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에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에번은 에도 시대에 이즈모, 오키 지역을 다스린 번으로, 호리오 가문, 교고쿠 가문,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이 번주를 역임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호리오 요시하루가 이즈모·오키 2개국을 다스리며 이즈모 후타다 번으로 시작되었고, 이후 마쓰에 성 축성 후 마쓰에 번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호리오 가문 단절 후, 교고쿠 가문을 거쳐 1638년부터 메이지 유신까지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이 통치했다. 마쓰에 번은 독점 체제를 통한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고, 7대 번주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막말에는 정치적 입장이 모호했으나, 메이지 신정부에 복종하여 보신 전쟁에서 교토를 방어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마쓰에 현이 되었고, 시마네 현에 통합되었으며, 마쓰다이라 가문은 백작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에시 - 황천비량판
    황천비량판은 일본 신화에서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상징하는 장소로, 이자나미와 이자나기의 신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관련 전승지와 유적이 남아있고 현대 문화 콘텐츠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된다.
  • 마쓰에시 - 히가시이즈모정
    히가시이즈모정은 일본 시마네현에 위치했던 도시로, 1954년에 발족하여 2011년 마쓰에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며, 쿄라기 산, 나카우미, 오우 강 등의 지리적 특징을 가지며 미쓰비시 마힌드라 농기 등 지역 기업과 산인 본선 철도 등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졌다.
마쓰에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일반 명칭마쓰에 번
일본어 명칭松江藩
로마자 표기Matsue-han
소속 국가일본
존속 기간1600년 ~ 1871년
시대에도 시대
정치 체제
수도마쓰에성
현재 위치시마네현
행정 구역
소속 행정 구역이즈모국
오키국
역사
성립1600년
소멸폐번치현
폐번폐번치현
다이묘
다이묘마쓰다이라 씨
가문 문장도쿠가와 씨 아오이 문장
마쓰다이라 씨 문장
마쓰다이라 씨의 문장
기타
참고 문헌

2. 번의 역사

도요토미 정권 시대 이즈모산인도산요도 9개 국을 지배한 모리 가문의 통치하에 있었다. 모리 가문의 분가인 요시카와 히로이에는 아마고씨의 거점이었던 월산부타성(현 시마네현 야스기시)에서 이즈모와 오키 두 지역을 다스렸다. 그러나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모리 가문은 스오와 나가토 두 국으로 영지가 축소되었고, 요시카와 가문은 이와쿠니번으로 이전되었다. 도쿠가와 막부는 이즈모와 오키 두 국을 호리오 요시하루의 아들 호리오 타다우지에게 할당했는데, 그의 영지 규모는 24만 석이었다. 이것이 월산부타성을 중심으로 한 "이즈모 도미타 번"의 시작이었다.

호리오 타다우지1604년 27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후계자 다다하루는 겨우 5세였기에, 그의 조부 요시하루가 섭정을 맡았다. 요시하루는 월산부타성이 불편하다고 여겨 1607년부터 5년간 마쓰에 성과 성하마을을 건설했다. 1611년 요시하루는 마쓰에 성으로 거점을 옮겼고 "마쓰에번"이 성립되었지만, 얼마 후 사망했다. 다다하루는 1633년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1634년, 와카사 오바마에서 교고쿠 타다타카가 부임했다. 교고쿠 씨는 전국 시대에 아마고 씨에게 지배권을 빼앗기기 전 이즈모국의 슈고였으므로,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었다. 24만 석 외에 이와미 은산 관리와 이와미국 영토에 대한 4만 석을 추가로 얻었다. 그러나 1637년 교고쿠 타다타카는 사망했다. 임종 직전 조카 다카카즈양자로 삼았지만, 막부에 의해 인정받지 못했다.

1638년, 유키 히데야스의 셋째 아들 마쓰다이라 나오마사가 마쓰모토 번에서 부임했다. 마쓰다이라 가문메이지 유신까지 마쓰에를 지배했다. 초기부터 밀랍, 인삼, 목화, 철 생산을 통제하기 위한 독점 체제를 수립했다. 특히 이즈모국은 타타라 제련법을 이용한 철사(鉄砂)를 이용한 강철 생산으로 유명했다.

7대 다이묘 마쓰다이라 하루사토(후마이)는 재정 재건에 성공하고, 다도(후마이류)를 발전시키고 예술 작품을 후원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마쓰다이라 하루사토의 말년에는 과도한 낭비로 인해 번 재정이 다시 어려워졌다.

