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헌 (189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헌은 1896년 11월 20일에 태어나 1976년 1월 17일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하고,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 인쇄와 배포를 지원했으며, 신간회 발기인 겸 간사로 활동했다. 해방 후에는 한국민주당에 참여하여 민주의원 서무과장 등을 역임했고, 1960년 민주당 소속으로 평택시에서 민의원에 당선되었다. 1969년에는 회고록을 발표했으며,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1919년 1월 중순경 손병희의 부탁으로 비폭력·대중화·일원화의 독립운동 3대 원칙을 기록해 동지들에게 전달하였다. 같은 해 2월에는 천도교 교단으로부터 독립운동 자금 5000KRW을 인출해 이승훈에게 전달해 기독교계의 독립만세운동을 지원하였다.
2. 생애
1919년 2월 27일 보성사에서 3·1독립선언서의 인쇄를 돕고 이를 비밀리에 천도교당으로 운반한 후 다시 전국 각지에 배부케 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할 때 당시 진행 상황을 기록하는 한편, 탑골공원에 모인 학생 및 시민과의 연락을 담당하였다. 같은 날 서울 시내 곳곳에서 벌어진 시위와 3월 5일 남대문역 앞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체포된 민족대표들의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1927년 2월 신간회가 창립되자 발기인 겸 간사로 활동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한국민주당에 참여했고, 민주의원의 서무과장,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 대한행정신문사장을 거쳤다.
1960년에 평택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민의원에 당선되었다.
1969년에는 《신동아》에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이라는 회고록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천도교 교역자로 중앙총부와 천도교 청년동맹 경성지부에서 시무한 바 있었다.
1976년 1월 17일 사망하였다.[1]
2. 1. 초기 생애
1896년 11월 20일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났다.[1] 이후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하였다.
2. 2. 독립운동
손병희의 부탁으로 비폭력·대중화·일원화의 독립운동 3대 원칙을 기록해 동지들에게 전달하였다.[1] 1919년 2월 천도교 교단으로부터 독립운동 자금 5000KRW을 인출해 이승훈에게 전달해 기독교계의 독립만세운동을 지원하였다.
1919년 2월 27일 보성사에서 3·1독립선언서 인쇄를 돕고 이를 비밀리에 천도교당으로 운반한 후 다시 전국 각지에 배부케 하였다.[1] 1919년 3월 1일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할 때 당시 진행 상황을 기록하는 한편, 탑골공원에 모인 학생 및 시민과의 연락을 담당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 서울 시내 곳곳에서 벌어진 시위와 3월 5일 남대문역 앞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체포된 민족대표들의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1927년 2월 신간회가 창립되자 발기인 겸 간사로 활동했다.[1] 1969년에는 《신동아》에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이라는 회고록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2. 3. 해방 이후 활동
1945년 해방 후 한국민주당에 참여했고, 민주의원 서무과장,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 대한행정신문사장을 역임했다.[1]
2. 4. 정계 활동
해방 후 한국민주당에 참여했고, 민주의원 서무과장,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 대한행정신문사장을 거쳤다.[1]
1960년 평택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민의원에 당선되었다.[1]
1969년에는 《신동아》에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이라는 회고록을 발표하기도 하였다.[1]
2. 5. 말년
1969년 《신동아》에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 회고록을 발표했다.[1] 천도교 교역자로 중앙총부와 천도교 청년동맹 경성지부에서 시무했다.[1]
1976년 1월 17일 사망했다.[1]
3. 사후
4. 저서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50년 | 총선 | 2대 | 국회의원 | 경기 평택군 | 무소속 | 낙선 | ||||
1954년 | 총선 | 3대 | 국회의원 | 경기 평택군 | 무소속 | 9,844 | 24.56% | 2위 | 낙선 | |
1958년 | 총선 | 4대 | 국회의원 | 경기 평택군 | 민주당 | 10,437 | 18.92% | 2위 | 낙선 | |
1960년 | 총선 | 5대 | 국회의원 | 경기 평택군 | 민주당 | 15,863 | 28.02% | 1위 | 당선 | 초선 |
1963년 | 총선 | 6대 | 국회의원 | 경기 평택군 | 국민의당 | 3,634 | 6.72% | 4위 | 낙선 |
참조
[1]
웹인용
이병헌(李炳憲)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웹인용
독립유공자 공훈록 - 이병헌(李炳憲)
http://e-gonghun.mpv[...]
공훈전자사료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