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철 (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철은 1969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로, 1980년대부터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84년 "사랑은 나비인가봐"를 발표하며 솔로 전향 후 첫 히트를 기록했고, 1989년 "봉선화 연정"으로 KBS 가요대상을 수상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1990년에는 "싫다 싫어"로 2년 연속 KBS 가요대상을 수상하는 등 1990년대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2006년 옥관문화훈장을 받았으며, 2024년 7월 15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S 가요대상 - 윤시내
    윤시내는 1978년 데뷔하여 18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형태로 활동하며, TBC 방송가요대상, KBS 가요대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KBS 가요대상 - 김정수 (가수)
    김정수는 《내 마음 당신 곁으로》, 《가슴이 떨려》, 《당신》 등의 대표곡을 가진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KBS 가요대상 대상 수상자 - 윤시내
    윤시내는 1978년 데뷔하여 18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형태로 활동하며, TBC 방송가요대상, KBS 가요대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KBS 가요대상 대상 수상자 - 김정수 (가수)
    김정수는 《내 마음 당신 곁으로》, 《가슴이 떨려》, 《당신》 등의 대표곡을 가진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부산동성고등학교 동문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부산동성고등학교 동문 - 김맹곤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맹곤은 경상남도 김해 출신으로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17대 국회의원과 제5·6대 김해시장을 역임했으나, 두 차례 모두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직을 상실했으며 폐암으로 사망했다.
현철 (가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현철
본명강상수
로마자 표기Hyeon Cheol
출생일1942년 7월 29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김해군
사망일2024년 7월 15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국적대한민국
활동 시기1969년 ~ 2024년
장르트로트
학력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중퇴
종교불교
소속사정원수엔터테인먼트
직업가수, 작곡가
활동명현철
학교동아대학교 경제학 중퇴
제작현철뮤직
웹사이트
한국 이름
제목현철
한글 표기현철
한자 표기玄哲
개정 로마자 표기Hyeon Cheol
매큔-라이샤워 표기Hyŏn Ch'ŏl
예일 표기Hyen Chel
공식 로마자 표기Hyun Chul
한국 이름
제목강상수
한글 표기강상수
한자 표기姜祥秀
개정 로마자 표기Gang Sangsu
매큔-라이샤워 표기Kang Sangsu
예일 표기Kang Sangswu
사진
현철(2018년)

2. 생애

1969년에 데뷔했다. 데뷔 후 "현철과 벌떼들"이라는 그룹을 결성하여 활동을 계속했다.

1982년에 솔로 가수로 전향했다. 1984년에 감성적인 가창법과 뛰어난 가창력을 무기로 "사랑은 나비인가봐"로 솔로 전향 후 첫 히트를 기록했다. 1985년부터 시작된 한국방송공사(KBS)의 가요무대에서 이 노래를 불렀는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1987년에는 5년 전에 발표한 "앉으나 서나 당신 생각"이 리비아 대수로 공사 노동자들의 요청 1위가 되어 가요무대 리비아 공연에서 불렀다. 그 무렵부터 점차 지지층을 확보하며 히트곡을 내고 인기를 얻었지만, 상을 수상하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1989년, "봉선화 연정"이 대히트를 기록했다. 이 해 KBS가요대상을 수상했다. 이듬해 "싫다 싫어"로 2년 연속 KBS가요대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에는 6년 연속 문화방송(MBC) MBC 10대 가수 가요제 10대 가수상을 수상했다.

2024년 7월 15일 오후, 지병으로 별세했다.[2]

2. 1. 유년기와 데뷔 초기 (1942~1979)

현철은 1942년 7월 29일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 도도리 월포마을(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서 태어났다.[2] 1961년 부산동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아대 경영학과에 수석으로 입학하였지만, 이듬해 자퇴하고 군에 입대하였다.[2] 제대 후 1969년 《무정한 그대》를 발표하며 가요계에 데뷔하였으나, 남진나훈아가 주목받던 시기였기에 인기를 얻지 못했다.[2] 1974년 활동을 중단하고 부산에서 음악 그룹 '현철과 벌떼들'을 결성하여 리더로서 팝송을 리메이크하며 활동했지만, 이 역시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오랜 무명 시절을 보냈다.[2]

2. 2. 솔로 활동 시작과 인기 (1980~1987)

