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물은 옥, 조개 등 귀중품을 의미하며, 영어의 treasure와 어원이 같다. 보물은 보석, 귀금속, 공예품, 미술품, 역사적 유물 등 물질적 가치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보물은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인간의 제작 및 역사적 획득을 통해 얻어진다. 보물찾기는 보물을 찾는 게임, 모험, 탐험을 의미하며, 보물 지도는 보물의 위치를 나타낸다. 잃어버린 보물은 전쟁, 도난 등으로 사라진 보물을 의미하며, 대중문화에서 흥미로운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물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고고학적 발견 |
발견 장소 | 빌레나 근처의 라 호야 |
발견 국가 | 스페인 |
발견 날짜 | 1963년 12월 1일 |
발견자 | 호세 마리아 솔레르 |
문화 | 청동기 시대 후기 |
연대 | 기원전 1400-1200년 |
소재지 | 빌레나 고고학 박물관 |
좌표 | 38°38′18″N 0°51′53″W |
설명 | |
내용물 | 금 59점 은 3점 철 2점 호박 1점 |
무게 | 거의 10kg (대부분 금) |
중요성 |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금 세공품 |
특징 | 그릇 병 보석 |
역사적 맥락 | |
시기 | 청동기 시대 후기 |
문화적 중요성 | 당대의 사회 및 기술 수준을 보여줌 |
보존 및 전시 | |
보존 상태 | 빌레나 고고학 박물관에서 보존 및 전시 중 |
추가 정보 | 유럽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금 세공품 유물로 평가됨 |
참고 자료 | |
관련 문서 | 빌레나 청동기 시대 스페인의 고고학 |
2. 정의와 어원
보물(옛 글자 보물)이라는 글자는 '宀' 아래에 '玉'이나 '貝'(옛 글자에는 '缶'(''후''로 읽음))가 조합되어 있다. 이는 가옥 안에 옥이나, 과거 화폐(조개껍데기)로 사용되었던 조개 등 귀중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어의 "Treasure"는 그리스어 θησαυρος(thesauros, 저장하기 위한 건물, 나아가 보물의 의미)에서 유래했다.
2. 1. 한국어
'보물'(옛 글자) 또는 '보물'이라는 글자는 '宀' 아래에 '玉'이나 '貝'(※옛 글자에는 '缶'('''"푸"'''로 읽음)가 조합되어 있다. 이는 가옥 안에 옥이나, 과거 화폐(조개껍데기)로 사용되었던 조개 등 귀중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1]영어의 "Treasure"도 어원은 그리스어의 θησαυρος|테사우로스grc(저장하기 위한 건물, 나아가 보물의 의미)이다.[1]
2. 2. 영어
영어 단어 "Treasure"의 어원은 그리스어 θησαυρος(thesauros)로, 저장하기 위한 건물이나 보물을 의미한다.2. 3. 일본어
보물(옛 글자 보물)이라는 글자는 '宀' 아래에 '玉'이나 '貝'(옛 글자에는 '缶'('''"フウ"'''로 읽음))가 조합되어 있다. 이는 가옥 안에 옥이나, 과거 화폐(조개껍데기)로 사용되었던 조개 등 귀중품이 보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3. 보물의 종류와 가치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12] 국보와 보물은 모두 가치가 높지만, 국보가 그 분야와 시대를 대표하는 유일한 문화재라면, 보물은 그와 비슷한 가치를 지닌 여러 문화재를 통칭한다고 볼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약 1,769여 가지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12]
보물은 보석이나 귀금속처럼 물질적인 가치를 지닌 것뿐만 아니라, 뛰어난 공예품, 미술품, 역사적 유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고려 다완, 기독교의 성유물, 일본 황실의 삼종신기처럼 특별한 역사나 유래가 있는 물건도 보물로 여겨진다.
또한, 보물은 생명, 경험, 우정과 같이 형태가 없는 것도 포함하는 주관적인 개념이다.
