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글루는 이누이트어로 집을 의미하며, 눈이나 기타 재료로 지어진 다양한 형태의 주거 공간을 지칭한다. 이누이트 문화권 밖에서는 돔 형태의 눈으로 지어진 쉼터를 일반적으로 이글루로 인식한다. 이글루는 임시 쉼터, 가족 거주 공간, 공동체 행사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크기와 구조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이글루는 눈 블록을 쌓아 올린 돔 형태의 구조로, 단열 효과가 뛰어나 내부 온도를 유지하며, 바람과 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글루 | |
---|---|
기본 정보 | |
유형 | 피난처, 주거 |
위치 | 캐나다, 그린란드, 알래스카, 시베리아 |
재료 | 눈 |
건축 | 나선형으로 쌓아올린 눈 블록 |
어원 | |
언어 | 이누이트어 |
단어 | iglu |
의미 | 집 |
특징 | |
단열 효과 | 눈의 단열 효과로 외부 기온이 일 때 내부 온도를 로 유지 가능 |
구조적 안정성 | 나선형 구조로 안정적인 돔 형태 유지 |
문화적 중요성 | |
용도 | 이누이트족의 겨울철 임시 거처 사냥 또는 여행 중의 피난처 |
상징성 | 이누이트족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지혜를 상징 |
2. 명칭
이누이트어에서 이글루/igluiu-Latn(복수 이글루이트/igluitiu-Latn)는 어떤 재료로 지어진 집이나 가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이 단어는 눈으로 지은 집(구체적으로 이글루비자크/igluvijaqiu-Latn, 복수 이글루비자이트/igluvijaitiu-Latn)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통적인 텐트, 잔디집, 유목으로 지은 집, 현대식 건물 등을 포함한다.[3][4] 그러나 이누이트 문화 밖에서는 ''이글루''는 일반적으로 돔 형태의 압축된 눈 덩어리로 지어진 쉼터를 지칭한다.[5]
이글루에는 세 가지 전통적인 유형이 있으며, 크기와 용도가 각각 다르다.[10][11]
캐나다 북부 전역의 여러 이누이트어 방언 (식리툰, 이누인나크툰, 나칠링미우투트, 키발릭, 노스 배핀)은 눈집을 포함한 모든 건물에 이글루/igluiu-Latn를 사용하며, 이는 누나부트 정부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1][6][7] 예외는 누나부트의 이글루릭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이글루/Igluiu-Latn는 다른 건물에 사용되는 반면, 이글루비자크/igluvijaqiu-Latn[8] (복수 이글루비자이트/igluvijaitiu-Latn, 이누크티투트 음절: 이글루비자크/ᐃᒡᓗᕕᔭᖅiu)는 특별히 눈집에 사용된다.
3. 종류
가장 작은 크기의 이글루는 임시 쉼터로, 보통 하룻밤이나 이틀 밤을 지내는 데 사용되어 짓기가 쉽다. 드물게 열린 해빙 위에서 이루어지는 사냥 여행 중에 사용되기도 한다.[10][11][9]
중형 이글루는 반영구적인 가족 거주 공간으로 사용되었다.[10][11] 보통 한두 가족이 거주하는 단일 방 구조였으며, 여러 채가 모여 이누이트 마을을 형성하기도 했다.[10][11]
스노우 하우스(눈의 집/snowhouse영어)라고도 불리는 이글루는 캐나다 북단의 매켄지 하구 부근에서 래브라도 반도에 걸쳐 사용된다.
가장 큰 크기의 이글루는 보통 두 채의 그룹으로 지어졌다. 건물 중 하나는 특별한 행사를 위해 지어진 임시 구조물이었고, 다른 하나는 생활을 위해 근처에 지어졌다.[10][11] 이러한 큰 이글루는 최대 5개의 방이 있을 수 있으며 20명이 거주할 수 있었다. 큰 이글루는 여러 개의 작은 이글루를 터널로 연결하여 건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의 공통 접근이 가능했다. 이러한 큰 이글루는 공동체 축제와 전통 춤을 열기 위해 사용되었다.[10][11]
고대부터 이누이트는 가죽으로 만든 텐트에 살면서 물고기나 짐승을 찾아 이동하는 생활을 했다. 1년 중 대부분을 눈과 얼음에 갇힌 툰드라 지대에서 생활하는 이누이트들의 생활 지혜에서 탄생한 주거 형태가 바로 이글루이다. 눈과 얼음은 풍부하기 때문에 어디에서든 만들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생활하기가 용이하다.
