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반뜨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반뜨엉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 시대의 인물로, 꽝찌성 출신의 평민 가문에서 태어났다. 뜨득 황제 치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프랑스의 베트남 간섭이 심화되자 프랑스와의 협상을 담당했다. 뜨득 황제 사후 섭정으로 정권을 장악했으나, 권력 다툼과 황제 교체 과정에서 학비와의 불륜, 암살 연루 의혹을 받았다. 함응이 황제 치세에는 근왕 운동이 일어나 프랑스에 저항했으며, 응우옌반뜨엉은 꼰다오 제도에 유배된 후 타히티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자태부 - 조현 (전한)
    조현은 전한 시대 유흔의 태자태부로서 염숭의 권력 남용을 경계하고 유경의 정도왕 봉 책봉 문제에 연루되었으며, 어사대부 시절 부희 탄핵 시도 후 애제의 추궁으로 처벌받고 몰락한 유학에 조예가 깊고 강직한 인물이다.
  • 태자태부 - 방현령
    방현령은 당나라 초기의 재상으로, 당 태종을 보좌하여 정관의 치를 이룩하고, 제도 정비와 역사서 편찬에 기여했으며, 능연각 24공신에 선정되었다.
  • 베트남의 태부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베트남의 태부 - 호한트엉
    호한트엉은 호꾸이리의 아들이자 쩐 왕조의 공주 휘녕공주의 아들로, 호조의 제2대 황제이며, 명나라의 침공으로 포로가 되어 행적이 알려지지 않았다.
  • 응우옌 왕조의 관료 - 쯔엉딘
    쯔엉딘은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저항하며 민병대를 이끌었던 베트남의 영웅으로, 1864년 자결하기 전까지 독자적인 항전을 이어갔으며 베트남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응우옌 왕조의 관료 - 류융푸
    류융푸는 중국에서 태어나 흑기군을 조직하여 베트남에서 프랑스군과 싸웠고, 청일 전쟁 이후에는 타이완에서 일본에 저항했으며, 타이난 지명과 초등학교에 이름이 사용될 정도로 존경받는 군인이다.
응우옌반뜨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응우옌 반뜨엉
한자阮文祥
로마자 표기Nguyễn Văn Tường
출생일1824년
출생지꽝찌성
사망일1886년
사망지타히티섬
국적베트남
직업관리
직위
직책섭정

2. 생애

응우옌반뜨엉은 베트남 중부 꽝찌의 평민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응우옌 왕조에 반대하는 반란에 연루되었기 때문에, 응우옌반뜨엉은 관료와 궁정 관리를 선발하는 데 사용된 국가 시험에 응시할 수 없었다.[21][2] 1848년 10월 29일, 뜨득 황제가 즉위했다.[22][3] 황실 기록에는 응우옌반뜨엉이 어떻게 처음 뜨득과 접촉하게 되었는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황제의 보호 아래 응우옌반뜨엉이 최고 성적으로 국가 시험을 통과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기록되어 있다.[21][2] 응우옌반뜨엉의 가족사 개인 기록에 따르면 그는 티에우찌의 사생아로, 티에우찌가 뜨득 황제의 시골 방문 중 응우옌반뜨엉의 어머니를 만났을 때 태어났다고 한다. 1852년, 응우옌반뜨엉은 사법부에서 일하도록 임명되었다. 유교 전통에 따라 1862년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후, 응우옌반뜨엉은 행정 경력을 재개하기 전에 5년 동안의 상을 치러야 했다.[23][4]

1858년 이후 프랑스는 베트남에 대한 간섭을 강화해 나갔다. 1873년, 뜨득 황제는 응우옌 반뜨엉에게 프랑스와 협상을 벌이도록 명령했다. 프랑스와의 조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그를 전혀 신용하지 않았다.[23] 같은 해, 그는 프란시스 가르니에에 의해 점령당한 하노이에서 점령군을 몰아내는 제2차 사이공 조약을 서명한 후 황제로부터 내정과 외교를 위임받았다. 1881년, 조정의 총리가 되었다.[21][24][2][5]

뜨득 황제가 죽자 응우옌 반뜨엉은 진천성(陳踐誠), 존실설(尊室說)과 함께 섭정을 맡았다.[21][2] 세 사람 중 응우옌 반뜨엉과 존실설이 조정을 주도했다. 그러나 궁중에서 권력이 있었던 것은 섭정뿐만 아니었다. 뜨득 황제의 어머니 자유 태황태후, 왕비인 학비(學妃), 장의 황태후 등 이른바 ‘삼궁’(三宮)이 주도권을 다투었다.[25][6] 응우옌 반뜨엉은 학비와 은밀히 밀통하고 있었다.[25][6]