3. 1. 물질적 가치
많은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보물로 여겨지는 것은 보석이다. 보석은 글자 그대로 보배로운 돌이며, 아름답지만 드물게 산출되는 귀중한 돌이다. 귀금속은 그 광채가 아름답다고 여겨지면서 산출이 제한되어 있어 보석과 마찬가지로 소중히 여겨진다.[1]금품, 세계적으로 유사한 것이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기교가 뛰어난 공예품, 아름다운 미술품도 보물로 여겨질 수 있다.[1]
3. 2. 역사적 가치
보물은 유물, 유적, 고문서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것들을 포함하며, 특정 시대나 사건을 대표하는 유물은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다도에 정통한 사람 외에는 평범한 찻잔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고려 다완이나, 기독교의 성유물, 일본 황실의 삼종신기 등은 겉보기에는 평범해 보일 수 있지만, 특별한 역사나 유래를 지니고 있어 보물로 여겨진다.3. 2. 1. 한국의 문화재
문화재보호법 제4조 제1항에 따르면 "문화관광부 장관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다.[12] 국보와 보물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가치가 높은지를 가리기는 쉽지 않다. 국보가 그 분야와 그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뿐인 문화재인 반면, 보물은 그와 비슷한 가치의 문화재로서 우리 문화를 대표한다고 말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는 약 1,769여 가지이다.[12]3. 3. 문화적 가치
보석은 많은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보물로 여겨지는데, 이는 글자 그대로 보배로운 돌, 즉 아름답지만 드물게 산출되는 귀중한 돌이다. 또한 귀중한 금속이라고 써서 귀금속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역시 그 광채가 아름답다고 여겨지면서 산출이 제한되어 있으며, 보석과 마찬가지로 소중히 여겨지고 있다.그 외의 보물에는 금품이나, 세계에 유사한 것이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기교가 뛰어난 공예품, 아름다운 미술품, 언뜻 보면 흔한 물건이거나 쓰레기처럼 보이지만 특별히 중요한 역사나 유래가 얽혀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다도에 정통한 사람 외에는 그저 찻잔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고려 다완, 기독교의 성유물, 일본 황실의 삼종신기 등이 있다.
3. 4. 개인적 가치
보석은 글자 그대로 보배로운 돌로, 아름답지만 드물게 산출되는 귀중한 돌이다. 귀금속은 광채가 아름답고 산출이 제한되어 있어 보석과 마찬가지로 소중히 여겨진다. 이외에도 금품, 뛰어난 공예품, 아름다운 미술품 등이 보물이 될 수 있다. 언뜻 보면 흔하거나 쓰레기처럼 보이지만 특별한 역사나 유래가 있는 것도 보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도에 정통한 사람 외에는 찻잔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고려 다완, 기독교의 성유물, 일본 황실의 삼종신기 등이 있다.보물은 매우 주관적인 개념이며, 무엇을 "보물"로 할지는 인간 또는 인간 집단에 따라 크게 다르다. 생명, 경험, 우정 등 개인적이고 유형, 무형의 소중한 것도 "보물"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형태가 있는 것부터 없는 것까지 다양하다.
4. 보물의 형성과 획득
보물은 그 희소성과 역사적 가치 때문에 "우연의 산물"처럼 귀하게 여겨진다. 진주나 호박과 같은 자연물, 옛 권력자가 사용했던 물건, 권력을 상징하는 유형 문화재 등이 그 예시이다. 특히 뛰어난 기술이나 많은 노동력을 들여 만든 것들이 보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0]
신화나 전설 속에서도 보물을 얻는 이야기가 종종 등장한다. 일본 신화의 야마타노오로치 꼬리에서 얻은 아마노무라쿠모노츠루기, 미카소라는 인물의 개가 무지나를 죽여 그 안에서 곡옥을 발견하여 이소노카미 신궁에 바쳤다는 기록이 대표적이다.[10]
"인외(人外)에 유래한다"고 여겨지는 보물의 예로는 보시(打出の小槌)가 있으며, 이는 많은 재물을 만들어내는 도구로 여겨진다.