막부 말기, 마쓰에 번은 정치적 입장이 모호하여 메이지 정부의 불신을 샀으나, 결국 신정부에 복종했다. 1868년 보신 전쟁 동안 교토를 방어했다. 같은 해 오키 소동이 발생하여 섬 주민들의 봉기로 마쓰에 번의 관리가 축출되었다. 오키현은 1869년에 설치되었다. 마쓰에 번은 1871년 마쓰에현이 되었고, 이후 시마네현에 통합되었다. 마쓰다이라 가문은 1884년 백작 작위를 받아 화족의 지위를 얻었다.

2. 1. 전사(前史)

도요토미 정권 시대, 이즈모산인도산요도 9개국을 지배하던 모리 가문의 통치하에 있었다. 모리 가문의 일족인 요시카와 히로이에는 아마고씨의 거점이었던 월산부타성(현 시마네현 야스기시)을 거점으로 이즈모와 오키 두 지역을 다스렸다.[8]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모리 가문은 스오와 나가토 두 지역으로 영지가 축소되었고, 요시카와 가문은 이와쿠니번으로 이전되었다.

2. 2. 호리오 가문 시대 (1600년 ~ 1633년)

도쿠가와 막부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다다우지(忠氏)에게 이즈모·오키 2개국 24만 석을 주었고, '''이즈모 후타다 번'''(出雲富田藩)이 성립하였다. 다다우지게이초 9년(1604년)에 27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다다하루(忠晴)가 뒤를 이었으나 5세에 불과하여 할아버지 요시하루가 후견인으로서 사실상의 번주가 되었다.

요시하루는 쓰키야마 후타다 성이 산성이라 불편함을 느껴 게이초 12년(1607년)부터 5년에 걸쳐 마쓰에 성과 성하마을을 건설했다. 게이초 16년(1611년), 마쓰에 성으로 거점을 옮기면서 '''마쓰에 번'''이 성립되었으나, 요시하루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11] 다다하루는 성인이 되었지만 아들을 얻지 못했고, 간에이 10년(1633년)에 33세로 사망하여 호리오 가문은 대가 끊겼다.[11] 그러나 호리오 가문이 건설한 마쓰에는 이후에도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번영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 3. 교고쿠 가문 시대 (1634년 ~ 1637년)

1634년, 다다타카와카사 오바마에서 마쓰에번으로 부임했다. 교고쿠 씨는 전국 시대에 아마고 씨에게 지배권을 빼앗기기 전 이즈모국의 슈고였으므로, 고향으로 돌아온 셈이었다. 그들은 24만 석 외에 이와미 은산의 관리와 이와미국 영토에 대한 4만 석을 추가로 얻었다.[1] 그러나 1637년 교고쿠 다다타카는 사망했다. 그는 임종 직전 조카 다카카즈양자로 삼았지만, 이는 막부에 의해 인정받지 못했다.[1] 결국 교고쿠 가문은 단절되었다.

2. 4.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시대 (1638년 ~ 1871년)

1638년 마쓰다이라 나오마사가 마쓰모토 번에서 마쓰에번으로 부임한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마쓰에 번을 통치했다.[9] 마쓰다이라 가문은 쌀 수입만으로는 재정을 유지하기 어려워 밀랍, 인삼, 목화, 철 생산을 통제하는 독점 체제를 수립했다.[9] 특히 이즈모국 지역은 타타라 제철법을 이용한 철 생산으로 유명했다.[9]

7대 번주 마쓰다이라 하루사토(후마이)는 재정 재건에 성공하고, 다도(후마이류)를 발전시키고 예술 작품을 후원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9] 그러나 마쓰다이라 하루사토의 말년에는 과도한 낭비로 인해 번 재정이 다시 어려워졌다.[9]

막부 말기, 마쓰에 번은 정치적 입장이 모호하여 메이지 신정부의 불신을 샀으나, 결국 신정부에 복종했다.[9] 1868년 보신 전쟁 동안 교토를 방어했다.[9] 같은 해, 오키 소동이 발생하여 마쓰에 번의 관리가 축출되고 오키현이 설치되었다.[9]

3. 역대 번주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모리 가문의 영지를 나가토 2개국으로 축소시키고, 기카와 히로이에를 이와쿠니 번으로 이전시켰다. 호리오 요시하루와 그의 아들 호리오 다다우지가 이즈모·오키 2개국 24만 석으로 입봉하여 이즈모 후타다 번(出雲富田藩)이 성립하였다.[4]

1633년 호리오 다다하루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호리오 가문은 대가 끊겼다. 1634년에는 와카사국 오바마 번에서 교고쿠 다다타카가 부임했다. 교고쿠 씨는 센고쿠 시대에 아마고 씨에게 지배권을 잃기 전 이즈모국의 슈고였으므로, 이는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었다. 다다타카는 24만 석 외에 이와미 은광 관리와 이와미국 영토에 대한 4만 석을 추가로 얻었다.[5] 그러나 1637년 다다타카는 사망했고, 그의 조카 교고쿠 다카카즈의 상속은 인정받지 못했다.