뜨득 황제는 자식이 없었기에 3명의 조카를 양자로 들였다. 31세의 응우옌푹응쩐(阮福膺禛, 뜨득 황제의 동생인 서태공 완복홍의의 아들), 19세의 정몽당(正蒙堂, 뜨득 황제의 동생인 견국공 완복홍해[26]의 아들), 그리고 14세 양선당(養善堂, 정몽당의 동생)까지 3명이었다.[15][6]

베트남의 사학자 팜반선[27]에 따르면, 뜨득 황제의 본래의 뜻은 양선당에게 제위를 잇게 하는 것이었지만, 섭정들이 삼궁의 압력에 굴복하여 완복응진을 제위에 올렸다고 주장한다. 뜨득 황제는 유서에 완복응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기록하며 상속 후보에서 제외했다. 그러나 황제로 즉위한 죽득 황제의 명령으로 그 글을 삭제시켰다. 죽득 황제의 행동을 보다 못한 섭정들은 황제를 처형했다.[25][6] 사학자들 사이에서는 죽득제가 응우옌 반뜨엉과 학비의 불륜 관계에 개입했기 때문에 보복성으로 제거했다는 견해도 있다.[28][7]

응우옌 반뜨엉 등은 이어 37세의 히엡호아 황제(協和帝)를 옹립했다. 그러나 히엡호아 황제는 섭정들의 영향력을 배제하려고 했고, 섭정들은 그를 폐위하려고 했다. 신변의 위험을 느낀 히엡호아 황제는 프랑스에 접근했고, 섭정들은 프랑스가 없는 동안에 히엡호아 황제를 죽이고 끼엔푹 황제(建福帝)를 옹립했다.[28][7] 응우옌 반뜨엉과 학비의 음모가 드러나자 끼엔푹 황제는 두 명을 제거하려 했다. 그러나 그것을 눈치챈 학비는 선수를 쳤고, 황제가 복용하던 약에 독을 넣어 독살했다.[29][8]

다음 황제로 옹립된 함응이 황제(咸宜帝)의 통치기간 동안, 존실설은 근왕 운동을 시작하며, 프랑스에 철저한 항전을 호소했다. 존실설은 함의 황제를 산속 신소성(新所城)에, 이어서 청나라에 데려가 원군을 요청했다. 그러자 프랑스는 즉시 동카인 황제(同慶帝)를 옹립했다.[30][9]

프랑스는 존실설과 함의제에 2개월의 시간을 주었지만, 두 사람은 이후에도 저항을 계속했다. 1885년 9월 6일, 프랑스는 응우옌 반뜨엉과 존실정(尊室訂, 존실설의 아버지)을 꼰다오 제도에 유배했다.[11] 응우옌 반뜨엉은 옥중에서도 반군에게 지시를 계속 내렸다. 그 후 프랑스가 응우옌 반뜨엉으로부터 1450만 피아스터 규모의 재산을 몰수했다.[21][2]

2. 1. 프랑스와의 협상

2. 2. 섭정과 권력 투쟁

응우옌반뜨엉은 꽝찌성의 평민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가 응우옌 왕조에 대한 반란에 가담하여 과거 응시가 금지되었다.[21][2][11] 1848년 뜨득 황제 즉위 후 황제의 비호 아래 과거에 장원 급제하였고,[21][2][11] 1852년 형부상서가 되었다.[23][4][13] 1862년 부친상으로 5년간 상복을 입은 후 관직에 복귀했다.[23][4][13]

1858년 이후 프랑스의 베트남 간섭이 강화되자, 1873년 뜨득 황제의 명으로 프랑스와 협상을 맡았다.[21][2][5][11][14] 제2차 사이공 조약 체결 후 내정과 외교를 위임받았으며, 1881년 조정의 총리가 되었다.[21][24][2][5][11][14]

뜨득 황제 사후, 응우옌반뜨엉은 쩐띠엔타인, 존실설(尊室說)과 함께 섭정이 되었다.[21][2][11] 응우옌반뜨엉과 존실설이 조정을 주도했으며, 뜨득 황제의 어머니 자유 태황태후, 왕비 학비(學妃), 장의 황태후 등 '삼궁'(三宮)도 권력 다툼을 벌였다.[25][6][15] 응우옌반뜨엉은 학비와 밀통하고 있었다.[25][6][15]

뜨득 황제는 자식이 없어 3명의 조카를 양자로 들였는데, 베트남 사학자 팜반선[27]에 따르면, 뜨득 황제는 양선당을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으나, 섭정들이 삼궁의 압력으로 완복응진을 죽득 황제로 옹립했다.[25][6][15] 유서 내용이 삭제된 것에 불만을 품은 죽득 황제가 처형되자,[25][6][15] 역사가들은 응우옌반뜨엉과 학비의 불륜에 대한 보복 살인으로 추측하기도 한다.[28][7][17]