과거에는 '에스키모의 집'으로 알려졌던 이글루지만, 20세기 말 이후 이누이트의 유동성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현재에도 이글루는 일부 이누이트가 겨울에 물개 사냥을 할 때 지어지지만, 정주 생활을 하고 있는 대부분의 이누이트는 눈의 집을 짓지 않는다.
또한, 적설기 등산 시에는 경사가 완만한 단단한 눈 지대에서 텐트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바람에 강한 것이 이글루의 뛰어난 특징이지만, 반면 습도가 높아서 장기간 거주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압설 블록 이글루에서의 거주는 일시적인 것이 된다. 그리고 버려진 이글루를 나중에 지나가던 다른 사람이 유용하는 경우도 일반적이다.
3. 1. 소형 이글루
이글루에는 세 가지 전통적인 유형이 있으며, 크기와 용도가 각각 다르다.[10][11] 가장 작은 크기의 이글루는 임시 쉼터로, 보통 하룻밤이나 이틀 밤을 지내는 데 사용되어 짓기가 쉽다. 드물게 열린 해빙 위에서 이루어지는 사냥 여행 중에 사용되기도 한다.[10][11][9]
3. 2. 중형 이글루
중형 이글루는 반영구적인 가족 거주 공간으로 사용되었다.[10][11] 보통 한두 가족이 거주하는 단일 방 구조였으며, 여러 채가 모여 이누이트 마을을 형성하기도 했다.[10][11]
스노우 하우스(눈의 집/snowhouse영어)라고도 불리는 이글루는 캐나다 북단의 매켄지 하구 부근에서 래브라도 반도에 걸쳐 사용된다.
3. 3. 대형 이글루
가장 큰 크기의 이글루는 보통 두 채의 그룹으로 지어졌다. 건물 중 하나는 특별한 행사를 위해 지어진 임시 구조물이었고, 다른 하나는 생활을 위해 근처에 지어졌다.[10][11] 이러한 큰 이글루는 최대 5개의 방이 있을 수 있으며 20명이 거주할 수 있었다. 큰 이글루는 여러 개의 작은 이글루를 터널로 연결하여 건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의 공통 접근이 가능했다. 이러한 큰 이글루는 공동체 축제와 전통 춤을 열기 위해 사용되었다.[10][11]
4. 구조
wikitext
내부 구조는, 주거용・대기실・식료품 등의 저장고 창고 등으로 나뉜다. 주거용에는 바다표범 등 몇 장의 동물 가죽 등을 깔기도 하거나, 불을 이용해서 취사하기도 한다. 창문이나 환기 구멍도 있다.
눈 이글루는 구형이 아니라, 현수선 형태로 지어지며, 이는 포물면과 더 유사한 곡선 형태이다. 이 형태를 사용하면, 눈이 노화되고 압축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 포물면 또는 현수면에서는 압력이 거의 압축력에 가깝기 때문이다.[12]
개별 눈 벽돌은 톱과 마체테와 같은 칼날로 땅에서 잘라낸다. 원래는 사각형 모양으로 잘라낸다. 그러나 나중에는 구조적 맞물림을 증가시키기 위해 눈 벽돌을 종종 오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으로 자른다.[13] 이는 잉카 제국의 건축에서 사용되는 돌과 유사하다.
이글루는 시간 경과에 따라 눈의 압축 크리프 현상으로 인해 점차 짧아진다.[12]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는 2m 정도로, 외부의 추위와 바람을 막아주기 때문에 내부는 의외로 따뜻하다. 내부 구조는 주거 공간과 부속 공간, 통로, 식용 육류 저장고, 의류 및 도구 창고 등으로 나뉜다.
가장 안쪽 방을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바닥에는 침대용으로 한 단 높은 바닥을 만든다. 추위를 막기 위해 바닥이나 벽에 바다표범 모피 등을 깔고, 불을 사용하여 취사나 난방도 가능하다. 창문이나 환기용 작은 구멍도 있다.
4. 1. 내부 구조
이글루의 내부 구조는 주거 공간, 부속 공간, 통로, 식료품 저장고, 의류 및 도구 창고 등으로 나뉜다.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는 2m 정도이다.가장 안쪽 방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며, 침대용으로 한 단 높은 바닥을 만들기도 한다. 추위를 막기 위해 바닥이나 벽에 바다표범 모피 등을 깔고, 불을 사용하여 취사나 난방을 할 수 있다. 창문이나 환기용 작은 구멍도 설치되어 있다.