1638년 유키 히데야스의 셋째 아들 마쓰다이라 나오마사가 마쓰모토 번에서 18만 6천 석으로 부임했다.[6] 마쓰다이라 가문은 메이지 유신까지 마쓰에를 지배했다. 마쓰다이라 가문은 초기부터 밀랍, 인삼, 목화, 철 생산을 통제하기 위한 전매 체제를 수립했다. 특히 이즈모는 다타라 제철법을 이용한 철사(鉄砂)를 이용한 강철 생산으로 유명했다. 7대 다이묘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후마이(不昧)"라는 호로 불리며, 다도에 조예가 깊어 후마이류라는 유파를 세우기도 했다.

#이름재임 기간예우 칭호궁중 서열석고
호리오 가문, 1600-1633 (도자마)[4]
1호리오 다다우지1600년 - 1604년출운노카미 (出雲守)종사위하 (従四位下)240,000 석
2호리오 다다하루1604년 - 1633년야마시로노카미 (山城守);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240,000 석
교고쿠 가문, 1633-1637 (도자마)[5]
1교고쿠 다다타카1633년 - 1637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240,000 석
마쓰다이라 가문, 1637-1871 (신판)[6]
1마쓰다이라 나오마사1638년 - 1666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종사위상 (従四位上)186,000 석
2마쓰다이라 쓰나타카1666년 - 1675년데와노카미 (出羽守);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7]
3마쓰다이라 쓰나치카1675년 - 1704년데와노카미 (出羽守);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4마쓰다이라 요시토1704년 - 1705년데와노카미 (出羽守);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5마쓰다이라 노부스미1704년 - 1731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6마쓰다이라 무네노부1731년 - 1767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7마쓰다이라 하루사토1767년 - 1806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8마쓰다이라 나리쓰네1806년 - 1822년데와노카미 (出羽守);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9마쓰다이라 나리토키1822년 - 1853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상 (従四位上)186,000 석
10마쓰다이라 사다야스1853년 - 1871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상 (従四位上)186,000 석


3. 1. 호리오 가문

堀尾氏|호리오 씨일본어1600년부터 1633년까지 마쓰에번을 다스린 도자마 가문이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모리 가문이 나가토 2개국으로 영지가 줄어들고, 기카와 히로이에도 이와쿠니로 옮겨졌다. 그 결과 요시하루와 그의 아들 호리오 다다우지(堀尾忠氏)가 이즈모·오키 2개국 24만 석으로 입봉하여 '''이즈모 후타다 번'''(出雲富田藩)이 성립하였다.[4]

다다우지1604년에 27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뒤를 이은 다다하루는 불과 5세였기에, 할아버지 요시하루가 후견인으로서 사실상의 번주가 되었다. 요시하루는 쓰키야마 후타다 성이 산성이라 불편함을 느껴 1607년부터 5년에 걸쳐 마쓰에 성을 축성하고, 그 성하마을 건설을 진행했다. 1611년에 요시하루는 마쓰에 성으로 옮겼고, '''마쓰에 번'''이 성립되었지만, 요시하루는 이를 확인하자마자 곧 죽었다.

다다하루는 성인이 되었지만 아들을 얻지 못했고, 1633년에 33세로 죽자 호리오 가문은 대가 끊겨 개역되었다. 그러나 호리오 가문이 건설한 마쓰에는 이후에도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번영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름재임 기간궁중 서열
1다다우지1600년 - 1604년종사위하
2다다하루1604년 - 1633년종사위하



번조 호리오 요시하루 묘소


호리오 다다우지 묘소

3. 2. 교고쿠 가문

1634년 다다타카와카사국 오바마 번(小浜藩)에서 마쓰에번으로 부임했다. 교고쿠씨(京極氏)는 센고쿠 시대(戦国時代)에 아마고씨(尼子氏)에게 지배권을 잃기 전 이즈모국의 슈고(守護)였으므로, 이는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었다. 다다타카는 24만 석 외에 이와미 은광(石見銀山)의 관리와 이와미국 영토에 대한 4만 석을 추가로 얻었다.[5] 그러나 1637년 다다타카는 사망했다. 그는 임종 직전 조카 다카카즈양자로 삼았지만, 이는 막부에 의해 인정받지 못했다.

