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융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융푸는 1837년 중국에서 태어나 흑기군을 조직하여 베트남에서 프랑스군과 싸웠으며, 청일 전쟁 이후에는 타이완에서 일본에 저항한 군인이다. 그는 청년기에 천지회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며, 1860년대에는 흑기군을 이끌고 베트남에서 활동하며 프랑스군과 전투를 벌여 명성을 얻었다. 청불 전쟁 이후에는 타이완으로 건너가 대만 민주국 대장군으로 일본에 대항했으나, 결국 패배하여 중국으로 돌아갔다. 이후에도 군인으로 활동하다 1917년에 사망했으며, 타이난의 지명과 초등학교에 그의 이름이 사용될 정도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민주국 - 당경숭
    청나라 관료 당경숭은 진사 급제 후 청불 전쟁에 공을 세웠으나,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대만 민주국을 세우고 초대 총통이 되었지만 일본군의 공격으로 패배하여 망명하였다.
  • 대만민주국 - 을미 전쟁
    을미사변은 청일 전쟁 후 일본이 대만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탕징쑨이 대만 민주국을 수립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일본이 대만을 식민지로 만들었으며, 일본군은 질병과 게릴라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 응우옌 왕조의 장군 - 함응이 황제
    함응이 황제는 1884년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즉위했으나 프랑스에 저항하다 체포되어 유배되었고, 1944년 사망했다.
  • 응우옌 왕조의 장군 - 레반주옛
    레반주옛은 응우옌 왕조의 장군이자 만다린으로, 떠이선 왕조에 대항하고 북부 베트남 정벌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코친차이나 총독으로 캄보디아를 통치하며 남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1895년 대만 - 당경숭
    청나라 관료 당경숭은 진사 급제 후 청불 전쟁에 공을 세웠으나,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대만 민주국을 세우고 초대 총통이 되었지만 일본군의 공격으로 패배하여 망명하였다.
  • 1895년 대만 - 대만민주국
    대만민주국은 청일 전쟁 후 청나라의 대만 할양에 반발한 대만인들이 1895년 수립한 공화국으로, 짧은 존속 기간에도 대만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참여 인물들은 중화민국 건국에 기여했다.
류융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류융푸, 1885년경
한자 표기劉永福
로마자 표기pinyin: Liú Yǒngfú
wade-giles: Liu2 Yung3-fu2
베트남어 표기Lưu Vĩnh Phúc
직함
직함대만 민주국 사실상 대통령 겸 총사령관
임기1895년 6월 5일 – 1895년 10월 21일
전임탕징쑹
후임가바야마 스케노리 (대만 총독)
개인 정보
출생일1837년 10월 10일
출생지청나라 광둥성 친저우 (현재의 광시 지역)
사망일1917년 1월 9일
사망지중화민국 광둥성 친저우 (현재의 광시 지역)
국적중국인
종교알 수 없음
군사 정보
소속 부대흑기군
윈난군
타이완 지역 민병대
복무 기간알 수 없음
참전 전투가르니에 원정
태평천국의 난
통킹 전투
종이 다리 전투
푸호아이 전투
팔란 전투
선떠이 전역
흥호아 점령
청불 전쟁
투옌꽝 포위전
유옥 전투
호아목 전투
일본의 타이완 침공 (1895)
타이난 포위전
기타 정보
서명알 수 없음

2. 생애

류융푸는 1837년 10월, 청나라 남부 광둥성 흠주(현재의 광시 좡족 자치구 팡청강시)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천지회에 가입하고 흑기군을 조직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시작했다. 1868년 응우옌 왕조의 허락을 받아 베트남으로 근거지를 옮겼고, 1873년 프란시스 가르니에가 이끄는 프랑스군을 격퇴하여 베트남 황제로부터 '삼선정제독'(三宣正提督)과 '일등의용남작'(一等義勇男爵) 칭호를 받았다.

1885년 청불 전쟁 이후 중국으로 돌아왔으나, 1894년 청일 전쟁 발발로 다시 흑기군을 이끌고 타이완 방어에 나섰다.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대만민주국 대장군으로서 타이베이 함락 이후 저항을 이끌었다. 탕징쑹 등이 도망친 후 타이난에서 대만민주국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일본군의 압박에 밀려 중국으로 돌아갔다.