4. 2. 외부 구조
눈 이글루는 구형이 아니라 현수선 형태이며, 포물면에 더 가까운 곡선이다.[12] 이 형태는 눈이 노화되고 압축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휘는 것을 방지한다.[12] 역 포물면 또는 현수면에서는 압력이 거의 압축력에 가깝기 때문이다. 개별 눈 벽돌은 톱과 마체테와 같은 칼날로 땅에서 잘라내며, 처음에는 사각형 모양으로 자르지만, 나중에는 구조적 맞물림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으로 자른다.[13] 이는 잉카 제국의 건축에서 사용되는 돌과 유사하다. 이글루는 시간 경과에 따라 눈의 압축 크리프 현상으로 인해 점차 짧아진다.[12]5. 제작 방법
눈은 이글루 건축의 기본 재료이다. 이글루를 짓는 데 사용되는 눈은 바람에 날려 압축되고 얼음 결정이 서로 얽혀 구조적 강도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15] 고요한 날씨에 땅에 부드럽게 가라앉은 눈은 쓸모가 없다. 눈 블록을 잘라낸 자리는 쉼터의 하단 절반으로 사용된다.[15]
눈의 단열 특성으로 인해 이글루 내부는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 깨끗한 담수 얼음 블록을 삽입하여 빛이 들어오도록 하기도 한다.[15] 동물 가죽이나 눈 블록을 문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입구에 짧은 터널을 건설하여 바람과 열 손실을 줄이기도 한다.
이글루는 추가적인 지지 구조 없이 서로 기대고 맞물리도록 다듬어진 독립적인 블록으로 돔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건축학적으로 독특하다.[15] 제대로 지어진 이글루는 지붕 위에 서 있는 사람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글루는 건설 직후 쿠들릭iu-Latn(qulliq, 돌 램프)으로 큰 불꽃을 만들어 내부를 잠시 매우 뜨겁게 만들어 벽을 약간 녹여 굳히기도 한다.[14][15] 이 녹고 재결정화되는 과정은 얼음층을 형성하여 이글루의 강도를 높인다.[16]
이글루는 눈을 1미터×0.5미터, 두께 30센티미터의 블록 모양으로 잘라 아래에서부터 나선형으로 돔 모양으로 쌓아 올린다. 눈 블록은 서로 어긋나게 쌓아 올려 힘을 분산시킨다. 돔형의 형태는 역학적으로 안정되어 강풍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내고, 자중이나 적설의 무게를 건물 전체에 균등하게 분산하여 지탱하므로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가 된다. 눈 외에 유목이나 짐승 뼈 등의 자재를 구할 수 있다면, 그것들도 부재로 이용한다.
얼음을 잘라내 쌓고 이글루 안에 불을 피워 녹이고 불을 꺼 얼린다. 단단해진 눈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 꼭대기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돔 모양이 되게 나선형으로 쌓아 만든다.[18] 또 꼭대기에 구멍을 만들어 안의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하며, 입구는 터널 모양으로 만들어 찬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5. 1. 재료
이글루를 짓는 데 사용되는 눈은 바람에 날려 압축되고 얼음 결정이 서로 얽혀 구조적 강도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15] 고요한 날씨에 땅에 부드럽게 가라앉은 눈은 쓸모가 없다. 눈 블록을 잘라낸 자리는 쉼터의 하단 절반으로 사용된다.[15]눈의 단열 특성으로 인해 이글루 내부는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 깨끗한 담수 얼음 블록을 삽입하여 빛이 들어오도록 하기도 한다.[15] 동물 가죽이나 눈 블록을 문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입구에 짧은 터널을 건설하여 바람과 열 손실을 줄이기도 한다.
이글루는 추가적인 지지 구조 없이 서로 기대고 맞물리도록 다듬어진 독립적인 블록으로 돔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건축학적으로 독특하다.[15] 제대로 지어진 이글루는 지붕 위에 서 있는 사람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글루는 건설 직후 쿠들릭iu-Latn(qulliq, 돌 램프)으로 큰 불꽃을 만들어 내부를 잠시 매우 뜨겁게 만들어 벽을 약간 녹여 굳히기도 한다.[14][15] 이 녹고 재결정화되는 과정은 얼음층을 형성하여 이글루의 강도를 높인다.[16]
이글루는 눈을 1미터×0.5미터, 두께 30센티미터의 블록 모양으로 잘라 아래에서부터 나선형으로 돔 모양으로 쌓아 올린다. 눈 블록은 서로 어긋나게 쌓아 올려 힘을 분산시킨다. 돔형의 형태는 역학적으로 안정되어 강풍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내고, 자중이나 적설의 무게를 건물 전체에 균등하게 분산하여 지탱하므로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가 된다. 눈 외에 유목이나 짐승 뼈 등의 자재를 구할 수 있다면, 그것들도 부재로 이용한다.