#이름재임 기간예우 칭호궁중 서열석고쿠
1교고쿠 다다타카1633년 - 1637년사콘에노쇼쇼 (左近衛権少将); 지쥬 (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240,000 석고쿠


3. 3.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1638년, 유키 히데야스의 셋째 아들인 마쓰다이라 나오마사가 마쓰모토 번에서 18만 6천 석으로 부임했다.[6] 마쓰다이라 씨의 이 분가는 메이지 유신까지 마쓰에를 지배하게 된다. 이 가문의 재정은 연간 세금으로 받는 쌀 수입만으로는 유지할 수 없었고, 처음부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부터 밀랍, 인삼, 목화, 철 생산을 통제하기 위한 전매 체제가 수립되었다. 특히 이즈모는 오래전부터 다타라 제철법을 이용한 철사(鉄砂)를 이용한 강철 생산으로 유명했다.

"후마이(不昧)"라고 불린 7대 다이묘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마쓰에의 특히 유명한 통치자였다. 재정 재건을 추진한 결과, 번은 간세이 시대(1789년 ~ 1801년)에 8만 량의 재산을 축적할 수 있었다. 후마이는 번의 재정 개선을 이용하여 오랫동안 취미였던 다도에 전념하여 후마이류라는 학교를 설립했다. 그는 또한 다도와 관련된 도자기와 시가집을 포함한 예술 작품을 후원하고 수집했으며, 마쓰에는 교토, 나라, 가나자와와 함께 일본 과자(和菓子) 생산지로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또한 일본 정원을 설계하고 그 건설을 후원했다. 번의 초기 재정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의 말년에는 엄청난 낭비로 인해 번의 재정에 문제가 발생했다.

막말에 마쓰에의 정치적 입장은 모호하여 새로운 메이지 정부의 불신을 샀다. 결국 마쓰에는 새 정부에 복종했고, 그 군대는 1868년에 시작된 보신 전쟁 동안 교토를 방어했다. 같은 해에 오키 소동이 발생하여, 빈번한 기근에 대한 대응 부족과 구로후네(외국 배)의 도착과 상륙에 대한 대응 부족으로 인해 섬 주민들의 봉기로 마쓰에 번의 관리가 축출되었다. 오키 현은 1869년에, 즉 폐번치현보다 2년 앞서 설치되었다. 마쓰에 번은 1871년 마쓰에 현이 되었고, 이후 시마네 현에 통합되었다. 마쓰다이라 가문은 1884년 백작 작위를 받아 화족의 지위를 얻었다.

#이름재임 기간예우 칭호궁중 서열석고
1나오마사1638년 ~ 1666년사콘에노쇼쇼(左近衛権少将)종사위상 (従四位上)186,000 석[6]
2쓰나타카1666년 ~ 1675년데와노카미(出羽守);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7]
3쓰나치카1675년 ~ 1704년데와노카미(出羽守);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4요시토1704년 ~ 1705년데와노카미(出羽守);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5노부즈미1704년 ~ 1731년사콘에노쇼쇼(左近衛権少将);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6무네노부1731년 ~ 1767년사콘에노쇼쇼(左近衛権少将);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7하루사토1767년 ~ 1806년사콘에노쇼쇼(左近衛権少将);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8나리쓰네1806년 ~ 1822년데와노카미(出羽守); 지주(侍従)종사위하 (従四位下)186,000 석
9나리타카1822년 ~ 1853년사콘에노쇼쇼(左近衛権少将); 지주(侍従)종사위상 (従四位上)186,000 석
10사다야스1853년 ~ 1871년사콘에노쇼쇼(左近衛権少将); 지주(侍従)종사위상 (従四位上)186,000 석


4. 지번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모리 씨는 이와쿠니 번으로 이전되었다. 도쿠가와 막부는 이즈모국오키국호리오 요시하루의 아들 호리오 타다우지에게 주었는데, 이것이 이즈모토미타 번의 시작이었다. 그러나 호리오 타다우지는 1604년 젊은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조부 호리오 요시하루가 섭정을 맡아 1607년부터 마쓰에 성과 성하 마을을 건설했다. 1611년 마쓰에 번이 성립되었지만, 호리오 요시하루는 얼마 후 사망했고, 호리오 타다하루는 1633년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1634년, 오바마 번에서 교고쿠 타다타카가 부임했다. 교고쿠 씨는 센고쿠 시대 이전에 이즈모국의 슈고였기 때문에, 이는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었다. 1637년 교고쿠 타다타카가 사망하고, 1638년 마쓰다이라 나오마사가 마쓰모토 번에서 부임하여 메이지 유신까지 마쓰에 번을 지배했다.

