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노리나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노리나무속은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 또는 소교목 속으로, 과거에는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최근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다른 속과의 관계가 밝혀졌다. 현재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 따르면 33종이 윤노리나무속에 속하며, 잎과 열매를 감상하기 위해 재배되는 관상수로 널리 사용된다. 주요 종으로는 '레드 로빈' 등이 있으며, 잎과 열매에 시안 배당체가 존재하여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과나무족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사과나무족 -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가을에 향기로운 열매를 맺는 높이 10~18m의 낙엽 활엽수로, 관상수, 과수, 분재용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윤노리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Photinia × fraseri
Photinia × fraseri
학명Photinia Lindl.
권위자Lindl.
이명Heteromeles M.Roem.
Myriomeles (Lindl.) Lindl.
× Stranvinia Coombes
타입 종카나메모치
분류
식물계
문 (계급 미지정)속씨식물군
강 (계급 미지정)진정쌍떡잎식물군
아강 (계급 미지정)장미군
상목 (계급 미지정)콩군
장미목
장미과
아과벚나무아과
사과나무족
카나메모치속 (Photinia)
화석 범위

2. 분류

일부 식물학자들은 밀접하게 관련된 북아메리카 종인 ''Heteromeles arbutifolia''를 ''Photinia''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Photinia arbutifolia''로 분류)[3][4] 그러나 최근의 분자생물학 데이터에 따르면 두 속은 밀접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5]

''Stranvaesia'' 속은 형태학적으로 ''Photinia''와 매우 유사하여 종종 이 속에 포함되기도 했지만, 분자생물학적 데이터에 따르면 두 속은 관련이 없다.[5] ''Aronia'' 속은 일부 분류에서 ''Photinia''에 포함되기도 했지만, 역시 분자생물학적 데이터에 의해 관련 없음이 확인되었다.[6] 다른 근연종으로는 피라칸타 (''Pyracantha''), 유럽 사과나무속 (''Cotoneaster''), 산사나무 (''Crataegus'') 등이 있다.

여러 종이 별도의 ''Stranvaesia'' 속으로 이동되었는데, ''P. amphidoxa'', ''P. davidiana'', ''P. nussia'' 및 ''P. tomentosa'' 등이 이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광의의 견해와 협의의 견해가 있었으며, 광의의 윤노리나무속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Guo et al. (2011)은 이들의 계통 관계를 밝혀 3속으로 정리했다.

그러나 Li et al. (2012)에서는 아로니아속과 가막살나무속의 제외는 확인되었지만, 협의의 윤노리나무속도 여러 개의 원연한 계통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Stranvaesia''는 그 중 하나와 근연이다.)

2. 1. 주요 종


  • 윤노리나무 anlungensis
  • 윤노리나무 arbutifolia
  • 윤노리나무 berberidifolia
  • 윤노리나무 chihsiniana
  • 윤노리나무 chingiana
  • 윤노리나무 chingshuiensis
  • 윤노리나무 chiuana
  • 윤노리나무 crassifolia
  • 윤노리나무 cucphuongensis
  • 윤노리나무 davidiana
  • 윤노리나무 fokienensis
  • 윤노리나무 × fraseri
  • 윤노리나무 glabra
  • 윤노리나무 griffithii
  • 윤노리나무 hirsuta
  • 윤노리나무 impressivena
  • 윤노리나무 integrifolia
  • 윤노리나무 lanuginosa
  • 윤노리나무 lasiogyna
  • 윤노리나무 lindleyana
  • 윤노리나무 lochengensis
  • 윤노리나무 loriformis
  • 윤노리나무 megaphylla
  • 윤노리나무 prionophylla
  • 윤노리나무 prunifolia
  • 윤노리나무 pustulata
  • 윤노리나무 raupingensis
  • 윤노리나무 serratifolia
  • 윤노리나무 sorbifolia
  • 윤노리나무 stenophylla
  • 윤노리나무 taishunensis
  • 윤노리나무 tushanensis
  • 윤노리나무 undulata
  • 윤노리나무 wrightiana
  • 윤노리나무 zhejiangensis


또한, ''윤노리나무 beauverdiana''는 POWO에서 ''꽃개벚지나무''의 동의어로 등재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이 속으로 간주된다.[13][14] 과거 넓은 의미의 윤노리나무속은 약 65종을 포함하기도 했다.[16]

  • 윤노리나무(Photinia glabra)
  • 니이타카카마츠카(Photinia davidiana)
  • 오오카나메모치(Photinia serratifolia)
  • 시마카나메모치(Photinia wrightiana)
  • 산사나무 Pourthiaea vilosa|산사나무중국어
  • 대만산사나무 Pourthiaea lucida|대만산사나무중국어
  • 섬산사나무 Pourthiaea parvifolia|섬산사나무중국어
  • 세이스이산사나무 Pourthiaea chingshuiensis|세이스이산사나무중국어

