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키는 5~10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5월에 흰색 꽃이 피며, 9~10월에 붉은색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식용, 공업용, 관상용, 약용으로 사용되며, 소화제, 해독제 등으로 쓰인다. 한국과 중국에서 울타리나 후식, 약재, 목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더 폰 붕게가 명명한 분류군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알렉산더 폰 붕게가 명명한 분류군 - 산달래
산달래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비늘줄기는 식용, 해백은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식물과 혼동하기 쉬워 채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사과나무족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사과나무족 -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가을에 향기로운 열매를 맺는 높이 10~18m의 낙엽 활엽수로, 관상수, 과수, 분재용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뽕나무과
뽕나무과는 벵골보리수와 같은 거대한 나무부터 다육식물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뽕나무, 무화과 등을 포함하고 식용, 약용, 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식물 과이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아욱아과
아욱아과는 아욱과에 속하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분포하는 78개 속과 1,670여 종을 포함하는 아과로, 아욱족, 목화족, 무궁화족, 키디아족의 4개 족으로 분류되며 아욱속, 무궁화속, 목화속 등이 주요 속으로 포함되고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계통 분류가 수정되고 있다.
산사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for. pinnatifida |
명명자 | 붕게, 1835 |
문화어 | 찔광이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_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_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_목 | 장미군 |
목 | 장미목 |
과 | 장미과 |
속 | 산사나무속 |
종 | 산사나무 |
2. 생태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로서 키는 5m~10m에 이른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이나 세모난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새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불규칙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5월에 가지 끝 산방꽃차례에 흰색 꽃이 핀다. 9~10월경에 직경 3cm쯤 되며 둥근 열매가 열린다. 익은 열매는 붉은 색을 띠고 흰색 반점이 있다.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잎이 좁고 꽃자루에 털이 없는 좁은잎산사(''C. pinnatifida'' var. ''psilosa'' Schneider)와 잎이 크고 얕게 갈라지는 넓은잎산사(''C. pinnatifida'' var. ''major'' N.E. BR.), 잎 뒷면에 빽빽하게 털이 나는 털산사(''C. pinnatifida'' var. ''pubescens'' Nakai), 잎이 아주 깊게 갈라진 가새잎산사가 있다.[8]
산사나무는 식용, 공업용, 관상용, 약용 등 다양하게 쓰인다. 한국 서북 지방이나 중국에서는 가시가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로 집 울타리로 심기도 했다. 목질이 굳고 치밀하면서도 탄력이 있어 다식판, 상자, 지팡이, 목침, 책상 재료로 쓰였고, 화력이 좋아 장작으로도 많이 사용되었다.[8]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을 제외하고 어디든지 볼 수 있는 나무이며 땅을 크게 가리지 않고 잘 자라나 벌레가 잘 생긴다.
3. 변종
4. 쓰임새
4. 1. 식용
식용·공업용·관상용·약용으로 쓴다. 열매는 약으로 쓰며 생약 명은 산사자(山査子), 산사육(山査肉)이다. 소화제로 쓰고, 동상·요통 등에도 쓴다.[9] 늙은 닭을 삶을 때 산사나무 열매 몇 알을 넣으면 연해지고, 생선을 먹다가 중독되었을 때 해독제로 이용된다고 물류상감지에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꿀이나 설탕에 절인 산사나무 열매를 후식으로 먹는데, 이를 탕후루(糖胡蘆)라고 하며 고기를 먹고 난 다음 먹는다. 또한 열매로 산사주를 담고, 차로 마시기도 한다. 산사나무 열매는 위를 튼튼히 하고 소화를 도우며 장의 기능을 바르게 한다고 한다. 산사나무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는 먹이이다.
중국 북부 요리에서는 익은 ''C. pinnatifida'' 열매를 디저트 탕후루와 산자고에 사용한다. 전통 사탕인 산사편과 산사롤, 설탕에 절인 과일 조각, 잼, 젤리, 와인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또한, 전통적으로 광둥 탕수 소스의 마무리 재료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케첩으로 일부 대체되었다.[6]
4. 2. 약용
산사나무 열매는 생약으로 산사자(山査子) 또는 산사육(山査肉)이라고 부르며, 소화제, 동상, 요통 등에 사용된다.[9] 물류상감지에는 늙은 닭을 삶을 때 산사나무 열매 몇 알을 넣으면 연해지고, 생선을 먹다가 중독되었을 때 해독제로 이용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꿀이나 설탕에 절인 산사나무 열매를 탕후루(糖胡蘆)라고 부르며 후식으로 먹는데, 특히 고기를 먹고 난 다음에 먹는다. 또한 열매로 산사주를 담그거나 차로 마시기도 한다. 산사나무 열매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도우며 장 기능을 바르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중의학에서는 ''C. pinnatifida''의 말린 열매를 소화 보조제로 사용해 왔다.[7]
4. 3. 기타 용도
산사나무는 식용, 공업용, 관상용,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열매는 약으로 쓰이며, 생약명은 산사자(山査子) 또는 산사육(山査肉)이다. 소화제로 사용되고, 동상이나 요통 등에도 쓰인다.[9] 늙은 닭을 삶을 때 산사나무 열매 몇 알을 넣으면 연해지고, 생선을 먹다가 중독되었을 때 해독제로 이용된다는 기록이 물류상감지에 남아있다.
한국의 서북지방이나 중국에서는 산사나무의 가시가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로 집의 울타리로 많이 심었다.
중국에서는 꿀이나 설탕에 절인 산사나무 열매를 후식으로 먹는데, 이를 탕후루(糖胡蘆)라고 하며 주로 고기를 먹고 난 다음에 먹는다. 또한 열매로 산사주를 담그거나 차로 마시기도 한다. 산사나무 열매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도우며 장의 기능을 바르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산사나무 열매는 새들이 즐겨 먹는 먹이이기도 하다.
산사나무는 목질이 단단하고 치밀하면서도 탄력이 있어 다식판, 상자, 지팡이, 목침, 책상 재료로 쓰였고, 화력이 좋아 장작으로도 많이 사용되었다.[8]
5. 사진
참조
[1]
간행물
"''Crataegus pinnatifida''"
2019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24
[3]
웹사이트
Plants for a Future
http://www.pfaf.org/[...]
2015-10-20
[4]
서적
Genetics and genomics of Rosaceae
Springer
[5]
서적
Landscape plants for eastern North America : exclusive of Florida and the immediate Gulf Coast
Wiley
[6]
웹사이트
Old School Sweet and Sour Pork, without Ketchup (山楂咕噜肉)
https://www.youtube.[...]
Chinese Cooking Demystified
2018-11-26
[7]
웹사이트
Hawthorn (''Crataegus''). Food and Medicine in China
http://www.itmonline[...]
Institute of Traditional Medicine Online
[8]
서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가지
현암사
[9]
서적
약용식물
대원사
1990-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