이후에도 1911년 신해혁명1915년 21개조 요구 사건 등에 참여하며 군인으로 활동하다 1917년 1월 광둥성에서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와 흑기군 결성

류융푸는 1837년 10월, 청나라 남부 지방인 광동성 흠주(현재의 광시 좡족 자치구 팡청강시)에서 태어났다.[1] 사춘기에는 건달들과 천지회에 참여했고, 오아종 휘하에 들어가 광시성윈난성의 국경 지방에서 무장 조직인 흑기군을 조직했다.[20] 류융푸는 젊은 시절 언젠가 유명한 '흑호 장군'이 되리라는 꿈을 꾸었고, 자신의 작은 모험가들을 흑기군 (黑旗軍, Hēiqí Jūn, hei-ch'i chun)이라고 명명했다.[2]

1864년 난징 함락과 태평천국의 붕괴는 류융푸의 앞날을 암울하게 했다. 청나라 군대는 점차 중국 남서부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하기 시작했고, 광시성을 확보하는 것은 시간 문제였다. 복수를 피하기 위해 류는 청나라 장군들을 주저하게 만들 만큼 충분히 강력해져야 했다. 그의 첫 번째 단계는 북부 통킹 산악 지대로 후퇴하여 시간을 버는 것이었다. 1868년 그는 우위안칭의 반군을 버리고 200명의 충성스러운 병사들과 함께 베트남으로 건너갔다.[2] 흑기군은 북부 통킹을 천천히 행군하며 가는 길에 병사들을 모집했고, 결국 선떠이 외곽, 홍강 북쪽 기슭에 진영을 세웠다.[2]

1869년, 류융푸는 베트남인들과 화해를 하고, 흑기군을 황기군에 대한 중국 징벌 작전에 투입함으로써 중국 당국으로부터 호의를 얻어 이 경쟁 산적 군대를 무력화할 기회를 얻었다.[5] 베트남 정부는 류융푸를 영토에서 몰아내기가 어렵고, 반항적인 산악인에 대항하는 유용한 동맹이 될 수도 있다고 판단하여 1869년 류융푸를 자신들의 편으로 만들고 베트남군에서 군사 계급을 부여했다.[3]

이후 류융푸는 황기군과의 충돌에서 승리하여 라오까이를 점령하고, 1885년까지 흑기군의 주요 거점으로 삼았다.[4] 그 후 몇 년 동안 류융푸는 선떠이와 라오까이 사이의 홍강 상업에 대한 수익성 있는 보호 구역을 설립했다. 상인들은 상품 가치의 10%를 세금으로 징수했다. 이러한 강탈로 얻은 이익은 너무 커서 류융푸의 군대는 1870년대에 병력 수가 증가했으며, 전 세계의 모험가들이 그 대열에 합류했다.[6] 류융푸는 통킹 주변의 광둥과 광시 출신 7,000명의 흑기군 병사를 지휘했다.[7]

2. 2. 베트남 망명과 프랑스와의 항전

1868년, 류융푸는 응우옌 왕조 사덕제의 허락을 받아 다낭으로 내려왔다. 그는 흥화성(興化省) 보승(保勝, 현재의 라오까이성 바오탕현)을 근거지로 삼아 주변 토비를 평정했다. 당시 베트남 북부 산지는 토비 세력이 난립하고 있었으나, 류융푸는 베트남에 뿌리를 내린 뒤에도 독립 세력을 유지했다.[24]

1873년, 베트남 수도 하노이가 프란시스 가르니에가 이끄는 프랑스군에 점령당했다. 사덕제의 구원 요청을 받은 류융푸는 흑기군을 이끌고 가르니에를 토벌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냈다. 그 공으로 베트남 황제로부터 '삼선정제독'(三宣正提督)에 임명되었으며, '일등의용남작'(一等義勇男爵) 칭호를 받았다.

1883년 5월 10일, 류융푸는 하노이 성벽에 프랑스에 대한 도전적인 메시지를 걸었다.[9]

프랑스는 이 도발에 응하여, 5월 19일 앙리 리비에르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공격해왔으나, 종이 다리 전투에서 흑기군에게 패배하고 리비에르는 전사했다. 류융푸는 프란시스 가르니에에 이어 비슷한 상황에서 프랑스 해군 지휘관을 전사시키는 파격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0]

이후 류융푸는 1883년 가을 푸호아이 전투(8월 15일)와 팔란 전투(9월 1일)에서 프랑스군과 다시 격돌했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 1883년 12월 손떠이 전투에서 아메데 쿠르베 제독에게 대패했으나, 박닌 전투(1884년 3월)에서는 중국과 베트남 동맹군의 미온적인 태도에 분노하여 방관했다. 프랑스가 박닌을 점령한 후, 류융푸는 흑기군과 함께 흥호아로 후퇴했다. 1884년 4월, 프랑스군은 흥호아를 공격하여 흑기군을 몰아냈다.[12]

류융푸는 홍강 상류 탄꽌으로 후퇴하여, 프랑스의 추격을 피해 중국으로 퇴각할 준비를 했다. 1884년 여름, 프랑스의 계속된 승리에 사기가 떨어진 흑기군 병사 수백 명이 프랑스군에 항복했다. 프랑스는 투옌꽝을 점령했으나, 박레 매복(1884년 6월 23일)으로 촉발된 중국과의 위기로 인해 흑기군을 추격하지 못했다.[13]

2. 3. 청불 전쟁과 타이완에서의 항쟁

1885년 청불 전쟁이 끝나자 류융푸는 베트남에서 귀국했고, 흑기군은 해산되었다.[20] 그러나 1894년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청 조정은 류융푸에게 다시 흑기군을 조직하여 타이완을 방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0]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타이완이 일본에 할양되자, 이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일어나 대만민주국이 선포되었다. 류융푸는 대만민주국 정부로부터 대장군에 임명되어 타이베이 함락 이후 저항을 맡았다.

