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오쓰엉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오쓰엉반은 935년에 태어났으며, 중국 사료에는 응오쓰엉떤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950년 즈엉땀카를 폐위시키고 형 응오쓰엉응업과 함께 남진왕을 칭하며 공동 통치를 시작했다. 951년 딘보린의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응오쓰엉응업 사후 남한으로부터 칭호를 받았다. 965년 당완이촌의 난을 진압하다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베트남은 십이사군의 난으로 혼란에 빠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65년 사망 - 교황 레오 8세
    교황 레오 8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 의해 옹립되어 963년부터 965년까지 재임하며 선출 과정과 정통성에 논란이 있었고, 재임 기간 동안 신성 로마 황제에게 많은 특권을 부여하는 칙서를 발표했다.
  • 965년 사망 - 맹창
    맹창은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제2대 황제로, 초기에는 국가 안정에 힘썼으나 만년의 사치스러운 생활로 후촉을 멸망시킨 인물이다.
  • 응오 왕조의 군주 - 즈엉땀카
    즈엉땀카는 즈엉 왕조의 유일한 왕로, 즈엉딘응에의 장군이었으나 응오꾸옌 사후 왕위를 찬탈했다가 응오쓰엉반에 의해 폐위되었으며, 후에 딘 왕조와 전 레 왕조 성립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 응오 왕조의 군주 - 응오쓰엉응업
    응오쓰엉응업은 10세기 베트남 응오 왕조의 인물로, 944년 왕위 계승에 실패했으나 동생 응오쓰엉반에 의해 복위되어 오조를 통치하다 954년에 사망했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응오쓰엉반
기본 정보
이름응오쓰엉반 (Ngô Xương Văn, 吳昌文)
칭호남떤왕 (Nam Tấn Vương, 南晉王)
신상 정보
출생935년
사망965년
아버지응오꾸옌
어머니즈엉꾸옥마우
통치 정보
칭호징하이 왕 (King of Jinghai)
통치 기간950년 - 965년
이전 통치자즈엉탐카
후임 통치자응오쓰엉씨 (군벌)
공동 통치자응오쓰엉응업 (천책왕, 950년-954년)
왕조
왕조응오 왕조

2. 생애

응오쓰엉반은 응오꾸옌의 아들이자 응오쓰엉응업의 동생으로, 951년부터 965년까지 형과 함께 베트남을 공동 통치했다. 그는 외삼촌 즈엉땀카를 몰아내고 정권을 잡았으며, 이후 딘보린의 반란 진압과 남한과의 외교 관계 수립에 힘썼다.

은 935년에 태어났으며, 중국 사료인 《오대사》에는 그의 이름이 응오창진(吳昌晉)으로 기록되어 있다.[1]

965년, 당완이촌(唐阮二村)의 난을 평정 도중 복병을 만나 전사하였다.[1][2] 그의 사후 베트남은 십이사군의 난이라는 혼란 상태에 빠지게 된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투쟁

응오꾸옌 사후 그의 외삼촌 즈엉땀카가 정권을 찬탈했으나, 응오쓰엉반이 이를 몰아내고 남진왕(南晉王)을 칭했다. 그는 형 응오쓰엉응업을 천책왕(天策王)으로 옹립하여 공동 통치를 시작했다.

응오쓰엉반은 935년에 태어났다. 중국 사료 《오대사》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응오쓰엉떤'(吳昌晉)이었다. 944년 응오꾸옌 왕이 사망하면서 형 응오쓰엉응업을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응오쓰엉응업은 추방되고 섭정 즈엉땀카가 권력을 장악했다. 즈엉땀카는 대중을 속이기 위해 응오쓰엉반을 양자로 입양했다.[1]

응오 왕조 시대의 도자기 그릇 (940년대), 하노이 박물관


950년, 응오쓰엉반은 즈엉깟러이, 도까잉탁과 함께 두 개의 떤, 응우옌 반란 진압에 파견되었다. 군대가 뜨렴에 도착하자, 응오쓰엉반은 군대를 돌려 즈엉땀카를 폐위시켰다. 그는 즈엉땀카를 처형하는 대신 쯔엉즈엉공(張楊公) 작위를 하사했다.[2]

2. 2. 공동 통치와 딘보린과의 갈등

응오꾸옌 사후 정권을 빼앗은 외삼촌 즈엉땀카를 몰아낸 뒤 남진왕(南晉王)을 칭했다. 형 응오쓰엉응업을 천책왕(天策王)으로 옹립하고 공동으로 통치했다.[1][2] 베트남 역사에서는 이를 "한 나라 두 왕"(một nước hai vua)이라고 불렀다. 응오쓰엉응업이 실권을 장악했고, 응오쓰엉응업이 죽을 때까지 응오쓰엉반은 어떤 정치에도 참여하지 않았다.[1][2]

951년, 딘보린은 반란을 일으켜 호아르를 점령하고 왕실에 조공을 바치지 않았다. 응오쓰엉반과 응오쓰엉응업은 그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딘보린의 장남인 딘리엔을 체포하여 보린에게 항복을 명령했다. 아들이 체포되었음에도 보린은 "존경받는 전사는 아들 때문에 포기하지 않는다"라고 분노하며 "리엔에게 화살을 쏘라"고 차분하게 명령했다. 두 왕은 경악하여 군대를 철수했다.[2]

응오쓰엉응업이 죽은 후, 응오쓰엉반은 남한으로부터 군사 지사 칭호를 요청했고,[3][4] 띤하이 군 절도사(靜海軍節度使)와 안남 도호(安南都護)라는 칭호를 받았다.[2]

965년, 당완이촌(唐阮二村)의 난을 평정 도중 복병을 만나 전사하였다.[1][2]

2. 3. 남한과의 관계 및 최후

951년, 딘보린이 반란을 일으켜 호아르를 점령하고 왕실에 조공을 바치지 않자, 응오쓰엉반과 응오쓰엉응업은 그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딘보린의 장남 딘리엔을 체포하여 항복을 명령했으나, 딘보린은 "존경받는 전사는 아들 때문에 포기하지 않는다"라며 "리엔에게 화살을 쏘라"고 명령했다. 두 왕은 경악하여 군대를 철수했다.[2]

응오쓰엉응업이 죽은 후, 응오쓰엉반은 남한에 군사 지사 칭호를 요청하여 띤하이 군 절도사와 안남 도호 칭호를 받았다.[3][4][2] 965년, 응오쓰엉반은 두 개의 똔 당, 응우옌의 반란을 진압하다가 전투 중 화살에 맞아 죽었다.[1][2]

응오쓰엉반 사후, 왕국은 십이사군의 난이라 불리는 혼란스러운 내전에 빠졌다.

참조

[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ttps://wikisource.o[...]
[2]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https://zh.wikisourc[...]
[3] 서적 Explorations in Early Southeast Asian History: The Origins of Southeast Asian Statecraf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76
[4]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9th to 14th Centurie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