1980년에 그 동안 활동해 오던 '현철과 벌떼들'이 해체되고 2년 후에 솔로로 전향했다. 그룹 시절에 발표했던 《앉으나 서나 당신 생각》이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나, 방송에 자주 출연하지 못해서 얼굴 없는 가수에 불과하였다. 1983년에 본격적으로 트로트로 성향을 바꾸면서 구성진 꺾기 창법과 뛰어난 가창력을 겸비하여 《사랑은 나비인가봐》를 발표하였다. 1984년에는 1967년에 발표되었던 《청춘을 돌려다오》를 리메이크하여 활동했는데, 이듬해인 1985년에 나훈아의 부탁으로 이 곡을 함께 부르게 되었다. 1987년에는 리비아 대수로 공사 현장에 공연을 갔었는데 당시 리비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이 고국의 가족들을 보고 싶은 마음에 공연 관계자가 《앉으나 서나 당신 생각》을 부른 현철을 인기가수 공연단에 포함시켰다. 이 노래는 2014년에 미래에셋대우의 광고 음악인 'Think you very much'에서 후렴구로 불리게 되었다.

2. 3. 전성기: 《봉선화 연정》 발표 이후 (1988~2000년대)

현철은 1980년대부터 서서히 인지도를 높여가다가 1988년에 발표한 《봉선화 연정》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으로 KBS 가요대상을 수상했는데, 작곡가 박현진에 따르면 현철은 수상 소감 중 20년 무명 시절을 회상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1990년에는 《싫다 싫어》로 2년 연속 KBS 가요대상을 수상했다. 문희옥과 함께 《잘했군 잘했어 메들리》, 《항구 메들리》 등 혼성 듀엣 메들리를 발표하며,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와 함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6년 연속으로 10대 가수상을 수상하는 등 각종 가요부문상을 받았다. 1998년 발표한 '사랑의 이름표'는 솔직한 가사와 구성진 리듬으로, 그해 한국 여론 설문조사에서 40대와 50대가 가장 선호하는 가수로 1위를 기록하게 했다.

2002년에는 《아미새》를 발표하여 전국노래자랑에 자주 출연했다. 2010년에는 제11회 대한민국 연예문화상 성인가요 부문 대상, 제1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연예발전공로 우정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에는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6]

2. 4. 꾸준한 활동과 수상 (2000년대~2010년대)

현철은 1988년 발표한 《봉선화 연정》으로 큰 인기를 얻어 KBS 가요대상을 수상하였다. 작곡가 박현진에 따르면 현철은 수상 소감 중 20년 무명 시절의 힘들었던 기억에 감격하여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1990년에는 《싫다 싫어》로 2년 연속 KBS 가요대상을 수상하였다. 같은 해 문희옥과 함께 《잘했군 잘했어 메들리》, 《항구 메들리》 등 혼성 듀엣 메들리를 발표하면서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와 함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6년 연속으로 10대 가수상을 수상하는 등 각종 가요부문상을 받았다. 1998년 발표한 '사랑의 이름표'는 솔직한 가사와 구성진 트로트 리듬으로, 그 해 한국 여론 설문조사에서 40대와 50대가 가장 선호하는 가수로 1위를 기록하게 했다.

2002년에는 《아미새》를 발표하여 여러 세대의 인기를 얻었고, 전국노래자랑에 초대 가수로 자주 출연했다. 2010년에는 제11회 대한민국 연예문화상 성인가요 부문 대상, 제1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연예발전공로 우정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에는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6]

2. 5. 말년, 투병 그리고 사망 (2010년대 후반~2024)

2007년 공연 리허설 중 추락 사고로 갈비뼈 골절상을 입은 후 경추 디스크 증상이 왔으며, 2018년 경추 디스크 수술 후 신경 손상으로 허리를 거의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재활 치료를 이어갔다.[2] 2019년 이후 건강 악화로 방송 활동이 대폭 줄었고, 2020년 11월 16일 가요무대 출연을 끝으로 TV에서 자취를 감췄다.[2] 2021년 이후로는 활동을 중단하였다.[2]

2021년 5월 김흥국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건강 회복을 알리며 재활 의지를 밝혔으나,[2] 뇌경색, 폐렴 등 다른 지병이 겹쳐 송해, 현미의 빈소에도 찾아오지 못했다.[2] 2024년 5월 병원에 입원, 7월 초 위독한 상태로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았다.[2]

2024년 7월 15일,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소재 혜민병원에서 8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2]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졌고, 대한민국 가수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2] 유해는 경기도 광주시 능평동 휴 추모공원 납골당에 안장되었다.[2]

3. 학력


  • 1954년 대저중앙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
  • 1961년 부산동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 1961년 동아대학교 경영학과를 수석으로 입학하였으나, 1962년 중퇴하였다.