4. 1. 자연적 형성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보물은 천체의 발생부터 서서히 형성되어 간 환경이나 지형 속에서 생성된, 절대량이 적은 물질이나 주변과의 조화에 의해 만들어져 온 자연환경 등, "우연의 산물"과 같은 것이 차츰 보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다. 생물에서 유래하는 것으로는 조개에서 생성되는 진주나 나무의 수액이 굳어져 만들어진 호박을 예로 들 수 있다.[10]4. 2. 인위적 제작
사람이 재료를 가공·구축하여 만들어낸 "것"은 작은 반지에서 큰 인공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있다.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 "역사적 가치"에 근거하여 보물로 여겨진다. 옛 시대 권력자의 "애용품"이나 "권력을 상징하는 것", "(오래된) 시대를 상징하는 역사 건축물" 등이 이에 해당하며(「유형 문화재」 참조), 특히 만들어진 시대에 특별히 높은 기술이나 대량의 노동력을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 보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0] 물건이 만들어진 순간부터 보물이 되는 것도 있지만, 그것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평가된 후에 보물이 되기도 한다.4. 3. 역사적 획득과 전승
보물은 희소성이나 역사적 가치에 의해 "우연의 산물"처럼 귀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진주나 호박과 같은 자연물이나, 옛 권력자가 사용했던 물건, 권력을 상징하는 유형 문화재 등이 그 예시이다. 특히, 뛰어난 기술이나 많은 노동력을 들여 만든 것들이 보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0]신화나 전설 속에서도 보물을 얻는 이야기가 나타난다. 일본 신화에서는 야마타노오로치의 꼬리에서 아마노무라쿠모노츠루기를 얻거나, 미카소라는 인물의 개가 무지나를 죽여 그 안에서 곡옥을 발견하여 이소노카미 신궁에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역사적으로 보물은 왕이나 부자들이 제작하게 한 공예품, 화폐 등이 많으며, 권력자, 연구자, 재보 약탈자 등이 그 가치를 인정하고 수집하기도 했다. 이러한 보물은 특정 가문이나 사찰, 교회 등에 전해지거나, 부자나 권력자들 사이에서 거래되기도 한다. 국가가 그 중요성을 인정한 미술품, 공예품, 역사적 유산은 국보나 문화재 등으로 지정되어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보관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영 박물관의 엘긴 마블과 같이 제국주의 시대에 약소국에서 강대국으로 옮겨진 보물은 원래 소유국과 현재 소유국 사이에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3. 1. 매장금
매장금은 훔친 재물을 외딴 장소에 묻어두고 나중에 찾으러 올 의도로, 해적과 관련된 대중적인 신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대중적인 인식과는 달리, 해적들이 실제로 보물을 묻는 일은 드물었으며, 역사적으로 문서화된 해적 보물 지도는 없다.[8]매장된 해적 보물이라는 신화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세 가지 이야기는 워싱턴 어빙의 "월퍼트 웨버"(1824), 에드거 앨런 포의 "황금충"(1843),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1883)이다. 이들은 모두 윌리엄 키드 전설에서 파생되었으며, 특히 스티븐슨의 ''보물섬''은 어빙의 "월퍼트 웨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7]
보물 매장에 대한 문서화된 사례 중 하나는 프랜시스 드레이크가 콜론주의 놈브레 데 디오스에서 열차를 습격한 후 스페인 금과 은을 묻었다가, 6시간 후 돌아와 회수한 경우이다. 드레이크는 지도를 만들지 않았다.[8]
캡틴 키드는 체포되어 잉글랜드로 돌아가기 전, 약탈한 배 퀘다 상인의 보물을 뉴욕주 롱아일랜드 근처 가디너스 섬에 묻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키드의 보물 대부분은 회수되었지만, 대중의 관심과 매료로 인해 엄청난 재산이 남아있다는 추측이 커졌다. 캡틴 키드는 가디너스 섬의 체리 트리 필드(Cherry Tree Field)에 작은 보물을 묻었지만, 벨로몬트 총독에 의해 제거되어 증거로 잉글랜드로 보내졌다.[9] 이후 많은 사람들이 키드의 보물을 찾으려 했지만, 발견되지 않았다.[8]
5. 보물찾기와 탐험
보물찾기(Treasure Hunting영어)는 보물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게임이나 모험, 탐험을 뜻한다. 어린이들의 놀이에서부터, 인생을 걸고 보물을 찾아 생활하는 사람까지 그 규모가 다양하다.
