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6월 17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력 6월 17일은 한국과 일본에서 일어난 사건, 문화, 탄생, 사망, 기념일 등을 포함하는 날짜이다.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2009년에는 인천세계도시축전이 개막했다. 또한 조선 철종, 소설가 채만식, 가수 현철 등이 이 날 태어났으며, 코미디언 장두석 등이 사망했다. 일본에서는 류미 수호 조약 체결, 판적 봉환 청원, 화족 칭호 포고 등이 있었고, 호리오 요시하루, 아베 마사히로, 미쓰쿠리 겐포 등이 사망했다. 이쓰쿠시마 신사에서는 간겐사이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력 6월 - 대서
대서는 24절기 중 소서와 입추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 황경이 120°인 때로, '큰 더위'라는 뜻처럼 보통 이 시기에 더위가 절정에 이르러 한국에서는 장마와 무더위, 농작물 관리에 힘쓰는 시기이며, 일본에서는 토용이 시작되어 장어를 먹고 소서문안을 보내는 풍습이 있다. - 음력 6월 - 음력 6월 9일
음력 6월 9일은 조선 시대의 사건 사고, 문화 활동,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일본의 역사적 사건 등이 기록된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9월 22일
9월 22일은 살라미스 해전,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등 세계 및 한국사의 주요 사건들과 추분, OneWebDay 등의 문화적 기념일, 그리고 마이클 패러데이, 김광섭, 김미화 등 다양한 분야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일이 있는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11월 15일
11월 15일은 화약 음모 사건, 미국 독립을 위한 연합 조약 채택, 세계 인구 80억 명 돌파와 같은 세계적인 사건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종료, 국가정보원 도청 수사, 포항 지진과 같은 한국 관련 사건을 포함하며 역사적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여러 국가의 기념일이 있는 날이다.
음력 6월 17일 | |
---|---|
음력 6월 17일 | |
간지 | 갑진년 병신월 임술일 |
양력 | 2024년 7월 22일 |
띠 | 용띠 |
음력 | 6월 17일 |
날짜 | |
음력 날짜 | 음력 6월 17일 |
간지 | 갑진년 병신월 임술일 |
육십간지 | 갑진년 |
월 | 병신월 |
일 | 임술일 |
2. 사건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되기 전까지 한반도에서는 3년 이상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쟁으로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며, 한반도는 폐허가 되었다. 전쟁의 상처는 깊었고, 남북 간의 분단은 더욱 고착화되었다.
안세이 원년(그레고리오력 1854년 7월 11일) 페리 제독이 류큐 왕국과 류미 수호 조약을 체결하기 전까지, 류큐 왕국은 일본과 청나라 양쪽에 조공을 바치는 독특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조약으로 인해 류큐 왕국은 서구 열강과의 관계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는 훗날 류큐 왕국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메이지 2년(그레고리오력 1869년 7월 25일)에는 사쓰마, 조슈, 도사, 히젠의 4개 번이 판적 봉환을 청원하고, 공경과 제후를 화족으로 칭하는 포고가 있었다. 판적 봉환 이전까지 일본은 에도 막부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판적봉환은 지방 영주들이 자신의 영토와 백성에 대한 통치권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앙집권적인 근대 국가로 나아가는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화족은 메이지 시대에 새롭게 만들어진 귀족 계급으로, 이들은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특권과 지위를 부여받았다.
2. 1. 한국
1953년 -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2. 2. 일본
- 안세이 원년(그레고리오력 1854년 7월 11일) - 페리가 류큐 왕국과 류미 수호 조약을 체결했다.
- 메이지 2년(그레고리오력 1869년 7월 25일) - 사쓰마, 조슈, 도사, 히젠의 4개 번이 판적 봉환을 원했다. 다른 번도 뒤따랐다.
- 메이지 2년(그레고리오력 1869년 7월 25일) - 공경·제후를 화족이라고 칭하는 포고가 있었다.
3. 문화
2009년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이 개막하였다.
3. 1. 한국
2009년 -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개막.4. 탄생
1831년 - 조선의 제25대 국왕 조선 철종이 태어났다.
1902년 - 한국의 소설가 채만식이 태어났다.
1942년 - 대한민국의 가수 현철이 태어났다.
4. 1. 한국
5. 사망
- 2024년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장두석.
- 1611년 7월 26일(게이초 16년) - 호리오 요시하루, 다이묘, 이즈모 마쓰에번 초대 번주 (* 1544년)
- 1857년 8월 6일(안세이 4년) - 아베 마사히로, 바쿠마쓰 시대의 로주, 후쿠야마번 번주 (* 1819년)
- 1863년 8월 1일(분큐 3년) - 미쓰쿠리 겐포, 란가쿠샤 (* 1799년)
5. 1. 한국
5. 2. 일본
6. 기념일, 연중행사
이쓰쿠시마 신사에서는 간겐사이(관현제)가 열린다.
6. 1. 일본
이쓰쿠시마 신사에서 간겐사이(관현제)가 열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