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엉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즈엉땀카는 10세기 베트남의 군인이자 통치자로, 944년 오꾸옌 사후 그의 아들 오창급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농업 발전, 제방 건설, 해상 운송 장려 등 경제 발전에 힘썼으나, 950년 응오쓰엉반에게 폐위당하고 장양공으로 봉해졌다. 즈엉딘응에의 아들이자 응오꾸옌의 매형이며, 즈엉반응아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오 왕조의 군주 - 응오쓰엉응업
응오쓰엉응업은 10세기 베트남 응오 왕조의 인물로, 944년 왕위 계승에 실패했으나 동생 응오쓰엉반에 의해 복위되어 오조를 통치하다 954년에 사망했다. - 응오 왕조의 군주 - 응오쓰엉씨
응오쓰엉찌는 응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965년 응오쓰엉반 사후 왕위를 계승했으나 십이사군의 난으로 혼란에 빠졌고 968년 딘보린에게 항복하며 응오 왕조를 멸망시켰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즈엉땀카 |
---|
2. 생애
944년 오권이 죽자 왕위가 그의 장남인 오창급에게 돌아가야 했지만, 즈엉땀카는 그가 어리다는 이유로 축출하고 왕위를 찬탈하였다.[1] 스스로 즈엉빈브엉(楊平王)이라 칭하고,[6] 쫓겨난 오창급은 하이즈엉성으로 도망쳐 지역 호족 팜레인꽁에게 의탁했다.[6] 이후 즈엉땀카는 오창문을 양자로 삼았다.[1]
즈엉땀카는 통치 기간 동안 농업 발전, 제방 건설, 하떠이 지역 작물 확대, 강과 호수 정비, 남딘 지역 해상 운송 및 무역 장려 등 경제 발전에 힘썼다.[6]
950년 오창문의 공격을 받아 폐위된 뒤 장양공(張楊公)으로 봉해졌고 식읍을 받았다.[1] 그 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2. 1. 초기 생애 및 가계
즈엉땀카는 즈엉딘응에의 아들이자, 응오꾸옌의 부인인 즈엉씨의 오빠였다. 대월사략에 따르면 그의 본명은 즈엉쭈뜨엉(楊主將)이었지만, 송사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즈엉지에우홍(楊紹洪)이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즈엉딘응에의 셋째 아들이라고 주장했다.2. 2. 쿡씨 및 응오꾸옌 휘하에서의 활동
그는 타인호아성 지역에서 쿡하오의 부하 장군이었다. 931년, 즈엉딘응에는 남한의 통치자 리 티엔을 격파하고 하노이의 옛 이름인 다이라를 수도로 탈환하여 스스로를 띤하이꿘의 절도사(군사 지사)라고 선포했다. 즈엉땀카는 즈엉딘응에의 부하 장군이 되었다.[6]6년 후, 즈엉딘응에의 또 다른 장군인 끼에우꽁띠엔은 반란을 일으켜 주인을 살해하고 징하오의 지사가 되려 했다. 938년, 응오꾸옌은 끼에우꽁띠엔의 권력을 무너뜨리고 그를 살해했다. 그 후 즈엉땀카는 응오꾸옌을 따라 그의 장군이 되었다.[8][6]
응오꾸옌이 그의 군대를 다이라로 진격시키자, 끼에우꽁띠엔은 남한에 사신을 보내 군대를 보내 자신을 돕도록 청했다. 남한의 황제 류옌은 그의 아들 류홍차오에게 끼에우꽁띠엔을 돕도록 위임했고, 그는 또한 그의 아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른 군대를 이끌었다. 그러나 꽁 띠엔은 이 군대가 도착하기 전에 처형되었다. 938년 11월, 백당 전투에서 함대는 응오꾸옌에게 패배했고, 류홍차오는 전투에서 사망했다. 즈엉땀카는 이 전투에 참여했다.[1][8][6][7]
2. 3. 왕위 찬탈과 통치
944년 응오꾸옌이 죽자 왕위가 그의 장남인 응오쓰엉걉에게 돌아가야 했지만, 어리다는 이유로 쫓아내고 왕위를 빼앗았다.[1] 스스로 즈엉빈브엉(楊平王)이라 칭했다.[6] 쫓겨난 응오쓰엉걉은 하이즈엉성으로 도망쳐 지역 호족 팜레인꽁에게 의탁했다.[6] 이후 즈엉땀카는 응오쓰엉반을 양자로 삼았다.[1]그의 통치 기간 동안, 농업 발전, 제방 건설, 하떠이 지역 작물 확대, 강과 호수 정비, 남딘 지역 해상 운송 및 무역 장려 등 경제 발전에 힘썼다.[6]
950년 응오쓰엉반의 공격을 받아 폐위된 뒤 장양공(張楊公)으로 봉해졌고 식읍을 받았다.[1] 그 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2. 4. 폐위와 최후
950년, 즈엉땀카는 응오쓰엉반에게 타이빈성의 반란을 진압하도록 명했으나, 응오쓰엉반은 군대를 돌려 즈엉땀카를 폐위시켰다. 즈엉땀카는 쯔엉즈엉공(張楊公)으로 강등되었고, 식읍을 받았다. 그 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1]일부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그는 966년에 딘보린과 결혼한 즈엉반응아 황후의 아버지였다.[1] 그녀는 결국 자신의 아들 이름으로 섭정을 한 마지막 딘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980년에 레호안과 결혼하여 전 레 왕조를 세우는 데 기여했다.[6][7]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즈엉딘응에 |
누이 | 즈엉 티 응옥 |
조카 | 즈엉반응아 |
참조
[1]
서적
Đại Việt sử lược
https://zh.wikisourc[...]
[2]
논문
Về sự nghiệp và vị thế của Dương Tam Kha trong lịch sử dân tộc ở thế kỷ X
Viện Sử học, Hà Nội
2006
[3]
서적
遺民: 文革烙印了我的階級
https://books.google[...]
新銳文創
2012
[4]
서적
世界历史读这本就够了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2
[5]
웹사이트
Cống hiến của Dương Tam Kha trên lĩnh vực quân sự
http://hoduongvietna[...]
2016-08-19
[6]
웹사이트
duong-binh-vuong--duong-tam-kha-vi-vua-thong-22921
http://www.didulich.[...]
2023-04-25
[7]
웹사이트
d%C6%B0%C6%A1ng%20tam%20kha
https://id.ichacha.n[...]
2023-04-25
[8]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9]
위키
大越史記全書/外紀卷之五#楊三哥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