침몰선 탐사는 카리브해, 동남아시아, 북유럽 등 각지에서 학술 연구 그룹에 의해 이루어지며, 귀중한 유물이 발견되기도 한다.[11] 그러나 고문서 기록을 보고 개인적으로 탐색하는 트레저 헌터도 많다.
보물찾기는 평생 동안 실존하는 보물을 찾는 것 외에도, 직업에서 중요한 것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한다.
영화, 만화, 게임에서는 보물찾기를 소재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보물 자체보다는 보물찾기에 집착하는 인간 묘사를 중심으로 마피아, 갱, 야쿠자와 같은 범죄 집단이 등장하기도 하며, 이때 보물은 맥거핀인 경우가 많다.
민화 "꽃 피는 할아버지"에서처럼, 보물을 찾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다.
5. 1. 보물찾기의 유형
보물찾기는 보물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게임이거나, 실제로 인생을 건 모험·탐험이다. 여기서 '보물'이라는 의미도 같다. 보물찾기는 어린이의 놀이나 야외 활동의 취미로 행해지는 것부터, 인생을 걸고 보물을 발견하여 그것으로 생활을 꾸려가는 것까지 있어, 그 규모가 매우 크고 작음이 극단적이다. 문자 그대로의 보물찾기 대상이 되는 것은 사막, 산림, 유적 등에 남모르게 잠든 유물이나, 한때 그 존재가 알려졌지만 지금은 잃어버린 재보 등이다.또한, 재보가 아니지만 로스트 더치맨 광산과 같은 (위치를 알 수 없게 된) 잃어버린 광산(로스트 마인)도 마찬가지로 보물찾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5. 2. 보물 지도
보물 지도는 매장된 보물, 잃어버린 광산, 가치 있는 비밀 또는 숨겨진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이다. 1952년 쿰란 근처 사해 문서에서 발견된 구리 두루마리는 매장된 보물을 나열한 문서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5]현실보다는 허구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해적 보물 지도"는 종종 허구 작품에서 등장하며, 등장인물들이 따라야 할 난해한 단서를 담은 손으로 그린 그림으로 묘사된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1883)에 나오는, 보물 위치에 "X" 표시가 크게 된 낡은 차트나 에드거 앨런 포의 황금충(1843)에 나오는 수수께끼가 보물 지도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5. 3. 침몰선 탐사
침몰선 탐사는 카리브해, 동남아시아, 북유럽 등 각지에서 학술 연구 그룹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카리브해에서는 금화나 보석이, 동남아시아에서는 중국산 도자기가, 북유럽에서는 샴페인이나 와인 등이 발견되었다.[11] 그러나 고문서의 배 침몰 기록을 보고, 이것들을 함부로 개인적으로 탐색하는 트레저 헌터도 많다.6. 잃어버린 보물과 비보
전쟁이나 쟁탈전, 도난, 은닉 등으로 인해 행방불명이 된 보물을 "잃어버린 보물"이라고 한다. 이 중에는 아직 파괴되지 않고 어딘가에 존재할 것이라고 믿어지는 "비보"도 있지만, 역사적 사실의 뒷받침이 없어 전설에 불과한 경우도 많다.
잃어버린 보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도쿠가와 매장금
- 캡틴 키드의 보물
- 템플 기사단의 보물
- 야마시타 도모유키의 보물 (야마시타 골드)
- 예카테리나 궁전에서 독일군이 가져간 후 행방을 알 수 없는 호박방
- 잃어버린 성궤
- 사해 문서의 구리 두루마리에 기록된 보물
- 아와마루호의 금괴[1]
이러한 잃어버린 보물들은 지금도 그 행방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으며, 영화, 소설 등 수많은 픽션의 소재가 되고 있다.
7. 현대 사회와 보물
현대 사회에서 보물은 단순한 옛 유물을 넘어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문화유산 보호 측면에서 보물은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관광 산업에서는 핵심적인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또한, 예술 시장에서 보물은 높은 경제적 가치를 지니며 투자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보물을 둘러싼 국제적인 분쟁도 발생한다. 대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엘긴 마블은 문화재 반환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적인 논쟁을 낳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분쟁에 대해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문화재의 원 소유국 반환을 지지하며, 국제 협력을 통한 해결을 강조한다.
