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명선 피습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명선 피습 사건은 1946년 2월 21일 서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홍성우 일당이 술을 마시고 귀가하던 윤명선과 그의 친구 안익조를 습격하여 윤명선이 사망한 사건이다. 범인들은 검거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이 사건은 당시 사회에 테러 공포를 불러일으키고 치안 확보에 대한 여론을 높이는 등 사회적, 정치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사건 수사 과정에서 송진우 암살 사건의 암살범이 추가로 체포되기도 했다.

2. 사건 배경

2. 1. 해방 직후 서울의 치안 상황

2. 2. 범인들의 배경

3. 사건 발생

1946년 2월 21일 밤, 서울 중구 황금정 조선취인소 부근에서 홍성우 일당은 술을 마시고 귀가하던 윤명선과 그의 친구 안익조를 발견했다. 이들은 "술을 먹고 다니는 놈들은 건국의 방해자다"라며 안익조를 먼저 구타하고 시계를 강탈했다.[1] 안익조가 범인들을 추격하는 사이, 홍성우 일당은 윤명선을 집중적으로 구타했다.[1]

3. 1. 윤명선의 사망

1946년 2월 21일 서울시 중구 황금정 조선취인소 부근에서 홍성우, 김필순, 자정석, 김지양 등은 그날 밤 윤명선과 친구 안익조가 함께 전기취인소 부근에 도착하자 '술을 먹고 다니는 놈들은 건국의 방해자다' 하고 먼저 안익조를 구타한 후 시계를 강탈하여 도주하였다.[1] 안익조는 윤명선을 남겨두고 시계 강탈범을 추격하였는데, 그 사이에 나머지 강도들은 윤명선을 구타하였다.[1] 윤명선은 심한 구타를 당하여 중구의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뇌진탕으로 사망하였다.[1] 윤명선의 장례식은 2월 25일 상오 10시에 병원에서 발인하였다.[1]

4. 범인 검거 및 수사

서울 제6관구 경찰서는 사건 발생 직후 수사에 착수, 2월 22일 밤 중구 일대의 사창가에서 범인들을 검거하였다.[3] 서울 제6관구 경찰서는 21일 밤에 출동하여 중구 황금정과 명치정 일대를 수색, 환락가를 근거로 수사 탐문하였다.[3] 이들은 명치정의 모 카페에서 검거되었다.

2월 22일 이들은 중구에서 행인 약탈을 기도하였고, 당시 6관구 경찰서는 카페 주변에서 범인을 수색하였다. 그런데 경찰서 김교신(金敎信, 가명)이 때마침 술취한 미군 병정들과 시비를 붙어 구타당하는 것을 이들이 목격하게 되었다. 이들 불량배들은 '자기 동포가 미국 군인에게 매맞는 것을 그냥 둘 수 없다.'며 미군 병사를 습격하였다.[3]

이들 불량배들은 미군 병사 한 명을 집단으로 구타하였다. 한편 윤명선의 호상소(장례식장)로 초와 향을 사러 갔던 모 씨가 이를 발견, 곧 제6관구 경찰서로 이 사실을 알렸고, 제6관구 경찰서는 이 보고를 듣고 즉시 사복 경찰관을 파견하였다.[3]

제6관구 경찰서는 이들 불량배들을 미행하여 그들의 소재를 밝힌 다음 2월 23일 새벽 2시경 일제 검거하여 은신처를 찾았다. 2월 23일 이들은 중구 신정(新町)의 유곽과 술집 여급의 집, 그리고 불량배들의 아지트를 급습하여 포박하였다.[3]

4. 1. 범인 검거 과정

서울 제6관구 경찰서는 21일 밤에 출동하여 중구 황금정과 명치정 일대를 수색, 환락가를 근거로 수사 탐문하다가 2월 22일 밤 중구 일대의 사창가에서 이들 범인들을 검거하였다.[3] 이들은 명치정의 모 카페에서 검거되었다.

