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부구는 장사대왕 유용의 아들로, 장사경왕의 작위를 받았다. 그의 아들로는 장사날왕 유건덕, 고성절후 유량, 복양엄후 유연년, 종무절후 유도가 있다. 고성절후 유량은 시원 6년 6월 을미일에, 복양엄후 유연년과 종무절후 유도는 원강 원년 정월 계묘일에 봉해졌다. 유부구의 뒤는 장사날왕 유건덕이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84년 사망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로, 마리우스와 연합하여 로마를 장악하고 4년 연속 집정관을 역임하며 독재 권력을 행사했으나, 술라에 대항하려다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기원전 84년 사망 - 안티오코스 12세 디오뉘소스
안티오코스 12세 디오뉘소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으로 다마스쿠스를 중심으로 통치하며 여러 별칭을 사용해 권위를 드러냈고, 나바테아와 유대아를 상대로 군사 활동을 펼쳤으나 카나 전투에서 전사하며 그의 통치는 막을 내렸다. - 전한의 제후왕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의 제후왕 - 유굉 (광릉왕)
- 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유부구 | |
---|---|
개요 | |
기본 정보 | |
성 | 유(劉) |
이름 | 부구(富丘) |
시호 | 효(孝) |
작위 | 제후왕 |
봉국 | 교동국(膠東國) |
시대 | 전한(前漢) |
출생 | 기원전 106년 |
사망 | 기원전 29년 |
가계 | |
아버지 | 유단 |
어머니 | 왕첩여(王婕妤) |
배우자 | 공수(恭遂) |
자녀 | 유음 유현 |
생애 | |
즉위 | 기원전 82년 |
주요 사건 | 아버지 유단의 모반 연루 태후의 비호 작위 유지 |
재위 기간 | 53년 |
기타 | |
관련 인물 | 한소제 곽광 상홍양 정길 |
2. 가계
아버지는 장사대왕 유용이다. 슬하에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6] 장남 장사날왕 유건덕이 왕위를 계승했고, 다른 네 아들은 후작에 봉해졌다.[6]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2. 1. 장사경왕 유부구
장사대왕 유용의 아들이다. 슬하에 아들 다섯을 두었다.- 장사날왕 유건덕: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장사왕이 되었다.
- 고성절후 유량(劉梁): 시원 6년(기원전 81년) 6월 을미일에 봉해졌다.[6]
- 복양엄후(復陽嚴侯) 유연년(劉延年):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봉해졌다.[5][6]
- 종무절후 유도: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봉해졌다.[6]
- 고성절후(高城節侯) 유량(劉梁):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봉해졌다.[6]
고성절후 유량(劉梁)의 경우, 왕자후표에는 시원 6년 6월 을미일(소제 시기)과 원강 원년 정월 계묘일(선제 시기) 두 번 봉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6] 이는 판각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자세한 사항은 알 수 없다.[6]
2. 2. 유부구의 자녀들
장사경왕 유부구에게는 여러 아들이 있었으며, 기록에 남은 주요 자녀는 다음과 같다.이름 | 작위 | 비고 |
---|---|---|
유건덕 | 장사날왕 |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장사왕이 됨 |
유량 | 고성절후 | 봉작 시기에 대해서는 하위 문단 참고[6] |
유연년(劉延年) | 복양엄후 | [5]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봉작[6] |
유도 | 종무절후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봉작[6] |
유량(劉梁) | 고성절후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봉작[6] |
이들 중 복양엄후 유연년, 종무절후 유도, 고성절후 유량(劉梁)은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후(侯)로 봉해졌다.[6]
2. 2. 1. 장사날왕 유건덕
장사경왕 유부구의 아들로, 장사날왕 작위를 받았다.2. 2. 2. 고성절후 유량
장사경왕 유부구의 아들이다. 고성절후(高城節侯) 작위를 받았다.봉작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기록이 전해진다. 하나는 시원 6년(기원전 81년) 6월 을미일에 봉해졌다는 기록이고[6], 다른 하나는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봉해졌다는 기록이다.[6]
왕자후표(王子侯表)에는 이 두 시기가 모두 기록되어 있는데, 각각 소제와 선제 때의 일로 확인된다.[6] 왜 두 번 기록되었는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판각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6]
2. 2. 3. 복양엄후 유연년
장사경왕 유부구의 아들이다.[5]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복양엄후(復陽嚴侯)로 봉해졌다.[5][6]2. 2. 4. 종무절후 유도
유부구의 아들이다.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에 종무절후(終武節侯)에 봉해졌다.[6] 형제로는 장사날왕 유건덕, 고성절후 유량, 복양엄후 유연년(劉延年), 고성절후 유량(劉梁) 등이 있다.[5]2. 3. 추가 정보
아들 | 작위 | 봉작 시기 |
---|---|---|
유건덕 | 장사날왕 | - |
유량(劉梁) | 고성절후 | 시원 6년(기원전 81년) 6월 을미일[6] |
유연년(劉延年) | 복양엄후[5]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6] |
유도 | 종무절후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6] |
유량(劉梁) | 고성절후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정월 계묘일[6] |
고성절후 유량(劉梁)의 경우, 왕자후표에는 소제 때인 시원 6년 6월 을미일과 선제 때인 원강 원년 정월 계묘일에 각각 왕자후로 봉해진 기록이 모두 나타난다.[6] 이는 기록을 새기는 과정(판각)에서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나,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참조
[1]
문서
한서 경십삼왕전을 따른 것이고, 제후왕표에는 附拘, 안사고의 주석에는 胕胊라고도 한다.
[2]
서적
사기 권59 오종세가
[3]
서적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4]
서적
한서 권53 경십삼왕전
[5]
문서
한서에서는 장(莊)을 엄(嚴)으로서 피휘하므로 실제 시호는 장후(莊侯)일 것이다.
[6]
간행물
권15 하 왕자후표제3 하
[7]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8]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