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선 (190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명선은 1900년 충청남도 아산 출생으로, 대한제국 학무국장을 지낸 윤치오의 아들이자 윤치호의 5촌 당숙이다. 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를 거쳐 일본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조선총독부 관료와 만주국 관료로 활동했으며, 만주국에서는 건국공로장을 받기도 했다. 1945년 광복 후 귀국했으나 1946년 괴한에게 피습당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럭비 선수 - 하시모토 도루
하시모토 도루는 1969년 도쿄에서 태어나 변호사, 방송인으로 활동하다 2008년 오사카부 지사를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오사카 시장을 역임하며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논란을 일으킨 일본의 정치인이다. - 만주국의 작가 - 판위량
판위량은 기녀 출신으로 사회적 편견을 이겨내고 서양화가로 성공하여 여성의 자유를 표현하며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준 중국 근현대 미술의 중요한 인물이다. - 간도 - 대한통의부
대한통의부는 1920년대 초 만주에서 결성된 항일 무장 독립 운동 단체이자 자치 정부로서, 여러 독립군 단체들의 통합을 통해 조직되었으며, 군사 및 자치 행정 체계를 갖추고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으나 내부 갈등과 분열로 해체되었다. - 간도 - 훈춘 사건
훈춘 사건은 1920년 10월 2일 지린성 훈춘의 일본 영사관 공격 사건으로, 일본은 한국 독립군의 소행으로 규정하고 만주 군사 개입을 확대했으며, 한국 측에서는 일본의 조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진실 공방이 이어졌다.
윤명선 (190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명선 |
원어명 | 尹明善 |
출생일 | 1900년 9월 1일 |
출생지 |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신항1리 신촌마을 |
사망일 | 1946년 2월 21일 저녁 11시경 |
사망지 | 서울특별자유시 중구 황금정 조선취인소와 바 샌프란시스코 빌딩 입구 |
사인 | 폭행치사(뇌진탕과 골절) |
학력 | 일본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배우자 | 김정자 |
자녀 | 윤일구(장남), 윤오구(차남) |
부모 | 윤치오(부) 이숙경(모) 윤고라(계모) 현송자(계모) |
형제 | 형 윤일선, 동생 윤영선 |
친인척 | 사촌 윤보선, 할아버지 윤영렬, 종조부 윤웅렬, 누나 윤시선, 자형 민원식, 당숙 윤치왕, 당숙 윤치호, 숙부 윤치소, 숙부 윤치병, 사촌 동생 윤보선, 사촌 동생 윤원선, 증조부 윤취동, 사돈 이병도, 사돈 김성수, 육촌 윤영선, 육촌 동생 윤기선, 육촌 동생 윤장선 |
공직 정보 | |
직책 | 조선총독부 경성지방법원 예하 서기관 |
임기 | 1930년 6월 18일 ~ 1931년 2월 12일 |
총독 | 사이토 마코토 |
군주 | 히로히토 일본 군주 |
총리 | 하마구치 오사치 일본 총리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기타 정보 | |
경력 | 공무원, 정치인, 럭비 선수, 문인 |
2. 생애
윤명선은 1900년 9월 1일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신항1리 신촌마을에서 윤치오와 이숙경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조선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오음윤두수, 월정윤근수 형제의 후손으로, 대대로 고위 관료를 배출하였다. 그는 일출소학교와 경성중학교를 거쳐 1922년 3월 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우등으로 졸업하였다.[3] 이후 보성전문학교(고려대학교의 전신)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 제3고등학교를 거쳐 1928년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도쿄제국대학 재학 중에는 럭비 선수로 활동하기도 했다.[4]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어의동공립보통학교 훈도로 재직하며 충청남도 공주의 갑부 김갑순의 딸 김정자와 결혼하였다. 1926년 어의동공립보통학교 훈도로 재직 중 판임관 시험에 합격하여 경성지방법원 서기과 판임관견습을 하였다. 1927년 경성지방법원 서기과 서기로 부임했다가, 경성여자보통학교 훈도가 되었다. 1929년 조선총독부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훈도를 그만두고 견습관으로 부임하였다. 1930년부터 1931년까지 조선총독부 토지개량부 수리과속, 경성지방법원 서기관, 경성지방법원 춘천지청 서기과 감독 등을 역임하였다.
