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강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강가는 콩고어에서 "전문가"를 의미하며,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영적 지도자, 치료자, 점술가 등으로 활동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콩고 왕국과 은동고 왕국에서는 영적 영역과 소통하며 질병 등을 치료하는 역할을 했으며, 기독교 개종 이후에는 기독교 사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남아프리카에서는 전통 치료사, 짐바브웨에서는 약초, 종교적 조언, 영적 지도를 결합하여 사람들을 치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에서는 후두교 의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쿠바에서는 팔로 종교의 점술가의 집을 가리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유사 - 무의
    무의는 마법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거나 치료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과거에는 마법으로 유발된 질병을 치료하는 마법 의사나 아프리카 샤먼을 지칭했으나, 현대에는 전통적인 민간 요법 행위자나 심령 의료 행위자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사회 변화와 의학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치유사 - 티에태얘
    티에태얘는 핀란드 신화에서 질병 치료, 농어업 지원, 마법 대처 등 공동체의 안녕과 질서 유지에 기여하는 존재로, 주문을 통해 도움을 요청하고 자연 현상 지식을 활용해 우주적 평형을 보호했으며, 게르만 문화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20세기까지 이어져 온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응강가
응가 (Nganga)
유형전통 의학 전문가, 영적 치유사
종교콩고 종교
관련 용어빌롱고, 킴파비, 음간다
역할 및 기능
주요 역할질병 진단 및 치료, 영적 문제 해결, 사회적 갈등 중재
치료 방법약초, 영적 의식, 부적 사용
훈련 과정오랜 기간 동안의 도제 훈련
도구음킬루 (영적 힘을 담은 용기), 식물, 동물 부위, 점술 도구
문화적 중요성
지역별 차이콩고 민주 공화국, 앙골라, 콩고 공화국 등 콩고 문화권 전반
현대적 역할전통 의학 및 영적 지도자로서의 역할 유지, 현대 의료와의 협력 시도
같이 보기
관련 직업빌롱고, 킴파비, 음간다
관련 개념음간다, 음킬루, 칼룽가, 은키시

2. 어원

''응강가''는 키콩고어로 "전문가"를 의미한다. 포르투갈어는 이 단어의 의미를 "주술사"로 왜곡했다.[1] 이 단어는 또한, 원반투어에서 "약"을 의미하는 ''-강가''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이 용어는 원반투어 어근의 다중 파생어이기 때문에, 반투어를 사용하는 전 세계에서 이 단어에 약간의 변형이 존재한다.

3.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출신의 응강가


중앙아프리카에서 응강가는 영적 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콩고 왕국과 은동고 왕국에서 방강가(banganga)로 알려졌으며, 영적 세계와 소통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능력을 갖춘 존재였다.[1] 15세기 말 콩고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 '응강가'라는 용어는 기독교 사제와 전통적인 영적 중재자를 모두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

응강가는 꿈을 통해 은콘디 구성에 대한 지시를 받기도 한다. 한 묘사에 따르면, 응강가는 은콘디를 만들 나무를 자르고 닭을 죽여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고, 그 영혼이 은콘디 형상에 생명을 불어넣는다고 한다.[5]

3. 1. 콩고 왕국

콩고 왕국과 은동고 왕국에서 ''방강가''(banganga)로 알려진 전문적인 치유자들은 영적 영역에서 조상들과 교류하고 그들에게서 지침을 구하기 위해 광범위한 훈련을 받았다.[1] 그들은 영적 영역, 즉 ''쿠 펨바''(Ku Mpémba)에서 조상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질병, 불행, 사회적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종종 초자연적인 수단과 신성한 약물, 즉 ''민키시''(minkisi)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준비했다.[1]

그들은 또한 치유하고 소유자를 보호하는 영적 힘을 담는 그릇이 되도록 고안된 물리적 대상인 은키시를 충전하는 역할을 했다. 15세기 말 콩고가 기독교로 개종했을 때, ''응강가''(nganga)라는 용어는 기독교 사제와 전통적인 영적 중재자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2] 현대 콩고 기독교에서 사제는 종종 "응강가 아 은잠비"(Nganga a Nzambi) 또는 "신의 사제"라고 불린다. ''은키시''의 소유자이자 운영자로서 그 힘을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는 사람은 ''응강가''였다.[3]