2월 22일 이들은 중구에서 행인 약탈을 기도하였고, 당시 6관구 경찰서는 카페 주변에서 범인을 수색하였다. 그런데 경찰서 김교신(金敎信, 가명)이 때마침 술취한 미군 병정들과 시비를 붙어 구타당하는 것을 이들이 목격하게 되었다. 이들 불량배들은 '자기 동포가 미국 군인에게 매맞는 것을 그냥 둘 수 없다.'며 미군 병사를 습격하였다.[3]

이들 불량배들은 미군 병사 한 명을 집단으로 구타하였다. 한편 윤명선의 호상소(장례식장)로 초와 향을 사러 갔던 모 씨가 이를 발견, 곧 제6관구 경찰서로 이 사실을 알렸고, 제6관구 경찰서는 이 보고를 듣고 즉시 사복 경찰관을 파견하였다.[3]

제6관구 경찰서는 이들 불량배들을 미행하여 그들의 소재를 밝힌 다음 2월 23일 새벽 2시경 일제 검거하여 은신처를 찾았다. 2월 23일 이들은 중구 신정(新町)의 유곽과 술집 여급의 집, 그리고 불량배들의 아지트를 급습하여 포박하였다.[3]

4. 2. 수사 및 구형

홍성우 등은 1946년 3월 9일 강도살인죄로 제6관구 경찰서 유치장에 유치되었다가 곧 수도경찰청으로 송국되었으며[2], 취조는 장택상이 맡았다. 이들은 8.15 광복 직후의 혼란을 틈타 강도 행각을 일삼았으며, 생활고 때문에 더 큰 범죄를 계획했던 것으로 밝혀졌다.[2]

이들은 곧 서울지방법원으로 넘겨져[4] 4월까지 3심을 거쳤다. 4월 4일 선고 공판에서 홍성우는 징역 20년, 김지양은 징역 15년, 김필수는 징역 13년, 유정석은 징역 10년이 각각 구형되었다.[4] 4월 7일 최종 공판에서 형량이 변경되어 홍성우는 징역 20년, 김필수는 징역 5년, 김지양은 징역 8년, 유정석은 3년으로 감형되었다.[5] 이 사건 수사 과정에서 1945년 12월 30일에 암살된 송진우 암살 사건의 암살범이 추가로 체포, 구속되었다.[6]

5. 사건의 영향 및 의의

송진우 피살 사건[7]과 신탁통치 반대 운동[7]의 여파가 수습된 한국 각지에 다시 테러 공포증을 불러일으켰고 미군정 경무부와 수도경찰청의 검문검속을 강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7] 이 사건으로 사회에서는 치안을 확보하자는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7]

이 사건은 특히 윤보선, 윤일선과 친분이 있던 신익희의 《자유신문》에서 사건을 대대적으로 중점 보도하였다.

5. 1. 사회적 파장

송진우 피살 사건[7]과 신탁통치 반대 운동[7]의 여파가 수습된 한국 각지에 다시 테러 공포증을 불러일으켰고 미군정 경무부와 수도경찰청의 검문검속을 강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7] 이 사건으로 사회에서는 치안을 확보하자는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7]

이 사건은 특히 윤보선, 윤일선과 친분이 있던 신익희의 《자유신문》에서 사건을 대대적으로 중점 보도하였다.

5. 2. 정치적 영향

1946년 4월 7일의 최종 공판에서 홍성우는 징역 20년형, 김필수는 징역 5년, 김지양은 징역 8년형, 유정석은 3년형으로 감형되었다.[5] 이 사건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 과정에서 1945년 12월 30일에 암살된 송진우 암살 사건의 암살범을 추가로 체포, 구속시키게 되었다.[6] 이 사건은 미군정의 치안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을 불러일으켰고, 미군정은 더욱 강력한 치안 대책을 마련해야 했다.

5. 3. 역사적 의의

참조

[1] 뉴스 윤명선씨 살해 악당 타진 자유신문 1946-02-24
[2] 뉴스 살인, 강도죄로 전부 송국 자유신문 1946-03-10
[3] 뉴스 가시지 않는 사회의 악균, 전율할 가두의 적도조량 자유신문 1946-02-25
[4] 뉴스 윤씨 살해 갱단에 전부 중형을 구형 자유신문 1946-04-06
[5] 뉴스 윤명선씨 살해범 언도 자유신문 1946-04-10
[6] 뉴스 송진우씨 살해 범인 3명 검거 자유신문 1946-04-06
[7] 뉴스 범인을 극형, 시민 불안 일소하라 자유신문 1946-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