1934년 만주로 이주하여 만주국 관료로 특채되어 총무청 주계처 계원에 임명되었다. 3월 만주국 정부로부터 건국공로장과 건국대전기념장을 수여받았다.[1] 1935년 국무원 총무청 주계처 사무관으로 승진, 총무청 주계처 계원을 거쳐 만주국 대륙과학원 총무과장으로 부임하였다. 같은 해 9월 황제방일기념 특별훈장을 받았다. 1937년 5월 만주국훈7휘 주국장을 수여받았다.[1] 1938년 이사관, 천임관 3등으로 승진, 만주국 총무청 통계처로 발령받고 통계처 통제과장, 총무과장이 됐다.[1] 1940년 통계처 통계과장이 되고, 그 해 5월 총무청 고등문관고시위원회 임시위원이 되고, 만주국 국세청 임시국세조사사무국 서무과장을 겸임하였다.[1] 1940년 문중 결의로 창씨개명하였으나 그는 만주국에 있었으므로 국내의 창씨개명령에 불참할 수 있었다.[1]
1941년 7월 국세납부 조사에 기여한 공으로 만주국 국세조사기념장을 받았다.[1] 1942년 2월 전매총국 이사관으로 발령, 전매총국 주정과장(酒精科長)을 지내고, 동 9월 천임관 1등으로 승진했다.[1] 1944년 12월 젠다오 성 민생청장으로 부임하였다.[1] 곧 간임관 2등으로 승급하고 1945년 젠다오 성 차장으로 승진했다.[1]
1945년 8월 광복 이후 귀국하였으나, 1946년 2월 21일 서울특별시 중구 황금정(을지로)에서 강도들에게 피습당했다.[5] 1946년 2월 21일 밤 11시[6] 대동병원(구, 삼포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결국 심한 뇌진탕과 출혈로 그는 깨어나지 못했다. 장례식은 4일 후인 1946년 2월 25일에 열렸고, 오전 10시에 병원에서 발인하였다.[5] 그의 나이는 향년 46세였다.
2. 1. 생애 초반
윤명선은 1900년 9월 1일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신항1리 신촌마을에서 대한제국의 학무국장 윤치오와 이숙경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오음윤두수, 월정윤근수 형제의 후손으로, 고조부는 통덕랑으로 사후 이조참의와 의정부참찬에 추증된 윤득실이고 증조부는 지중추부사 증 의정부찬정 윤취동이며 할아버지는 자헌대부 육군참장과 토포사, 안성군수 등을 지낸 윤영렬이다. 종조부는 윤웅렬이고, 그의 5촌 당숙은 구한 말의 개화파이자 교육, 계몽사상가였던 윤치호, 군의관 윤치왕이었다. 윤치영은 그의 숙부였다.형 윤일선은 한국의 초기 해부학자, 병리학자였고 서울대 부총장과 서울대 총장을 지냈다.
일출소학교를 거쳐 경성중학교에 진학하였고, 1922년 3월 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를 우등으로 졸업하였다.[3] 그 뒤 경성의 보성전문학교(고려대학교의 전신)를 졸업하였다. 그 뒤 일본으로 유학하여 제3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28년 일본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바로 귀국하였다. 도쿄제국대학 재학 중 그는 럭비 선수로 활동했다.[4] 럭비풋볼을 좋아했던 그는 보성전문학교 시절부터 럭비선수로 활동하였다.
2. 2. 조선총독부 관료 생활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어의동공립보통학교 훈도로 재직하였다. 이때 충청남도 공주의 갑부 김갑순의 딸 김정자와 결혼하였다. 김정자는 경성사범전문학교에서 강사,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1926년 어의동공립보통학교 훈도로 재직 중 판임관 시험에 합격하여 경성지방법원 서기과 판임관견습을 하였다. 1927년 경성지방법원 서기과 서기로 부임했다가, 경성여자보통학교 훈도가 되었다.1929년 경성여자보통학교 훈도로 재직 중 조선총독부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훈도를 그만두고 견습관으로 부임하였다. 1930년 조선총독부 토지개량부 수리과속, 경성지방법원 서기관을 역임하였다. 1931년 총독부 토지개량부 수리과속, 경성지방법원 춘천지청 서기과 감독을 역임하였다.