5. 2. 건설 과정
이글루는 단단해진 눈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건설된다. 눈 벽돌은 꼭대기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돔 모양이 되도록 나선형으로 쌓아 올리는데,[18] 이때 구조적 맞물림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각형이나 육각형 모양으로 자르기도 한다.[13] 이는 잉카 건축에서 사용되는 돌과 유사한 방식이다.이글루는 현수선 형태, 즉 포물면에 더 가까운 곡선 형태로 지어져 눈이 노화되고 압축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12]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눈의 압축 크리프 현상으로 인해 이글루는 점차 짧아진다.[12]
눈 블록을 잘라낸 자리에 생긴 구멍은 쉼터의 하단 절반으로 사용되며,[15] 눈의 단열 특성 덕분에 이글루 내부는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 깨끗한 담수 얼음 블록을 삽입하여 빛이 들어오게 할 수도 있다.[15] 입구에는 바람과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짧은 터널을 건설하기도 하며, 동물 가죽이나 눈 블록을 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건축학적으로 이글루는 추가적인 지지 구조 없이 서로 기대고 맞물리도록 다듬어진 독립적인 블록으로 돔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제대로 지어진 이글루는 지붕 위에 서 있는 사람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글루를 건설한 직후에는 쿠들릭iu-Latn(qulliq, 돌 램프)으로 큰 불꽃을 만들어 내부를 잠시 매우 뜨겁게 만들어 벽을 약간 녹이고 가라앉히는 과정을 거친다.[14][15] 이 녹고 재결정화되는 과정은 이글루의 강도에 기여하는 얼음층을 형성한다.[16]
이글루는 눈을 1미터×0.5미터, 두께 30센티미터의 블록 모양으로 잘라 아래에서부터 나선형으로 돔 모양으로 쌓아 올린다. 눈 블록은 서로 어긋나게 쌓아 올려 힘을 분산시킨다.
입구는 바람이 불어오는 것을 피하기 위해 통로의 축선을 피한 위치에 설치한다.
돔형의 형태는 역학적으로 안정되어 강풍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내고, 자중이나 적설의 무게를 건물 전체에 균등하게 분산하여 지탱하므로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구조가 된다.
6. 이글루가 따뜻한 이유
이글루 안에 물을 뿌리면 물이 응고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이글루 내부의 온도가 올라간다.
7. 현대 사회와 이글루
7. 1. 한국에서의 이글루
참조
[1]
웹사이트
Iglu
http://www.livingdic[...]
2011-07-19
[2]
웹사이트
How Warm is an Igloo?, BEE453 Spring 2003 (PDF)
http://dspace.librar[...]
2012-07-10
[3]
웹사이트
The Mackenzie Inuit Winter House
http://pubs.aina.uca[...]
2012-07-10
[4]
웹사이트
Reconstructing traditional Inuit house forms using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computer modelling
https://www.ucalgary[...]
2012-07-10
[5]
웹사이트
Definition: Igloo
https://dictionary.c[...]
[6]
웹사이트
About the Flag and Coat of Arms
http://www.gov.nu.ca[...]
Gov.nu.ca
1999-04-01
[7]
간행물
Inuinnaqtun English Dictionary
Nunavut Arctic College
1996
[8]
웹사이트
Igluvijaq
http://www.livingdic[...]
2011-06-29
[9]
웹사이트
A Lost Art in the Arctic: Igloo Making
https://www.nytimes.[...]
2017-06-21
[10]
웹사이트
Igloo
https://www.thecanad[...]
The Canadian Encyclopedia
2024-01-22
[11]
웹사이트
Igloo
https://polarpedia.e[...]
Polarpedia
2024-01-22
[12]
논문
The Igloo and the Natural Bridge as Ultimate Structures
http://pubs.aina.uca[...]
Arctic Institute of North America
1973-12
[13]
Youtube
Building An Igloo
https://www.youtube.[...]
2019-07-05
[14]
서적
The North West Passage, being the record of a voyage of exploration of the ship "Gyöa" 1903-1907;
London, Constable
1908
[15]
서적
The North West Passage, being the record of a voyage of exploration of the ship "Gyöa" 1903-1907
London, Constable
1908
[16]
뉴스
What house-builders can learn from igloos, 2008, Dan Cruickshank, BBC
http://news.bbc.co.u[...]
2012-07-10
[17]
웹인용
Iglu
http://www.livingdic[...]
2011-07-19
[18]
문서
이글루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4년 사업연도 코스닥 상장사 결산 실적 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