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순지는 조선 세종 시대의 문신으로, 산학, 천문학, 음양, 풍수 등에 능통했다. 세종의 신임을 받아 천문역산 전문가로 활약하며,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 확립에 기여했다.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편찬하고, 승지, 중추원부사, 개성부 유수 등을 역임했다. 또한 여러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드라마와 영화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순지 - 칠정산
칠정산 외편은 이순지와 김담 등이 회회력을 참고하여 천문 계산, 일식과 월식 예보, 행성 운동 등을 다룬 5책의 역서로, 조선 시대 농업 사회에서 기후와 날씨 예측을 통해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데 기여했다. - 이순지 - 72021 이순지
72021 이순지는 제공된 문서가 없어 개요를 파악할 수 없다. - 조선의 좌부승지 - 한효원
- 조선의 좌부승지 - 이경억
이경억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1644년 문과 장원 급제 후 효종과 현종 시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우의정과 좌의정까지 올라 국정을 총괄했고, 시호는 문익이다. - 1406년 출생 - 프라 필리포 리피
프라 필리포 리피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했으며, 프라토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남겼다. - 1406년 출생 - 진남군 (왕족)
진남군 이종은 조선 정종의 서자로, 명선대부 진남정에 봉해진 후 진남군으로 진봉되었으며, 경서와 대의에 밝아 종학 취학을 면제받고 사옹원과 장원서의 제조를 역임하다 사망 후 이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순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순지 |
한자 이름 | 李純之 |
로마자 표기 | I Sun-ji |
자 | 성보(誠甫) |
시호 | 정평(靖平) |
본관 | 양성(陽城) |
출생일 | 1406년 |
사망일 | 1465년 |
정치 | |
정당 | 무소속 |
임금 | 조선 세종 |
대리 청정 | 왕세자 이향 |
직책 | 조선의 개성부 유수 |
임기 | 1446년 2월 1일~1449년 5월 31일 |
학력 | |
학력 | 1425년 생원시에 합격 |
학력 | 1427년 친시문과에 을과 급제 |
가족 | |
배우자 | 신씨 부인 |
아버지 | 이맹상(李孟常) |
형제 | 형 이효지(李孝之) |
형제 | 형 이전지(李全之) |
형제 | 형 이겸지(李謙之) |
친인척 | 할아버지 이한(李澣) |
친인척 | 증조부 이춘부(李春富) |
친인척 | 외조부 유자(柳滋) |
친인척 | 장인 신한(辛僴) |
분야 및 경력 | |
분야 | 천문학 |
경력 | (제공된 텍스트에 경력 정보가 없어 생략) |
2. 생애
2. 1. 뛰어난 학문적 재능과 세종의 신임
성품이 정교(精巧)하여, 산학·천문·음양·풍수 등에 능하였다. 1425년(세종 7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426년(세종 8년) 동궁행수로 있다가 1427년(세종 9년) 친시문과에 을과 급제하였다. 한양의 북극고도(즉 위도)가 무엇이냐는 세종대왕의 질문에 관료 중에서 유일하게 답한 것이 계기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천문역산(天文曆算) 전문가로 활약했다.2. 2. 칠정산 편찬과 조선 역법의 확립
1433년부터 조선의 천문역법을 정비하라는 세종의 명을 받고 이순지를 중심으로 역법(曆法)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1442년에 이르러 조선 독자의 역법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編)과 《칠정산외편》(七政算外編)의 편찬이 완성되었다. 이로써 그간 중국의 역법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것에서 벗어나 비로소 독자적으로 천체 운행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이순지는 승지(承旨),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개성부 유수(開城府 留守),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이르렀다.
2. 3. 관직 경력
3. 주요 업적
3. 1. 칠정산내편 및 칠정산외편 편찬
세종 26년(1444)에 이순지는 칠정산내편 3권 2책을 편찬하였다. 또한, 칠정산외편 3권 5책, 천문류초, 교식추보가령, 제가역상집, 기정도보속편 등을 편찬하였다.3. 2. 천문류초 편찬
3. 3. 기타 저술 활동
세종 26년(1444)에 《칠정산내편》(七政算內編) 3권 2책을 저술하였다. 이 외에도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 3권 5책, 《천문류초》(天文類抄), 《교식추보가령》(交食推步假令), 《제가역상집》(諸家歷象集), 《기정도보속편》 등을 저술하였다.4. 가계
양성 이씨(陽城 李氏)이다. 아버지는 이맹상(李孟常)이고, 어머니는 문화 유씨이다. 부인은 영월 신씨로 신한(辛僴)의 딸이다. 슬하에 이부, 이지, 이공, 이파, 이포, 이국 등 여섯 아들을 두었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이순지는 여러 대중 매체에서 등장했다.
6.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