2. 3. 만주국 관료 생활
1934년 만주로 이주하여 그해 3월 만주국 관료로 특채되어 총무청 주계처 계원에 임명되었다. 3월 만주국 정부로부터 건국공로장과 건국대전기념장을 수여받았다.[1]1935년 국무원 총무청 주계처 사무관으로 승진, 총무청 주계처 계원으로 발령되었다가 만주국 대륙과학원 총무과장으로 부임하였다. 1935년 9월 황제방일기념 특별훈장을 받았다. 한편 교민사회에서도 활동하면서 만주국 럭비축구협회 이사에 선출되고 신징조선인교민회에 가입, 평의원에 선출되었다.[1] 1937년 5월 만주국훈7휘 주국장을 수여받았다.[1] 1938년 이사관, 천임관 3등으로 승진, 만주국 총무청 통계처로 발령받고 통계처 통제과장, 총무과장이 됐다.[1] 1940년 통계처 통계과장이 되고, 그 해 5월 총무청 고등문관고시위원회 임시위원이 되고, 만주국 국세청 임시국세조사사무국 서무과장을 겸임하였다.[1]
1940년 문중 결의로 창씨개명하였으나 그는 만주국에 있었으므로 국내의 창씨개명령에 불참할 수 있었다.[1]
1940년 1월 협화회 신경지구 거주 조선인분회인 수도계림분회의 회원이 되었다.[1] 8월 협화회 수도계림분회에서 만주 거주 조선인 교육사업을 위해 설치한 조선인교육후원회에 신징지역 후원위원으로 참여하였다.[1] 10월 30일 수도계림분회에서 한인 공산주의 활동가들의 귀순을 위해 조직된 동남지구특별공작후원회가 설치되자 간사로 선출되었다.[1]
1941년 7월 국세납부 조사에 기여한 공으로 만주국 국세조사기념장을 받았다.[1] 1942년 2월 전매총국 이사관으로 발령, 전매총국 주정과장(酒精科長)을 지내고, 동 9월 천임관 1등으로 승진했다.[1] 1944년 12월 젠다오 성 민생청장으로 부임하였다.[1] 곧 간임관 2등으로 승급하고 1945년 젠다오 성 차장으로 승진했다.[1]
2. 4. 피습과 최후
1945년 8월 일본 제국의 패망과 동시에 귀국했다. 그러나 1946년 2월 21일 경성부 자택에서 괴한의 피습을 받고 살해되었다.[5]1946년 2월 21일 저녁 서울특별시 중구 황금정(을지로)에서 만주국 관료였던 윤명선, 안익조 등이 강도 홍성우(별명 꺽쇠), 김필순(별명 떼부), 유정석(별명 청수(淸水)), 김지양(별명 땅딸보) 등에게 살해되었다.[5] 이들은 2월 23일 신정 유곽과 집에서 각각 검거되었다.[5] 같은 날 서울시 중구 황금정 조선취인소 부근에서 이들은 그날 밤 윤명선과 친구 안익조가 함께 전기취인소 부근에 도착하자 '술을 먹고 다니는 놈들은 건국의 방해자다' 하고 먼저 안익조를 구타한 후 시계를 강탈하여 도주하였다.[5]
안익조는 윤명선을 남겨두고 시계 강탈범을 추격하였는데, 그 사이에 나머지 강도들은 윤명선을 구타하였다.[5] 윤명선은 심한 구타를 당하여 중구의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뇌진탕으로 사망하였다.[5] 2월 21일 밤 11시[6] 대동병원(구, 삼포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결국 심한 뇌진탕과 출혈로 그는 깨어나지 못했다. 장례식은 4일 후인 1946년 2월 25일 열렸고 오전 10시에 병원에서 발인하였다.[5] 그의 나이는 향년 46세였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아버지 | 윤치오 | 1869년 8월 5일 | 1950년 12월 2일 | 대한제국 학무국장 역임 |
어머니 | 이숙경(李淑卿) | 1869년 8월 14일 | 1906년 1월 25일 | |
계모 | 윤고려 |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 | 본래 성은 김씨이나 남편을 따라 윤씨로 바꿈[9][10][11] |
계모 | 현송자(玄松子) | 1899년 5월 16일 | 1978년 | |
형 | 윤일선 |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 | 서울대학교 총장 역임 |
형수 | 조마구례(趙瑪玖禮) | 1901년 12월 14일 | 2003년 8월 9일 | 조영숙(趙榮淑)으로도 불림 |
누나 | 윤시선(尹時善) | 1898년 5월 30일 | ? | 화가, 1950년 8월 30일 납북 |
매형 | 민원식(閔瑗植) | 1898년 | ? | 독립운동가, 민영환의 6촌인 민영철의 셋째 아들, 김규식의 보좌진, 1950년 8월 30일 납북 |
동생 | 윤왕선(尹旺善) | 1902년 1월 | 1926년 8월 20일 | |
동생 | 윤승선(尹昇善) | 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 | |
여동생 | 윤정선(尹晶善) | 1908년 7월 8일 | ? | |
여동생 | 윤융희[12] | |||
동생 | 윤욱선 | |||
동생 | 윤창선[12] | |||
동생 | 윤영선 | 1922년 11월 11일 | 의사·정신과 전문의 | |
동생 | 윤대선 | 1929년 2월 23일 | 1939년 11월 30일 | |
여동생 | 윤환선(尹晥善) | |||
여동생 | 윤효선 | 1925년 4월 7일 | ||
처 | 김정자(金貞子) | 1907년 10월 10일 | 1959년 4월 3일 | 김귀자(金貴子)로 개명 |
장인 | 김갑순 |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 |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
처남 | 김종석(金鍾奭) | |||
처남댁 | 김학필 | 김윤환의 딸 | ||
처남댁 | 이절자 | 이규완의 딸 | ||
처남 | 김종소(金鍾素) | |||
처남댁 | 이씨 | 이병길의 딸 | ||
아들 | 윤일구 | |||
며느리 | 다이애나 윤(Diane Yun) | |||
손녀 | 앨리스 윤(Elise Yun) | |||
아들 | 윤오구 |
4. 기타
5. 논란
윤명선은 만주국 관료를 지냈으며,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여 친일 논란이 있다.
