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백윤은 1977년 전라남도 고흥군 출생으로,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재학 중 학생운동을 주도하다 제적되었다. 2005년 동희오토 주식회사 비정규직으로 입사하여 노동조합을 조직했으나 해고되었고, 이후 사회변혁노동자당(현 노동당) 충남 도당 위원장을 역임했다. 2021년 12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노동당 후보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0위로 낙선했다.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련자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련자 - 이용길
이용길은 1970년대 후반부터 사회운동과 정치 활동을 활발히 펼친 한국의 정치인으로, 노동 운동과 시민 운동에 참여하고 진보 정당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2017년 노동당을 탈당했다. - 노동당 (대한민국) 대표 - 이용길
이용길은 1970년대 후반부터 사회운동과 정치 활동을 활발히 펼친 한국의 정치인으로, 노동 운동과 시민 운동에 참여하고 진보 정당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2017년 노동당을 탈당했다. - 노동당 (대한민국) 대표 - 용혜인
용혜인은 알바연대 활동과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운동에 참여하여 사회적 약자 권익 보호에 힘쓰고, 기본소득당 창당 및 대표를 거쳐 국회의원이 되어 기본소득, 사회경제, 기후위기 등 진보적 정책 의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후보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후보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이백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백윤 |
원어명 | 李百允 |
로마자 표기 | Lee Baek-yun |
출생일 | 1977년 5월 25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활동가, 정치인 |
정당 | 노동당 |
학력 | 중앙대학교 (제적) |
2. 생애 및 경력
이백윤은 2002년 민중의료연합 간사로 활동했다. 그의 아버지는 건설 노동자였고, 어머니는 음식 트럭과 식당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했다.[1] 중앙대학교 재학 시절 점거 운동을 주도했다.[1] 병역을 마친 후, 모닝이 생산되는 동희오토에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다.[1][3][4] 이력서에 대학 졸업 경력을 기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해고되었으며, 함께 일했던 다른 21명의 직원들도 해고당했다. 그는 자신과 동료들(박용진 포함)의 해고 결정에 대해 "무효"라고 주장하며 회사에 맞서 싸웠다.[5][1] 그는 체포되어 1년 동안 수감되었다.[6] 석방 후 비합법적인 좌파 정당인 사회혁명노동자당(SRWP)에 합류하여, 2015년 1월부터 사회변혁노동자당 충남도당 위원장을 역임했다.[1] 2017년 7월부터 서산 환경파괴 시설 백지화연대 집행위원장, 2020년부터 중대 재해 기업 처벌법 세종·충남 운동본부 공동대표, 2021년 7월부터 산업폐기물매립장 감시 서산 시민 단체 연대 공동대표, 2021년 8월부터 현대제철 비정규직 투쟁승리 충남지역 대책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았다.[1]
2. 1. 어린 시절과 학생 운동
이백윤은 1977년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태어났다.[1] 중학교 재학 시절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책을 읽고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 1996년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대학교 재학 중 학생운동을 주도하여 제적되었다.[1][2]2. 2. 노동 운동
병역 의무를 마친 후, 2005년 동희오토에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다.[1][3][4] 그는 계약직 직원으로서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투쟁했다.[3] 그러나 이력서에 대학 졸업 경력을 기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해고당했다.[1] 그와 함께 일했던 다른 21명의 직원들도 해고당했다.[1] 그는 자신과 동료들의 해고 결정에 대해 "무효"라고 주장하며 회사에 맞서 투쟁했다.[1][5] 그는 체포되어 1년 동안 수감되었다.[6]2. 3. 정치 활동
2015년 1월부터 사회변혁노동자당 충남도당 위원장을 역임했다.[1] 석방 후에는 사회변혁노동자당(현 노동당)에 합류했다.[1] 2017년 7월부터 서산 환경파괴 시설 백지화연대 집행위원장,[1] 2020년부터 중대 재해 기업 처벌법 세종·충남 운동본부 공동대표,[1] 2021년 7월부터 산업폐기물매립장 감시 서산 시민 단체 연대 공동대표,[1] 2021년 8월부터 현대제철 비정규직 투쟁승리 충남지역 대책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았다.[1]2021년 12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노동당 후보로 출마했다.[1] 2021년 12월 29일, 노동당-사회주의혁명노동자당 통합 대선 경선에서 노동당의 이갑용을 누르고 승리하여,[7] 사회주의혁명노동자당이 노동당에 합당된 후 노동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8] 당시 슬로건은 "이대로 계속 살아야 합니까? 변화를 원한다면, 사회주의!"였다.[3]
2. 4. 2022년 대선 출마
2021년 12월 29일, 이백윤은 노동당-사회변혁노동자당 통합 대선 경선에서 노동당의 이갑용을 누르고 승리했다.[7] 사회변혁노동자당이 노동당에 합당된 후, 이백윤은 노동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8] 그의 선거 슬로건은 "이대로 계속 살아야 합니까? 변화를 원한다면, 사회주의!"였다.[3]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이백윤 | 노동당 | 9,176표 | 0.02 | 낙선 (10위) |
[1]
뉴스
http://www.ohmynews.[...]
2022-02-26
3. 전과
죄목 선고 내용 선고일 공무집행방해, 업무방해, 일반교통방해, 재물손괴, 명예훼손, 신용훼손, 폭행치상, 도로법위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위반(공동상해, 공동주거침입, 공동퇴거불응)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2010년 12월 23일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 선거명 직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2022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대통령 노동당 9,176표 0.02% 10위 낙선
참조
[2]
뉴스
http://www.goodmorni[...]
2022-02-02
[3]
뉴스
http://newstapa.org/[...]
2022-02-25
[4]
뉴스
https://www.labortod[...]
2022-01-13
[5]
뉴스
https://parkyongjin.[...]
2010-09-13
[6]
뉴스
Pamphlet of Lee Baek-yun
https://ssl.pstatic.[...]
[7]
뉴스
http://www.newscham.[...]
2021-12-29
[8]
뉴스
http://www.redian.or[...]
2022-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