한 영국 선교사는 한 ''응강가''가 치유를 수행하는 동안 어떻게 보이는지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눈 주위에 굵은 흰색 원, 이마에 붉은 반점, 뺨 아래로 넓은 노란색 줄무늬, 팔과 가슴을 가로지르는 붉은색, 흰색 또는 노란색 띠가 있다.... 그의 복장은 야생 동물의 부드러운 가죽, 통째로 또는 띠로 잘린 것, 새의 깃털, 말린 섬유와 잎, 표범, 악어 또는 쥐의 이빨 장식, 작은 딸랑이, 흔들리는 씨앗 꼬투리로 구성되어 있다.[3][4]

이 야생적인 모습은 콩고어로 ''킴불루아''(kimbulua)라고 하는 두려운 효과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응강가의 의상은 종종 그의 은키시를 본떠 만들어졌다. 의상을 입는 행위 자체가 공연의 일부였으며, 모든 참가자는 보호를 위해 ''마킬라''(makila)라고 불리는 붉은색과 흰색 줄무늬로 표시되었다.[3]

"눈 주위의 흰색 원"은 ''마모니''(mamoni) 선(보다(mona) 동사에서 유래)을 나타낸다. 이 선들은 질병과 악의 숨겨진 근원을 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3]

''욤베 응강가''(Yombe nganga)는 종종 흰색 가면을 썼는데, 그 색은 죽은 자의 영혼을 나타냈다. 흰색은 정의, 질서, 진실, 무적, 통찰력과 관련이 있었는데, 이는 모두 응강가와 관련된 덕목이다.

응강가는 아마도 꿈속에서 특정 영에 의해 ''은콘디''의 구성에 대해 지시를 받는다. 방강가의 과정에 대한 한 묘사에서, 응강가는 은콘디를 만들 나무를 자른다. 그런 다음 그는 닭을 죽이는데, 이는 사냥에 성공하여 전리품을 죽인 사냥꾼의 죽음을 야기하고, 그 사로잡힌 영혼은 은콘디 형상에 생명을 불어넣는다.[5]

3. 2. 응강가의 의식과 복장

콩고 왕국과 은동고 왕국에서 ''방강가''(banganga)로 알려진 전문적인 치유자들은 영적 영역에서 조상들과 교류하고 그들에게서 지침을 구하기 위해 광범위한 훈련을 받았다.[1] 응강가는 영적 영역, 즉 ''쿠 펨바''(Ku Mpémba)에서 조상들과 소통하고, 질병, 불행, 사회적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했다.[1] 또한 초자연적인 수단과 신성한 약물, 즉 ''민키시''(minkisi)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준비했다.[1]

응강가는 치유하고 소유자를 보호하는 영적 힘을 담는 그릇이 되도록 고안된 물리적 대상인 은키시를 충전하는 역할도 했다.[1] ''은키시''의 소유자이자 운영자로서 그 힘을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는 사람이 바로 ''응강가''였다.[3]

한 영국 선교사는 응강가가 치유를 수행하는 동안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이 모습은 콩고어로 ''킴불루아''(kimbulua)라고 하는 두려운 효과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응강가의 의상은 종종 그의 은키시를 본떠 만들어졌다. 의상을 입는 행위 자체가 공연의 일부였으며, 모든 참가자는 보호를 위해 ''마킬라''(makila)라고 불리는 붉은색과 흰색 줄무늬로 표시되었다.[3]

"눈 주위의 흰색 원"은 ''마모니''(mamoni) 선을 나타내는데, 이 선들은 질병과 악의 숨겨진 근원을 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3]

''욤베 응강가''(Yombe nganga)는 종종 흰색 가면을 썼는데, 그 색은 죽은 자의 영혼을 나타냈다. 흰색은 정의, 질서, 진실, 무적, 통찰력과 관련이 있었는데, 이는 모두 응강가와 관련된 덕목이었다.

4.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이니안가'는 약학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반면, 상고마는 점과 조상 숭배를 다룬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 구분이 모호해졌고 많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전통 치료사들이 두 기술을 모두 실천하는 경향이 있다.[7][8] 스와힐리어에서 '응강가'는 자격을 갖춘 의사 또는 전통 치료사를 가리킨다.