5. 1. 친일 행적
윤명선은 1934년 3월 만주국의 관료로 특채되어 총무청 주계처 계원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3월 만주국 정부로부터 건국공로장과 건국대전기념장을 받았다.[1] 1935년 국무원 총무청 주계처 사무관으로 승진 후, 만주국 대륙과학원 총무과장으로 부임하였다. 같은 해 9월 황제방일기념 특별훈장을 받았다.[1] 한편, 만주국 럭비축구협회 이사, 신징조선인교민회 평의원으로 선출되는 등 교민 사회에서도 활동하였다.[1] 1937년 5월 만주국 훈7휘 주국장을 받았다.[1] 1938년에는 이사관, 천임관 3등으로 승진하여 만주국 총무청 통계처 통제과장, 총무과장을 역임하였다.[1] 1940년 통계처 통계과장이 되고, 그해 5월 총무청 고등문관고시위원회 임시위원이 되었으며, 만주국 국세청 임시국세조사사무국 서무과장을 겸임하였다.[1]1940년 1월, 윤명선은 협화회 신경지구 거주 조선인분회인 수도계림분회의 회원이 되었다.[1] 같은 해 8월에는 협화회 수도계림분회에서 만주 거주 조선인 교육사업을 위해 설치한 조선인교육후원회에 신징지역 후원위원으로 참여하였다.[1] 10월 30일에는 수도계림분회에서 한인 공산주의 활동가들의 귀순을 위해 조직된 동남지구특별공작후원회의 간사로 선출되었다.[1]
1941년 7월 국세납부 조사에 기여한 공으로 만주국 국세조사기념장을 받았다.[1] 1942년 2월 전매총국 이사관으로 발령받아 전매총국 주정과장을 지냈고, 같은 해 9월 천임관 1등으로 승진했다.[1] 1944년 12월 젠다오 성 민생청장으로 부임하였으며, 곧 간임관 2등으로 승급하고 1945년 젠다오 성 차장으로 승진했다.[1]
참조
[1]
서적
윤치호일기 1916~1943
인물과 사상사
[2]
서적
윤치호일기 1916~1943
인물과 사상사
[3]
뉴스
우등생이 사명
동아일보
1922-03-21
[4]
뉴스
尹明善氏
중앙신문
1946-02-24
[5]
뉴스
윤명선씨 살해 악당 타진
자유신문
1946-02-24
[6]
뉴스
윤명선씨의 타살범검거
동아일보
1946-02-24
[7]
뉴스
가시지 않는 사회의 악균, 전율할 가두의 적도조량
자유신문
1946-02-25
[8]
뉴스
럭비 조선 총력의 제전, 명26일 선배 추도 경기대회
자유신문
1946-05-25
[9]
웹사이트
이경찬의 국사교실
http://leekcp.new21.[...]
2011-09-04
[10]
문서
다른 이름으로 윤고라 라는 이름도 있다.
[11]
뉴스
20세기 한국의 풍물 풍속사⑫ 옷 - '미니스커트 단속' 그 때를 아시나요
http://www.donga.com[...]
뉴스플러스
1999-04-01
[12]
뉴스
국민보
1914-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