7. 1. 대중문화 속 보물
해적과 관련된 대중적인 이야기에는 매장된 보물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사람들은 흔히 해적들이 훔친 재물을 외딴곳에 묻어두고 나중에 보물 지도를 이용해 찾으러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5]워싱턴 어빙의 "월퍼트 웨버"(1824), 에드거 앨런 포의 "황금충"(1843),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1883)은 매장된 해적 보물 이야기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6] 이 작품들은 윌리엄 키드 전설에서 유래했다.[7] 특히 스티븐슨의 ''보물섬''은 어빙의 "월퍼트 웨버"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7]
thumb의 그림, 해적들이 캡틴 키드의 보물을 묻는 모습, ''하워드 파일의 해적의 책''에서]]
매장된 해적 보물은 문학에서 인기 있는 주제이지만, 실제로 해적들이 보물을 묻는 일은 드물었고, 역사적으로 해적 보물 지도에 대한 기록도 없다.[8]

보물 지도는 보통 매장된 보물, 잃어버린 광산, 중요한 비밀이나 숨겨진 장소를 나타내는 지도를 말한다. 실제보다는 허구에서 더 자주 등장하며, "해적 보물 지도"는 등장인물들이 따라가야 할 복잡한 단서가 담긴 손으로 그린 그림으로 묘사되곤 한다.
보물 지도는 문학과 영화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1883)에 나오는 것처럼 보물 위치를 "X" 표시로 크게 나타낸 낡은 지도나, 에드거 앨런 포의 "황금충"(1843)에 나오는 암호문 등이 있다.
보물찾기(트레저헌팅, Treasure Hunting)는 보물을 찾는 게임이나 실제 모험·탐험을 뜻한다. 어린이들의 놀이나 야외 활동으로 즐기기도 하고, 평생을 바쳐 보물을 찾아다니는 사람들도 있어 그 규모가 매우 다양하다. 문자 그대로의 보물찾기 대상은 사막, 산림, 유적 등에 숨겨진 유물이나, 한때 알려졌지만 지금은 잃어버린 재보 등이다.
로스트 더치맨 광산처럼 위치를 알 수 없게 된 잃어버린 광산(로스트 마인)도 보물찾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침몰선 탐사는 카리브해, 동남아시아, 북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학술 연구 그룹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카리브해에서는 금화나 보석, 동남아시아에서는 중국산 도자기, 북유럽에서는 샴페인이나 와인[11] 등 귀중한 유물이 발견되기도 한다. 그러나 옛 문서에 기록된 배 침몰 관련 내용을 보고 개인적으로 탐색하는 트레저 헌터들도 많다.
인생을 건 보물찾기는 평생 실존하는 보물을 찾는 것 외에도, 한 직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영화, 만화, 게임에서는 잃어버린 보물이 자주 소재로 등장한다. 보물 자체보다는 보물찾기에 집착하는 인물 묘사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으며, 마피아, 갱, 야쿠자 같은 범죄자나 도망자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때 "보물"은 범죄와 관련된 경우가 많고, 맥거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민화 "꽃 피는 할아버지"에서처럼, 보물을 찾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다.
참조
[1]
논문
RESOLUCIÓN de 7 de enero de 2003, de la Dirección General de Patrimonio Artístico de la Consejería de Cultura y Educación, por la que se incoa expediente de declaración de bien de interés cultural a favor de la colección arqueológica del Tesoro de Villena
http://www.boe.es/bo[...]
Spanish Government
2009-12-06
[2]
웹사이트
"treasure" –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3]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eb.archive.[...]
2021-01-23
[4]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blood and treasure" phrase Trump keeps using about the war in Afghanistan
https://qz.com/10594[...]
2017-08-22
[5]
논문
Dreams of Treasure
2003-12
[6]
문서
Paine
[7]
문서
Paine
[8]
서적
Under the Black Flag: The Romance and the Reality of Life Among the Pirates
1995
[9]
서적
The Pirate Hunter: The True Story of Captain Kidd
https://books.google[...]
[10]
서적
昔ばなしの謎 あの世とこの世の神話学
角川ソフィア文庫
2016
[11]
웹사이트
http://www.oceanexpl[...]
2014-12-19
[12]
웹사이트
보물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