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인사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인사사령부는 2006년 4월 1일,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육군 본부 인사참모부 예하 부대들을 통합하여 창설되었다. 장성 진급 비리 의혹에 따른 인사참모부 권한 오용을 막고 육군 본부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기능은 인재 선발 및 지원, 인사 운영, 행정, 전역 장병 지원 등이며, 산하에 기록정보관리단, 중앙보충대대, 육군군악의장대대, 육군복지지원대대, KATUSA 등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룡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해군본부
대한민국 해군본부는 해군의 최고 지휘부로서 정책 수립 및 집행을 총괄하며, 장기 발전 계획 수립, 군사력 건설, 부대 운영, 교육 훈련, 인사 관리, 군수 지원, 동원 체계 구축 등 해군 운영 전반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 계룡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공군본부
대한민국 공군본부는 국군조직법과 공군본부 직제에 따라 설립된 공군의 최고 지휘부로서, 공군 정책 수립부터 작전 지원까지 공군 운영 전반을 총괄하며, 군사력 건설 소요 제기, 조직 편성, 교육 훈련, 인사, 군수, 동원 및 예비군 관리 등의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 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 창설된 제2야전군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전라, 충청, 경상 지역의 후방 작전, 경비, 예비군 훈련, 재해·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2006년 설립 - 오션월드
오션월드는 대한민국에 위치한 워터파크로, 실내외에 다양한 놀이 시설과 익스트림존, 다이나믹존, 메가 슬라이드존 등 여러 구역, 그리고 파도풀, 유수풀, 슬라이드 등 다양한 어트랙션을 제공하며, 특히 슈퍼 익스트림 리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강력한 수압을 자랑한다. - 2006년 설립 - 통합막료감부
통합막료감부는 일본 자위대의 육해공 자위대 활동을 조정하고 지휘하는 기관으로, 군종 대립 해소와 지휘권 통합을 위해 2006년 개편되었으며, 통합 운용을 통해 방위, 재해 파견, 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인사사령부 | |
---|---|
기본 정보 | |
활동 기간 | 2006년 4월 1일 ~ 현재 |
종류 | 기능 사령부 |
역할 | 군사 인적자원관리 |
명령 체계 | 육군본부 |
본부 | 충청남도 계룡시 계룡대 |
지휘부 | |
사령관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신은봉 (육사 48기) |
지휘관 명칭 | 사령관 |
주요 지휘관 | 모종화, 이재수, 방원팔, 박종선 |
명칭 | |
영어 명칭 | ROK Army Personnel Command |
2. 역사
2005년 10월 14일, 장성 진급 비리 의혹으로 인사참모부의 권한 오용을 막기 위한 업무 분담과 육군 본부의 규모 및 업무 부담 경감 계획이 검토되었다.[1] 방위사업청 개편을 포함한 국방개혁에 따라, 2006년 4월 1일 육군 본부 내 인사참모부 예하 헌병감실, 의무감실, 군종감실이 통합되어 육군인사사령부가 창설되었다.[2]
2009년 한국군 지원단이 육직부대에서 인사사령부 예하로 변경되었다.
2010년 1월 복지 근무 지원 기능이 국군복지단으로 통합되고, 복지 근무 지원단은 '재경근무지원단'으로 재편되었다. 2013년 12월 31일 재경근무지원단은 기능과 규모 축소로 '육군복지지원대대'로 재편되었다.
2014년 11월 21일, 육군교도소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육군 외 타 군종의 군사 범죄자를 위탁 수용했으나, 통합 교정을 위해 타 군종 교도 관리 인력을 채용하여 국군 기관이 되었다.[3][4]
2. 1. 창설 배경
2000년대 초, 대한민국 국군은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군 구조 개편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2005년 10월 14일, 장성 진급 비리 의혹이 불거지면서 인사참모부의 권한 오용을 막고 육군 본부의 규모와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검토되었다.[1]2. 2. 창설 및 발전 과정
2005년 10월 14일, 장성 진급 비리 의혹과 관련하여 인사참모부의 권한 오용을 방지하고, 육군 본부의 규모와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한 계획이 검토되었다.[1] 이후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방위사업청이 개편됨에 따라, 2006년 4월 1일 육군 본부 인사참모부 예하의 헌병감실, 의무감실, 군종감실이 통합되어 육군인사사령부가 창설되었다.[2]2009년에는 독립 육직부대였던 한국군 지원단이 육군인사사령부 예하로 예속되었다.
2010년 1월, 국군복지단으로 복지 근무 지원 기능이 통합되면서 기존의 복지 근무 지원단은 '재경근무지원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이후 2013년 12월 31일, 재경근무지원단은 '육군복지지원대대'로 축소 재편성되었다.
2014년 11월 21일, 육군교도소가 조사본부 예하 기관인 국군교도소로 재편성되었다. 이는 육군뿐만 아니라 타 군종의 군사 범죄자까지 통합 수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치였다.[3][4]
3. 조직
육군인사사령부는 크게 인재선발/지원처, 인사운영처, 인사행정처, 전역장병지원처로 구성되어 있다.
3. 1. 부서
인사사령부는 크게 인재선발/지원처, 인사운영처, 인사행정처, 전역장병지원처로 구성되어 있다.- 인재선발/지원처: 우수 인재 획득 및 선발, 충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인사운영처: 장교, 부사관, 병 등의 인사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한다.
- 인사행정처: 인사 관련 행정, 기록 관리, 군종, 의무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전역장병지원처: 전역 예정 장병의 취업, 창업, 진로 상담 등을 지원한다.
3. 2. 예하 부대
4. 비판 및 논란
2005년 육군인사사령부에서 장성 진급 비리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로 인해 인사참모부의 권한 오용을 막기 위한 업무 분담과 육군 본부의 규모 및 업무 부담 경감 계획이 검토되었다.[1]
4. 1. 장성 진급 비리 의혹
2005년 10월 14일, 장성 진급 비리 의혹과 이에 따른 인사참모부의 권한 오용을 막기 위해 업무 분담 및 육군 본부의 규모와 업무 부담 경감 계획이 검토되었다.[1]5.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육군본부에 `인사사령부' 창설 검토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3-07-06
[2]
뉴스
육군, 인사사령부 창설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13-07-06
[3]
뉴스
국방부, 육군교도소 모체로 국군교도소 창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1-23
[4]
뉴스
국방부, 육군교도소 모체로 국군교도소 창설
http://news.sbs.co.k[...]
SBS
2014-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