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은 육군사관학교 내에 위치한 군사 박물관으로, 1956년 육군사관학교 기념관으로 개관하여 1985년 육군박물관으로 정식 개관하였다.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군사 유물을 전시하며, 2개의 전시실과 육사기념관, 옥외 및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박물관은 '열쇠' 형태의 건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물을 전시하는 제1전시실과 대한제국 이후의 군사 유물을 전시하는 제2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육사기념관은 학교의 역사와 생도 생활을 전시하며, 사전 예약 및 방문자 명단 제출 시 관람이 가능하다.

2. 연혁

연도내용
1956년 10월 3일육군사관학교 기념관으로 개관
1966년 10월 4일육군사관학교 군사박물관으로 개칭
1967년 9월 10일청헌당(서울시 유형문화재)으로 이전/ 고대관으로 개관
1981년 5월 15일박물관 신축공사 기공
1983년 3월 28일박물관 신축공사 준공 / 육군박물관으로 개칭
1985년 5월 1일육군박물관 개관
1996년 5월 1일육사 교훈탑 1층에 육사기념관 개관
2000년 2월 10일매장문화재 지표조사 기관 선정(문화재청)
2001년 3월 19일육군박물관 등록(문화관광부)
2016년 1월~12월박물관 냉난방 시설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
2017년 2월 20일육군박물관 재개관


2. 1. 설립 초기

1956년 10월 3일 육군사관학교 기념관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이후 1983년 현재의 건물을 신축하고, 2년간의 시험 전시를 거쳐 1985년 5월 1일 육군박물관으로 정식 개관하였다. 육군박물관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 전문 박물관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다양한 군사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996년 5월 1일에는 육사 교훈탑 1층에 육사기념관을 개관하여 운영하고 있다. 육사기념관은 육군사관학교와 관련된 역사적 유물을 수집·전시하고 있다.

연도내용
1956년 10월 3일육군사관학교 기념관으로 개관
1966년 10월 4일육군사관학교 군사박물관으로 개칭
1967년 9월 10일청헌당(서울시 유형문화재)으로 이전/ 고대관으로 개관
1981년 5월 15일박물관 신축공사 기공
1983년 3월 28일박물관 신축공사 준공 / 육군박물관으로 개칭
1985년 5월 1일육군박물관 개관
1996년 5월 1일육사 교훈탑 1층에 육사기념관 개관


2. 2. 박물관 신축 및 확장

1981년 5월 15일 박물관 신축공사를 시작하여 1983년 3월 28일에 준공하였다. 육군은 현재와 같은 모습의 건물을 신축하는 것을 승인하였고, 2년간의 시험 전시를 거쳐 1985년 5월 1일 육군박물관으로 정식 개관하였다.

이후 1996년 5월 1일 육사 교훈탑 1층에 육사기념관을 개관하였다.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박물관 냉난방 시설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진행하였고, 2017년 2월 20일 육군박물관을 재개관하였다.

2. 3. 현대화 및 재개관

청헌당(서울시 유형문화재)으로 이전한 후 1981년 5월 15일 박물관 신축공사를 시작하여 1983년 3월 28일에 준공하였다. 1985년 5월 1일 육군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1996년 5월 1일 육사교훈탑 1층에 육사기념관을 개관하였고, 2000년 2월 10일에는 문화재청에서 매장문화재 지표조사 기관으로 선정하였다.

2001년 3월 19일, 육군박물관은 문화관광부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박물관 냉난방 시설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진행되었고, 2017년 2월 20일 육군박물관이 재개관하였다.

3. 시설

육군박물관은 2개의 전시실, 수장고, 강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에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무기와 장비 등이 전시되어 있고, 제2전시실에는 대한제국 군대, 의병, 독립군, 광복군을 거쳐 대한민국 육군으로 이어지는 발전 과정과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 건물 밖 옥외전시장에는 조선시대 화포, 일제시대 대포, 베트남 전쟁 관련 유물 등이 전시되어 있어 관람객들의 쉼터 및 교내 야외행사장으로 활용된다.

박물관 북쪽 200m 지점에는 북한군 T-34 전차와 미군 전차, 장갑차, 곡사포, 항공기, 지대공 유도탄 등 대형 장비가 전시되어 있다. 남쪽 200m 지점에는 연령군이훤신도비와 청헌당이 있다.

3. 1. 본관

박물관은 '조국통일의 길을 연다'는 의미로 '열쇠' 형태를 하고 있으며, 연건평 1815평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이고, 2개의 전시실 이외에도 사무실과 학예실 및 278석 규모의 강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분건평현황
제1전시실1705m2 (516평)원형건물 2층
제2전시실1705m2 (516평)원형건물 3층
기념관1층: 579m2 (175평)
지하: 585m2 (177평)
1층: 육사기념관
지하: 생도생활실
전망대: 지상64m
수장고530m2 (160평)무기고, 보존처리실, 수장고, 기계실
기타2105m2 (637평)1층: 강당(278석), 안내실
2층: 사무실


3. 2. 육사기념관

1996년에 설립된 육사기념관은 육군사관학교와 관련된 역사적 유물을 수집·전시하고 있다. 1995년 8월 기념관 설립 추진위원회가 편성되어 동년 12월 1일 착공식을 가졌다. 1996년 5월 1일 전 동문을 초청한 자리에서 개관식을 가졌고, 학교사 자료 특별전도 개최하였다.