4. 드라마

5. 대표곡

wikitable

대표곡
무정한 그대1969년
앉으나 서나 당신 생각1982년
사랑은 나비인가봐1983년
청춘을 돌려다오1984년
추억의 테헤란로1986년
내 마음 별과 같이1987년
봉선화 연정1988년
사랑에 푹 빠졌나봐1989년
싫다 싫어1990년
나는 울었네1991년
당신의 이름1992년
들국화 여인1993년
돌아서 가세요1994년
정주지 않으리1995년
사랑의 이름표1998년
아미새2002년
사랑은 눈물인가봐2002년
사랑이 불로초2006년
사랑의 마침표2008년
인생은 드라마야2010년
l Love You (아이 러브 유)2010년
나쁜 사람이야2012년
알러뷰 창원 (lLove You)2014년


6. 앨범

현철은 1969년 〈무정한 그대〉로 데뷔하여, 〈앉으나 서나 당신 생각〉(1982년), 〈사랑은 나비인가 봐〉(1984년), 〈청춘을 돌려다오〉(1985년), 〈사랑의 배신자〉(1986년), 〈추억의 테헤란로〉(1987년), 〈내 마음 별과 같이〉(1988년), 〈봉선화 연정〉(1989년), 〈싫다 싫어〉(1990년), 〈내 마음에 불을 질러 놓고〉(1991년), 〈보고 싶은 여인〉(1993년), 〈들국화 여인〉(1994년), 〈남자의 눈물〉(1996년), 〈사랑의 이름표〉(1998년), 〈사랑합니다〉(2001년), 〈아미새〉(2002년), 〈사랑은 눈물인가 봐〉(2004년), 〈사랑이 불로초〉(2006년), 〈사랑의 마침표〉(2008년), 〈아이 러브 유〉(2010년) 등을 발표했다.

1980년대에는 1980년 《당신/ 비와 나》,《잊어버려/ 춤을 춰요》, 1981년 《내가 미워요》, 1982년 《앉으나 서나 당신생각》, 1986년 《항구의 부르스》, 1987년 《내 마음 별과 같이》, 1988년 《봉선화 연정》을 발표했다.

1990년대에는 1990년 《싫다 싫어》, 1994년 《돌아서 가세요》, 1998년 《현철 `98》을 발표했고, 2000년대에는 2001년 《Love Story》, 2002년 《사랑해 당신》, 2006년 《사랑이 불로초》, 2010년 《인생은 드라마야》, 2012년 《나쁜 사람이야 / 동동구루무 / 고장난 벽시계》, 2014년 《우리는 / 알라뷰 창원 (I Love You)》을 발표했다.

7. CF

현철은 1989년 옥시레킷벤키저의 파워크린 광고를 시작으로, 1991년 뉴파워크린, 1993년 웅진식품 장쾌삼 골드, 2014년 미래에셋대우 Think you very much 광고에 출연했다.

8. 가족 관계

배우자는 송애경이며,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9. 수상 경력


  • 2020년 제1회 트롯어워즈 트롯 100년 가왕상
  • 2010년 제11회 대한민국 연예문화상 성인가요부문 대상
  • 2010년 제16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연예발전공로 우정상
  • 2009년 제1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대상
  • 2009년 제9회 대한민국 전통가요대상 남자 가수왕
  • 2006년 제40회 가수의날 특별공로상
  • 2004년 제2회 21세기 한국인상 수상
  • 2001년 남자 최고 인기대상 수상
  • 1999년 저축의 날 국민훈장포장 수상
  • 1998년 국무총리상 수상
  • 1991년 MBC 10대 가수상
  • 1991년 일간스포츠 골든 디스크상
  • 1991년 제2회 서울가요대상
  • 1990년 제10회 KBS 가요대상
  • 1989년 MBC 10대 가수상
  • 1989년 제 9회 KBS 가요대상 대상 수상
  • 1989년 일간스포츠 골든디스크상
  • 1989년 고복수 가요제 대상 수상
  • 1988년 MBC 10대 가수상

참조

[1]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강수연·강호동 연예인 알부자 ‘무적 대장군 후예’ https://www.skyedail[...] 2016-09-08
[2] 웹사이트 '봉선화 연정'·'앉으나 서나 당신 생각' 가수 현철 별세(종합) https://www.yna.co.k[...] 2024-07-16
[3] 문서 건강상의 이유로 활동 중단
[4] 뉴스 트롯 가수王 玄哲씨 데뷔 20년만에 頂上 올라 "마음 비우고 살렵니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9-12-16
[5] 문서 음력 6월 17일
[6] 웹사이트 옥관문화훈장 수상한 가수 현철 https://m.entertain.[...]
[7] 뉴스 [단독] 가수 현철 별세, 향년 82세···‘봉선화 연정’ 등 히트곡 남겨 https://sports.khan.[...] 스포츠경향 2024-07-16
[8] 뉴스 가수 현철, 신경 손상 요양중 별세..향년 81세[종합] https://sports.chosu[...] 스포츠조선 2024-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