3. 특징

윤노리나무속은 전형적으로 높이 4–15m까지 자라며, 보통 각진 가지의 불규칙한 수관을 형성한다. 가지는 종종 가시가 있기도 하다.[1] 잎은 어긋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미세하게 톱니가 있으며, 종에 따라 길이가 3–15cm, 너비가 1.5–5cm로 다양하다.[1] 대부분의 종은 상록수이지만, 여러 종은 낙엽수이다.[1] 꽃은 초여름에 빽빽한 정단 산방화서로 맺히며, 각 꽃은 지름 5–10mm이고, 5개의 둥근 흰색 꽃잎을 가지고 있다.[1] 산사나무속과 비슷한 은은한 향이 난다.[1] 열매는 작고 사과 모양이며, 지름 4–12mm이고, 밝은 빨간색의 베리 모양으로 대량으로 생산되며, 가을에 익고 종종 겨울까지 잘 유지된다.[1] 열매는 개똥지빠귀, 밀랍부리 및 찌르레기를 포함한 새들이 먹으며, 씨앗은 그들의 배설물에 의해 흩어진다.[1] ''Photinia'' 종은 때때로 녹색자나방, 깃털밤나방 및 세타세우스히브루문자나방을 포함한 Lepidoptera 종의 유충에 의해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1] 윤노리나무는 잎마름병에 걸리기 쉽다.[1]

새 잎의 붉은색이 광택이 있는 녹색의 오래된 잎과 대조를 이루는 ''Photinia × fraseri''

4. 용도

윤노리나무는 열매와 잎을 감상하기 위해 재배되는 인기 있는 관상 관목이다. 특히 봄과 여름에 눈에 띄게 밝은 붉은색 새 잎을 위해 여러 품종들이 선택된다.

4. 1. 주요 품종

윤노리나무는 열매와 잎을 감상하기 위해 재배되는 매우 인기 있는 관상 관목이다. 수많은 잡종과 품종이 있으며, 여러 품종은 봄과 여름에 눈에 띄게 밝은 붉은색 새 잎을 위해 선택된다. 가장 널리 심는 종은 다음과 같다.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P. 매끄러운'' × ''P. 톱니잎'') - 레드 팁 윤노리나무, 크리스마스 열매[7]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레드 로빈' - 아마도 모든 품종 중에서 가장 널리 심어지는 품종으로, 왕립 원예 학회의 정원 공로상을 받았다.[7][8]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리틀 레드 로빈' - '레드 로빈'과 유사하지만 키가 작고 최종 높이/너비가 약 약 0.61m~약 0.91m이다.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카밀비'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컬리 판타지'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수퍼 헤저' - 강한 직립 성장을 보이는 새로운 잡종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핑크 마블' - '카시니'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장밋빛 핑크색의 새 잎과 잎의 크림색 흰색의 얼룩덜룩한 가장자리가 있는 새로운 품종이다.
  • ''윤노리나무'' × ''프레이저'' '로부스타'[9]
  • ''윤노리나무'' '레드스타트' (''Stranvaesia davidiana'' × ''P.'' × ''프레이저'')
  • ''윤노리나무'' '팔레트' (부모 종 불명)
  • ''윤노리나무 다비디아나'' '프루투 루테오' (열매 노란색)
  • ''윤노리나무 다비디아나'' '프로스트라타' (낮게 자라는 형태)

5. 독성

일부 윤노리나무속 품종은 잎과 열매 세포의 액포에 시안 배당체가 있어 독성을 띤다.[10] 잎을 씹으면 이 화합물이 방출되어 빠르게 시안화 수소(HCN)로 전환, 세포 호흡을 차단한다. HCN 생성량은 분류군에 따라 차이가 크며, 일반적으로 어린 잎에서 가장 많다.[11] 반추 동물은 소화 시스템의 첫 단계(반추위)가 단위 위 척추 동물의 보다 HCN 방출에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시안 배당체의 영향을 특히 크게 받는다.[12]

참조

[1] 웹사이트 Rosales http://www.mobot.org[...] 2023-06-16
[2] 논문 Heteromeles and Photinia (Rosaceae subfam. Maloideae) of Mexico and Central America http://www.nrcresear[...]
[3] 논문 Notes sur quelques Rosacées Asiatique (II) (Photinia, Stranvaesia) https://www.biodiver[...]
[4] 논문 The Malesian species of the subfamily Maloideae (Rosaceae) http://repository.na[...]
[5] 논문 Phylogeny of subtribe Pyrinae (formerly the Maloideae, Rosaceae): Limited resolution of a complex evolutionary history
[6] 논문 A synopsis of genera in Maloideae (Rosaceae)
[7]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hotinia x fraseri'' 'Red Robin' http://apps.rhs.org.[...] 2013-05-26
[8]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4-25
[9] 웹사이트 Photinia x fraseri Robusta {{!}} GardensOnline https://www.gardenso[...] 2020-02-24
[10] 웹사이트 Table 4: Poisonous Range Plants of Temperate North America http://www.merckvetm[...] 2011-05-05
[11] 논문 Differential Resistance to Entomosporium Leafspot Disease and Hydrogen Cyanide Potential in Photinia http://www.hriresear[...] 1996-09
[12] 웹사이트 Prussic Acid Poisoning of Livestock: Causes and Prevention (ExEx 4016) http://pubstorage.sd[...] South Dakota State University 2011-05-04
[13] 웹사이트 Photinia beauverdiana - Plant Finder https://www.missouri[...] 2023-10-04
[14] 웹사이트 Hortipedia - Photinia beauverdiana https://en.hortipedi[...] 2023-10-04
[15] POWO "''Photinia'' Lindl." 2024-08-27
[16] 간행물 A phylogeny of Photinia sensu lato (Rosaceae) and related genera based on nrITS and cpDNA analysis
[17] 논문 Generic limits of Pyrinae: Insights from nuclear ribosomal DNA sequences http://ejournal.sini[...]
[18] 간행물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Rosac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