이후 옹립된 히엡호아 황제는 섭정들의 영향력을 배제하려다 폐위되었고,[28][7][17] 프랑스 부재 중 섭정들에 의해 살해된 후 끼엔푹 황제가 옹립되었다.[28][7][17] 끼엔푹 황제는 응우옌반뜨엉과 학비의 음모를 눈치채고 제거하려 했으나, 학비가 황제의 약에 독을 넣어 독살했다.[29][8][18]

함응이 황제 통치 기간 동안, 존실설은 근왕 운동을 일으켜 프랑스에 저항했다.[30][9][19] 존실설은 함응이 황제를 청나라로 데려가 원군을 요청했고, 프랑스는 동카인 황제를 옹립했다.[30][9][19]

프랑스는 1885년 응우옌반뜨엉과 존실정(尊室訂, 존실설의 아버지)을 꼰다오 제도에 유배했고,[21][2][11] 응우옌반뜨엉은 옥중에서도 반군에게 지시를 계속 내렸다.[21][2][11] 프랑스는 그의 재산 1450만 피아스터를 몰수했다.[21][2][11]

2. 3. 근왕 운동과 유배

응우옌반뜨엉은 프랑스의 베트남 간섭이 강화되던 시기에 활동했다. 1873년, 뜨득 황제의 명으로 프랑스와 협상을 벌여 제2차 사이공 조약을 체결하고 내정과 외교를 위임받았다.[21][24] 1881년, 조정의 총리가 되었다.[21]

뜨득 황제 사후, 응우옌반뜨엉은 진천성(陳踐誠), 존실설(尊室說)과 함께 섭정을 맡아 조정을 주도했다.[21] 그러나 죽득 황제, 히엡호아 황제, 끼엔푹 황제가 연이어 즉위했다 폐위되거나 독살되는 등 정국은 혼란스러웠다. 이 과정에서 응우옌반뜨엉은 학비와 밀통하고 황제 폐위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25][28][29]

함응이 황제 통치 기간 동안, 존실설은 근왕 운동을 일으켜 프랑스에 대한 항전을 호소했다. 존실설이 함응이 황제를 데리고 청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자, 프랑스는 동카인 황제를 옹립했다.[30]

프랑스는 응우옌반뜨엉을 꼰다오 제도에 유배했고,[21] 옥중에서도 반군에게 지시를 계속 내리자 1885년 11월 23일 타히티로 추방했다.[21] 응우옌반뜨엉은 1886년 2월 타히티에서 사망했고, 그의 유해는 후에로 반환되었다.

2. 4. 만년

1885년 11월 23일, 응우옌반뜨엉은 태평양타히티섬에 유배되었고, 이듬해 1886년 2월에 유배지에서 사망했다.[21] 1886년 7월, 시신은 후에에 있는 가족에 반환되었다.[21]

3.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별도 항목)

참조

[1] 서적 Chapuis, pp. 15–18
[2] 서적 Chapuis, p. 22
[3] 서적 McLeod, p. xiii
[4] 서적 Chapuis, p. 2
[5] 서적 Chapuis, pp. 17-18
[6] 서적 Chapuis, p. 15
[7] 서적 Chapuis, p. 16
[8] 서적 Chapuis, p. 17
[9] 서적 Chapuis, pp. 18, 22
[10] 서적 Chapuis, pp. 15–18
[11] 서적 Chapuis, p. 22
[12] 서적 McLeod, p. xiii
[13] 서적 Chapuis, p. 2
[14] 서적 Chapuis, pp. 17-18
[15] 서적 Chapuis, p. 15
[16] 문서 首相のファム・ヴァン・ドンとは別人
[17] 서적 Chapuis, p. 16
[18] 서적 Chapuis, p. 17
[19] 서적 Chapuis, pp. 18, 22
[20] 서적 Chapuis, pp. 15–18
[21] 서적 Chapuis, p. 22
[22] 서적 McLeod, p. xiii
[23] 서적 Chapuis, p. 2
[24] 서적 Chapuis, pp. 17-18
[25] 서적 Chapuis, p. 15
[26] 문서 堅国公 阮福洪侅
[27] 서적 范文山, Pham Van Son, 1915년 8월 15일 ~ 1978년 12월 6일, 베트남의 역사가, 《越史全書》(Việt sử toàn thư),西貢,1960년 등의 저서가 있다
[28] 서적 Chapuis, p. 16
[29] 서적 Chapuis, p. 17
[30] 서적 Chapuis, pp. 18, 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