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라크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는 출전한 기록이 없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에는 2018년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조 최하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WAFF 여자 챔피언십에는 2011년에 처음 참가하여 2번의 대회에서 6전 전패를 기록했다. 2010년 아라비아컵에 참가하여 3전 전패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의 국가대표팀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0년 FIFA에 가입한 이라크 대표팀으로, 아시안컵 우승과 1986년 월드컵 본선 진출 등의 업적과 우다이 후세인 폭정의 암흑기를 겪었으나, 2007년 아시안컵 우승을 통해 제2의 황금기를 열고 최근 2023년 걸프컵 우승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이라크의 축구 - 이라크 U-23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23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올림픽 축구 4위, AFC U-23 아시안컵 우승,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고, 라디 셰나이실이 감독을 맡고 있다. - 이라크의 축구 - 이라크 축구 협회
이라크 축구 협회는 1948년 창설되어 FIFA와 AFC에 가입한 이라크의 축구 행정 총괄 기관으로, 국가대표팀 운영 및 국내 리그와 컵 대회를 주관하며, 과거 여러 논란을 겪기도 했다.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리부아트 알-라피다인 (메소포타미아의 암사자) |
FIFA 트리그램 | IRQ |
협회 | 이라크 축구 협회 |
감독 | 아딜 카데르 |
FIFA 최고 랭킹 | 107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7년 12월 – 2018년 3월 |
FIFA 최저 랭킹 | 173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24년 12월 |
첫 경기 | 요르단 20–0 이라크 (2010년 10월 19일, 리파, 바레인) |
최대 패배 | 요르단 20–0 이라크 (2010년 10월 19일, 리파, 바레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_iraq23h2 |
홈 유니폼 하의 패턴 | _iraq23h |
홈 유니폼 양말 패턴 | _iraq23h2 |
홈 유니폼 왼쪽 팔 | 00AB66 |
홈 유니폼 몸통 | 00AB66 |
홈 유니폼 오른쪽 팔 | 00AB66 |
홈 유니폼 하의 | 00AB66 |
홈 유니폼 양말 | 00AB66 |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 | _iraq23a2 |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 | _iraq23a |
원정 유니폼 양말 패턴 | _iraq23a2 |
원정 유니폼 왼쪽 팔 | ffffff |
원정 유니폼 몸통 | ffffff |
원정 유니폼 오른쪽 팔 | ffffff |
원정 유니폼 하의 | ffffff |
원정 유니폼 양말 | ffffff |
지역 대회 | |
지역 대회 이름 | WAFF 챔피언십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2 |
지역 대회 첫 출전 | 2011년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2011년, 2024년) |
2. 국제 대회 경력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주요 국제 대회에서 아직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연도 | 대회 | 결과 |
---|---|---|
1991년 ~ 2015년 | FIFA 여자 월드컵 | 불참 |
2019년 | FIFA 여자 월드컵 | 예선 탈락 |
2023년 | FIFA 여자 월드컵 | 기권 |
2012년, 2016년, 2020년 | 올림픽 | 불참 |
2005년, 2007년, 2010년 |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 | 불참 |
2010년 | 아라비아컵 | 3전 전패 (최하위) |
- 2010년 아라비아컵에서는 요르단에게 0-20으로 대패하는 등 3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2. 1. FIFA 여자 월드컵
2. 2. AFC 여자 아시안컵
2010년 ~ 2014년 대회에는 불참하였고,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하였으나 5경기에서 모두 패배하며 조 최하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당시 이라크는 득점을 전혀 기록하지 못하는 등 아시아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해야 했다.[1] 2022년에는 예선 출전을 포기했다.[1]
2. 3. 서아시아 축구 연맹 여자 선수권 대회 (WAFF 여자 챔피언십)
2011년 대회를 통해 WAFF 여자 챔피언십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이후 2번의 대회에 참가했지만, 두 대회에서 6전 전패·무득점·30실점의 매우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여전히 아시아 여자 축구의 변방에 머물러 있는 모습을 보였다.WAFF 여자 챔피언십 기록 | ||||||||
---|---|---|---|---|---|---|---|---|
개최국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2005년 | 참가하지 않음 | |||||||
2007년 | ||||||||
2010년 | ||||||||
2011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19 | −19 |
2014년 | 참가하지 않음 | |||||||
2019년 | ||||||||
2022년 | ||||||||
2024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11 | −11 |
총계 | 2/8 | 6 | 0 | 0 | 6 | 0 | 30 | −30 |
2. 4. 아라비아컵
2010년 아라비아컵을 통해 처음으로 국제 경기에 출전했으나 요르단에게 0 - 20이라는 역대 A매치 최다 점수차 패배를 당하는 등 3전 전패를 당하며 8팀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왈리드 다헤드
3. 코칭 스태프
골키퍼 코치 아베드 카림 수하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