4. 1. 짐바브웨

그레이트 짐바브웨 근처의 응강가


짐바브웨의 쇼나족에게, '응강가'는 약초, 의학/종교적 조언, 영적 지도를 조합하여 사람들을 치료하는 전통 치료사이다. 짐바브웨에서 응강가는 짐바브웨 전국 전통 치료사 협회(ZINATHA)에 따라 인정받고 등록되어 있다.[9][10]

응강가는 운명을 말하고, 사람들을 변화시키고, 치료하고, 축복하거나 심지어 죽일 수 있는 종교적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응강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든 문제에 대한 주요 도움의 원천이었다. 응강가는 영국 식민지 시대 훨씬 이전부터 수세기 동안 존재해 왔다. 로디지아 부시 전쟁 동안 게릴라 지도자들은 응강가와 상담했다고 한다.[11]

오늘날에도 응강가는 많은 질병에 대한 조언과 치료를 위해 사람들에게 상담을 받는다. 때때로 응강가는 응급 상황이나 자신의 치유 영의 도움으로 치료할 수 없는 질병의 경우 환자를 서구 의학 실무자 및 병원으로 보낸다.[12]

5. 아메리카 대륙

미국에서 응강가는 후두교 의식에서, 쿠바에서는 팔로 점술가의 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카포에라의 많은 거꾸로 된 자세들은 응강가가 물구나무를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1]

5. 1. 후두교 (Hoodoo)

미국에서 영적 지도자 역할을 했던 응강가는 후두교 의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는데, 이는 콩고 종교, 기독교 및 미국 원주민의 약초 지식을 결합한 것이다.[1]

5. 2. 팔로 (Palo)

쿠바에서 '응강가'라는 용어는 팔레로라고 불리는 팔로 점술가의 집에 보관되는 흙 항아리 또는 철 솥을 가리킨다. 미국의 모조 백과 유사하게, 이 응강가는 숲의 흙, 화산재, 조상의 머리카락, 재 또는 뼈와 같은 자연의 중요한 장소와 영적인 물건들을 담고 있었다. 이는 은잠비, 뭄푸고, 음붐비 (조상 영), 그리고 자연의 힘을 기리는 수단으로 여겨졌다.[13]

5. 3. 카포에라 (Capoeira)

카포에라의 많은 거꾸로 된 자세, 예를 들어 '바나네이라', '아우', '하늘을 나는 가오리 꼬리' 등은 영적인 세계에서 손으로 걸었던 조상들을 모방하여 응강가가 물구나무를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1]

참조

[1] 서적 African-Atlantic Cultures and the South Carolina Lowcount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an African Catholic Church in the Kingdom of Kongo, 1491-1750"
[3] 서적 Astonishment & Power, The Eyes of Understanding: Kongo Minkisi National Museum of African Art
[4] 서적 Among the Primitive Bakongo https://archive.org/[...] Seeley, Service & Co. Ltd.
[5] 간행물 Astonishment and Stickiness in Kongo Art: A Theoretical Advance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cting through the Peabody Museum of Archaeology and Ethnology 2001-04-00
[6] 서적 The Art of Anthropologie Humanities Press
[7] 웹사이트 Traditional Medicines and Traditional Healers in South Africa http://healthlink.or[...] 2013-05-28
[8] 서적 Medicinal Plants of South Africa Briza Publications
[9] 웹사이트 Culture of Zimbabwe http://www.everycult[...]
[10] 웹사이트 Zimbabwe National Traditional Healers Association (ZINATHA) http://www.kubatana.[...]
[11] 서적 Kandaya, Another time, Another place Baobab Books
[12] 간행물 Specialization and referral among the n'anga (traditional healers) of Zimbabwe 1990-07-00
[13]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 서적 Astonishment & Power, The Eyes of Understanding: Kongo Minkisi National Museum of African Art
[15]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an African Catholic Church in the Kingdom of Kongo, 1491-1750"
[16] 웹인용 Traditional Medicines and Traditional Healers in South Africa http://healthlink.or[...] 2013-05-28
[17] 서적 Medicinal Plants of South Africa Briza Publications
[18] 웹인용 Culture of Zimbabwe http://www.everycult[...]
[19] 웹인용 Zimbabwe National Traditional Healers Association (ZINATHA) http://www.kubata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