마쓰에 번은 초기부터 재정난을 겪었으며, 밀랍, 인삼, 목화, 철 생산을 통제하는 독점 체제를 수립했다. 특히 이즈모타타라 제련법을 이용한 철사(鉄砂)를 이용한 강철 생산으로 유명했다. 7대 번주 마쓰다이라 하루사토는 재정 재건을 추진하여 간세이 시대에 재산을 축적했지만, 말년에는 낭비로 인해 다시 재정에 문제가 발생했다.

막말에 마쓰에 번의 정치적 입장은 모호하여 메이지 정부의 불신을 샀다. 결국 마쓰에 번은 새 정부에 복종했고, 보신 전쟁 동안 교토를 방어했다. 1868년에는 오키 폭동이 발생하여 마쓰에 번 관리가 축출되었다. 마쓰에 번은 1871년 마쓰에 현이 되었고, 이후 시마네 현에 통합되었다. 마쓰다이라 씨는 1884년 백작 작위를 받았다.

마쓰에 번에는 세 개의 부번이 있었다.


  • 히로세 번
  • 모리 번

4. 1. 히로세 번

広瀬藩|히로세 번일본어은 1666년, 마쓰다이라 나오마사의 동생인 마쓰다이라 지카요시를 위해 설립되었다. 3만 석의 봉록을 지녔으며, 현재 시마네현 야스기시에 있는 히로세 진야에 기반을 두었다. 8대 번주 마쓰다이라 나오히로는 막부에 의해 "성주 다이묘"로 승격되었다.[1] 역대 번주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비고
1지카요시3만 석 → 1만 5천 석 → 2만 석 → 3만 석
2지카토키
3지카토모
4지카아키라
5지카테루
6지카사다
7나오요시
8나오히로
9나오아키
10나오오키



1884년, 번주 가문은 자작 작위를 받았다.[1]

4. 2. 모리 번

1666년, 마쓰다이라 나오마사의 셋째 아들 다카마사를 위해 모리 번이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모번(母藩)의 재정에서 직접 1만 석의 석을 받았기 때문에, 1684년 현재 시마네현 야스기시에 모리 진야가 건설될 때까지 실제 영지는 없었다. 또한 산킨코타이의 대상이 아니었으며, 번주는 항상 에도의 기타아오야마(北青山) 지역에 있는 번저택에 거주했다. 현재 그 자리에는 브라질 대사관이 있다. 에도 시대 후기까지는 '''간베 번'''(神戸藩)으로 알려져 있었다.

역대 번주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
1다카마사
2나오타카
3나오카즈
4나오미치
5나오유키
6나오키요
7나오카타
8나오오키
9나오요리
10나오토시



1884년에 번주 가문은 자작 작위를 받았다.[1]

4. 3. 마쓰에 신덴 번

겐로쿠(元禄) 14년(1701년), 마쓰에 번 2대 번주 쓰나타카의 다섯째 아들인 치카노리가 1만 석을 분여받아 마쓰에 신덴 번을 세웠다. 호에이(宝永) 원년(1704년), 치카노리는 형이자 3대 마쓰에 번주인 쓰나치카의 양자가 되어 마쓰에 번을 상속받고 4대 번주 요스케가 되었다. 이로 인해 마쓰에 신덴 번은 마쓰에 번에 흡수, 폐번되었다.

5. 마쓰에 번의 통치 체제

마쓰에 번의 무사 신분은 크게 사분(士分)과 졸(卒)로 나뉘었다.[12][13]

사분(士分)졸(卒)


6. 막말의 영지



幕府領|막부령일본어을 맡음.

7. 폐번 이후

1871년, 폐번치현으로 마쓰에 번은 마쓰에 현이 되었고, 이후 시마네현에 통합되었다.[1] 마쓰다이라 가문은 1884년에 백작 작위를 받아 화족의 지위를 얻었다.[1]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4] 웹사이트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4-27
[5] 웹사이트 Kyōgoku at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4-27
[6] 웹사이트 Matsudaira at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4-27
[7] 웹사이트 Peasant uprisings in Japan of the Tokugawa period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Genealogy http://reichsarchiv.[...]
[9] 웹사이트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11] 문서 森家先代実録
[12] 웹사이트 資料紹介 安達家文章目録・翻刻(一) https://matsu-reki.j[...]
[13] 웹사이트 松江藩における御大工の位置づけとその推移 https://www.jstage.j[...] 2001-06
[14] 웹사이트 松江藩の「新番組」とは、どのような組織か。 https://crd.ndl.go.j[...]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2020-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