터 1988년까지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1년, 1982년, 1990년에는 은메달을 획득했다.[1] 선수 경력 동안 총 36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1]

2. 3. 세계 기록

유리 자하레비치는 선수 경력 동안 총 36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자하레비치는 1981년부터 1988년까지 다양한 체급에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81년 3월 21일 리보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미들 헤비급 인상 181kg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1] 같은 날 182kg으로 기록을 경신했다.[1] 이후 1981년 6월 20일 리냐노 사비아도로에서 인상 183.5kg, 합계 405kg을 기록하며 미들 헤비급 세계 기록을 다시 한번 갈아치웠다.[1]

1981년 12월에는 도네츠크에서 서브 헤비급으로 출전하여 용상 232.5kg, 인상 188kg, 192.5kg, 합계 417.5kg, 425kg을 기록하며 5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1982년 5월 22일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에서는 인상 193.5kg, 195kg, 용상 234kg, 235kg, 합계 427.5kg, 430kg으로 6개의 서브 헤비급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1983년 3월 4일 오데사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서브 헤비급에서 인상 200kg, 용상 240kg, 합계 432.5kg, 합계 440kg을 기록하며 4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1] 1984년 9월 16일 바르나에서는 헤비급으로 출전하여 인상 197.5kg, 200.5kg을 기록했다.[1]

1986년 소피아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헤비급에서 인상 201kg, 용상 248kg, 합계 445kg, 447.5kg을 기록하며 4개의 세계 기록을 추가했다.[1] 1987년에는 랭스에서 인상 202.5kg, 오스트라바에서 인상 203kg을 기록하며 헤비급 인상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1988년은 자하레비치의 해였다. 4월 30일 카디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인상 203.5kg, 용상 250.5kg, 합계 450kg, 452.5kg을 기록하며 4개의 헤비급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1] 그리고 1988년 하계 올림픽이 열린 서울에서 인상 205kg, 210kg, 합계 455kg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3개의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3. 주요 대회 성적

유리 자하레비치는 10세 때 역도를 시작하여 1982년 류블랴나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8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소련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으로 올림픽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 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1] 선수 경력 동안 36개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1]

연도개최지체급인상 (kg)용상 (kg)합계순위
1차2차3차순위1차2차3차순위
올림픽
1988서울, 대한민국110 kg195.0205.0 WR210.0 WR1245.0251.0251.01455.0 WR''''''

|-

! colspan=13|세계 선수권 대회

|-

|1986 || align=left| 소피아, 불가리아 || 110 kg || 195.0 || 201.0 || '''201.0 WR''' || || 235.0 || 245.0 || '''248.0 WR''' || || '''447.5 WR''' ||

|-

|1987[3] || align=left| 오스트라바, 체코슬로바키아 || 110 kg || 195.0 || '''203.0 WR''' || -- |||| 235.0 || '''242.5''' || 248.5 || || '''445''' ||

|-

|}

4. 대한민국과의 관계

유리 자하레비치는 10세 때 역도를 시작하여 1982년 류블랴나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같은 해 소련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보이콧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했다. 이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 헤비급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과 인연을 맺었다. 당시 대한민국은 민주화 열기로 가득 차 있었고, 자하레비치의 승리는 한국 국민들에게 큰 기쁨과 희망을 안겨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Yury Zakharevich, Top Olympic Lifters of the 20th Century @ Lift up http://www.chidlovsk[...]
[2] 서적 Weightlifting Yearbook Sportivny Press 1984
[3] Youtube 1987 World Championships https://www.youtube.[...]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