설립 목적은 육사의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하고 미래상을 제시하며, 기념관 설립을 통하여 육사인으로서의 긍지를 고양시키고 일반인들에게 육사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육사의 기능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감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육군사관학교 교훈탑 1층과 지하 1층에 개관하였으며, 육사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학교의 역사와 생도 생활상 등을 전시하고, 졸업생 중 전사자와 강재구·심일 소령을 추모하고 있다.

교훈탑 외벽에는 육사 전 졸업생 명단이 부착되어 있고, 육사를 상징하는 64m의 전망대와 그 기둥 위에 육사의 교훈인 지(智), 인(仁), 용(勇)이 새겨져 있다. 탑 주변에는 각종 기념물이 있어 기념관을 포함한 외부 공간까지를 기념공원이라 한다. 교훈탑 1층에는 주제별 7개 실로 구분 전시되어 있다. 1층 전시장은 학교 역사실, 교육 변천사실, 복식 변천사실, 전사자실, 동문 활동실, 생도복장체험실, 역대 교장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시 자료뿐만 아니라 영상 장비인 터치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어 학교의 역사, 전사자, 졸업생 자료, 학교 안내 등을 관람자가 직접 검색할 수 있다. 지하층에는 생도 생활관으로서 입교에서 졸업까지의 과정, 교과 과정, 과외 활동, 군사 훈련 등 사진 자료와 생도 내무반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관람 동선은 1층 전시실을 경유하여 64m 높이의 전망대에서 육사 전경을 관람하고 지하층인 생도 생활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분현황
기념관1층: 579m2
1층: 육사기념관


3. 3. 옥외 및 야외 전시장

박물관 전시실을 떠받치고 있는 원추형 돌기둥이 두 열로 돌아나간 옥외전시장에는 조선시대의 화포, 일제시대의 대포, 베트남 전쟁을 기념하는 여러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관람객의 쉼터와 교내 야외행사장 등의 공간으로 제공되고 있다.

박물관 건물을 나와 북쪽으로 200m 정도 걸어가면 나오는 왼쪽에는 당시 남침의 선봉에 섰던 북한군 T-34 전차와 이에 맞섰던 미군 전차, 장갑차, 곡사포, 항공기와 지대공 유도탄 등의 대형 장비가 전시되어 있다. 또한, 남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곳의 좌측에는 연령군이훤신도비와 청헌당이 있다.

4. 주요 소장품

육군박물관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 전문 박물관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다양한 군사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주요 소장품에는 무기, 장비, 서화, 복식, 기치류 등이 있다.

4. 1. 제1전시실 (선사시대 ~ 조선시대)

1956년 발족 당시에는 육군사관학교 기념관으로 개관하였다. 이후 군사박물관으로서의 본격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육군의 승인을 받아 1983년 현재와 같은 모습의 건물을 신축한 뒤, 2년간의 시험전시를 마치고 1985년 5월 1일 육군박물관으로 정식 개관하였다. 본 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전문박물관으로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무기류, 장비류, 서화류, 복식류, 기치류 등 다양한 군사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대한제국 이전까지의 군사 관련 문화재로서 보물 8점을 포함한 각종 유물들이 시대순, 특성별로 전시되어 군사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전시 유물은 다음과 같다.

  • 창검류
  • 궁시류
  • 총포, 탄환류
  • 신호, 야전장비류 외
  • 복식류
  • 병서, 고문서류 외
  • 지도, 유묵류 외

4. 2. 제2전시실 (대한제국 ~ 현대)

대한제국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군사유물로서 현대사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도록 각종 무기와 장비, 복식, 문서 등이 전시되어 있다.

5. 관람 안내

육군사관학교는 군사시설보호 구역이자 사관생도를 양성하는 군 교육기관이므로, 사전 예약 및 방문자 명단 제출 시 출입이 허용된다.

구분내용
관람 중단2020년 1월 29일(수)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경계단계 격상으로 잠정 중단
관람 시간1일 3회 (10시, 14시, 15:30), 50명 이상 단체 이용자는 사전 신청 후 승인 시 제한 없음
휴관일매주 월요일, 신정, 설 및 추석 연휴
관람 요금무료
관람 코스박물관(학교 홍보/안보 영상 시청(15분)) → 청헌당 → 화랑연병장(화랑의식 미리보기) → 야외무기전시장(범무천) → 기념관 생도회관(기념품점 바로가기) → 제2정문
화랑의식매주 금요일 14:00 (세부 일정은 예약 시 확인)
관람 문의 및 방법육군사관학교 행정안내실(육사 후문)에 1주일 전 관람 신청(문서, 전화, 인터넷, 방문) 후 승인
관람 신청/문의https://web.archive.org/web/20071210152613/http://www.kma.ac.kr/ 육군사관학교 후문 행정안내실
관람 문의http://www.nowon.seoul.kr 노원구청 문화과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사서함 77-1


6. 사회적 기여

육군박물관은 다양한 군사 유물과 유적을 조사·정리하고 수집·보관·전시함으로써, 상무정신의 전통이 담긴 국방문화유산에 대한 홍보, 이해, 연구 및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