대만민주국 총통 탕징쑹과 국방군사통령 구봉갑이 샤먼으로 도망치자, 류융푸는 타이난에서 대만민주국 재건을 시도했다. 민중은 류융푸에게 총통 취임을 요청했지만, 그는 이를 거절하고 총통 권한대행 직위인 방변(幇弁)이라는 지위로 대만민주국 정부를 이끌었다.[20] 타이난의회를 설치하고 지폐를 발행하는 등, 대만민주국의 실질적인 지도자로 활동했다.

그러나 군사적으로 우세한 일본군에 계속 저항하기는 어려웠고, 청 유력 인사들의 지원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일본군이 타이난에 접근해 오자, 류융푸는 안핑을 거쳐 영국 선적의 배를 이용하여 중국으로 도피했다.[23]

2. 4. 중국 귀환과 말년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류융푸는 광둥 민단 총장(廣東民團總長)에 임명되어 전투에 참전했다.[17] 1915년 일본 정부가 위안스카이에게 21개조 요구를 했을 때에도 다시 전투 참가를 요청받는 등 평생을 무관이자 군인으로 살았다.[17] 그러나 1917년 1월 광둥성 친저우부 친현에서 병으로 사망했다.[17]

청불 전쟁을 끝내는 평화 조약의 조건 중 하나는 류융푸와 흑기군통킹을 떠나야 한다는 것이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류융푸는 약 2,000명의 병력만 거느리고 있었고, 흑기군을 해산할 입장이 아니었다. 류융푸는 가장 충성스러운 부하들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갔지만, 흑기군 대부분은 1885년 여름 통킹에서 해산되었다. 수개월 동안 급여를 받지 못하고 소총을 소지하고 있던 대부분의 흑기군 병사들은 도적질을 일삼았다. 프랑스가 그들을 제압하는 데는 수개월이 걸렸고, 훙호아와 국경 마을 라오까이 사이의 경로는 1886년 2월에야 확보되었다. 한편, 청 정부는 류융푸의 청불 전쟁 공헌에 대해 광둥성에서 작은 군사 직책을 주었다.[14]

청나라 말기까지 활동하며 남중국 시골의 산적 진압과 씨족 간 분쟁 해결에 뛰어난 업적을 세웠다고 한다.[17] 1912년 중화민국이 수립되었을 때 은퇴하여 공공 문제에 관한 소식을 들었다고 한다. 스스로 글을 읽을 줄 몰랐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신문에서 전해주는 소식을 들었다고 한다.[17]

3. 평가 및 유산

타이난시 중서구에 있는 용푸로와 용푸 초등학교는 류융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8]

참조

[1] 문서 Lung Chang, 30; McAleavy, 99
[2] 문서 Lung Chang, 30; McAleavy, 105–6
[3] 문서 Lung Chang, 30; McAleavy, 106–7
[4] 문서 Lung Chang, 30; McAleavy, 107–10
[5] 문서 McAleavy, 110–12
[6] 문서 Lung Chang, 31
[7] 서적 China: A collection of correspondence and papers relating to Chinese affair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2011-06-09
[8] 문서 McAleavy, 135–9; Thomazi, Conquête, 116–31
[9] 문서 Lung Chang, 161
[10]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1] 문서 Thomazi, Conquête, 171–7; Histoire militaire, 68–72
[12] 문서 Thomazi, Histoire militaire, 84
[13] 문서 Thomazi, Histoire militaire, 85–7
[14] 문서 Thomazi, Conquête, 247–8; Histoire militaire, 107–8
[15] 서적 Lessard 2015 https://books.google[...]
[16] 문서 Davidson, 363–4; Takekoshi, 90
[17] 문서 McAleavy, 283
[18] 웹사이트 永福路,當為了紀念劉永福 http://placesearch.m[...] 2011-08-24
[19] 웹사이트 靖西市人民政府 歴史名人——劉永福 http://www.jingxi.go[...]
[20] 문서 清史稿』巻四百六十三 列伝二百五十 劉永福伝
[21] 문서 桜井由躬雄「ベトナム世界の成立」『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232頁
[22] 문서 桜井由躬雄「植民地下のベトナム」『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306頁
[23] 서적 台湾歴史全知道 風車図書
[24] 문서 桜井由躬雄「ベトナム世界の成立」『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p23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