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칸데르 미르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칸데르 미르자는 1956년 3월 23일 파키스탄 헌법 제정 이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아와미 연맹,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 공화당의 지지를 받았으나, 의회와의 갈등과 잦은 총리 교체로 인해 불안정한 정국을 야기했다. 미르자는 의회 민주주의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2년 동안 4명의 총리를 해임하고 페로즈 칸 눈을 마지막 총리로 임명했다. 그는 파키스탄 역사에서 계엄령을 내린 인물로 비판받으며, 정치인에 대한 불신과 통제된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페로즈 칸 눈
페로즈 칸 눈은 영국령 인도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파키스탄의 초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과다르를 파키스탄에 편입시켰으나 쿠데타로 실각하고 저술 활동을 하다 사망했다. - 인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굴람 이스하크 칸
굴람 이스하크 칸은 파키스탄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1988년부터 1993년까지 파키스탄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과 핵 억지력 프로그램 구축에 기여했으나, 총리와의 갈등으로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는 평가를 받고 퇴임 후에는 공과대학을 설립하여 교육 분야에 기여했다. - 벵골계 파키스탄인 - 누룰 아민
누룰 아민은 파키스탄의 정치인으로, 동벵골 수상과 파키스탄 부통령을 역임하며 파키스탄 운동에 기여했으나, 언어 운동 대처 미흡, 야당 대표, 총리, 그리고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관련 협력 혐의로 평가가 엇갈린다. - 벵골계 파키스탄인 - 모하마드 알리 보그라
파키스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었던 모하마드 알리 보그라는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총리를 역임하며 '보그라 공식'을 제시하여 헌법 제정을 시도하고, 친미 외교 정책을 통해 미국과의 군사적 관계를 강화했으며, 외무장관 시절에는 중국과의 국경 문제 해결과 소련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 영국에 거주한 파키스탄인 - 압두스 살람
압두스 살람은 약전자기 상호작용 이론 통합에 기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파키스탄의 이론물리학자로서, 파키스탄 과학 발전과 국제 이론물리센터 설립을 주도하며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으나, 종교적 차별로 인해 조국을 떠나게 되었다. - 영국에 거주한 파키스탄인 - 페르베즈 무샤라프
페르베즈 무샤라프는 파키스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99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2008년까지 파키스탄 대통령을 역임하며 카르길 분쟁, 테러와의 전쟁 참여, 인도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헌법 정지, 대법원장 해임, 핵무기 관련 스캔들, 부패 문제, 암살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되었고, 2019년에는 국가 반역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판결이 파기되었으며, 2023년 아밀로이드증으로 사망했다.
이스칸데르 미르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스칸데르 미르자 |
원어명 | اسکندر مرزا ইiskandāra mirajā |
명칭 | 대통령 |
국적 | 파키스탄 |
출생일 | 1899년 11월 13일 |
출생지 | 영국령 인도 서벵골 주 무르시다바드 |
사망일 | 1969년 11월 13일 |
사망지 | 영국 잉글랜드 런던 |
종교 | 이슬람교 |
정치 경력 | |
정당 |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1950~1955) 파키스탄 공화당(1955~1959) |
대통령 대수 | 1대 |
취임일 | 1956년 3월 23일 |
퇴임일 | 1958년 10월 27일 |
총리 | 초드리 무함마드 알리(1956년) 후세인 샤히드 수라와르디(1956년~1957년) 이브라힘 이스마일 춘드리가르(1957년) 페로즈 칸 눈(1957년~1958년) |
전임 | (없음, 초대 대통령) |
후임 | 아유브 칸 |
개인 정보 | |
배우자 | 리파트 네마지 (1922~1953) 나히드 미르자(1954~1969) |
2. 대통령직 (1956-1958)
1956년 헌법 제정 이후, 이스칸데르 미르자는 아와미 연맹,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 공화당의 지지를 받아 파키스탄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4] 그러나 대통령 중심의 강력한 권한을 선호했던 미르자는 의회와의 갈등, 잦은 총리 교체, 민주주의에 대한 불신 등으로 파키스탄 정치에 혼란을 야기했다.
2. 1. 대통령 선출 배경
1956년 3월 23일, 새 헌법 제정 이후 미르자는 선거인단에 의해 만장일치로 초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4] 아와미 연맹,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 공화당의 연합이 그의 대통령직을 지지하였다.[4]새 헌법은 대통령이 의례적인 국가 원수로 재직하고, 선출된 총리에게 행정 권한을 부여하는 의회주의 정부 체제를 확립하였다.[4]
1956년 9월 12일, 미르자는 공화주의와 보수주의에 대한 의견 차이로 무슬림 연맹과 갈등을 겪었고, 공화당의 부통령이 되었다.[4] 미르자의 공화당에 대한 압력을 막지 못한 초드리 무함마드 알리 총리는 결국 1956년 9월 12일 사임하였다.[4]
이후 미르자 대통령은 아와미 연맹을 초청하여 후세인 샤히드 수라와르디를 총리로 하는 공화당과의 연립 정부 구성을 추진하였다.[5]
2. 2. 의회와의 갈등과 잦은 총리 교체
1956년 3월 23일, 새로 구성된 선거인단은 헌법 제1조가 공포되자 만장일치로 미르자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4] 아와미 연맹,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 공화당의 연합이 그의 대통령직을 지지했다.[4]1956년 헌법은 대통령을 의례적인 국가 원수로 규정하고, 선출된 총리에게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부여하는 의회주의 정부 체제를 확립했다.[4]
미르자는 1956년 9월 12일, 공화주의와 보수주의에 대한 의견 차이로 무슬림 연맹과 갈등을 겪었고, 공화당의 부통령이 되었다.[4] 무슬림 연맹은 초드리 무함마드 알리 총리의 사임을 이끌어냈다.[4]
미르자 대통령은 아와미 연맹을 초청하여 공화당과 연정을 맺은 후세인 샤히드 수라와르디를 총리로 임명하고 중앙정부 구성을 추진했다.[5]
미르자와 수라와르디는 모두 벵골인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중앙 정부 운영에 대한 시각이 달라 갈등을 겪으며 국가 통합에 해를 끼쳤다.[6] 수라와르디 총리는 원유닛 문제, 국가 경제 완화, 미르자 대통령의 잦은 개입 등으로 효과적인 통치가 매우 어렵다고 판단했다.[5]
미르자 대통령은 수라와르디 총리의 사임을 요구하며 국회 신임 동의안 제출 요구를 거절했다.[5] 미르자 대통령의 해임 위협을 느낀 수라와르디 총리는 1957년 10월 17일 사임했고, 이브라힘 이스마일 춘드리가르가 총리가 되었지만 두 달 만에 사임했다.[7]
미르자 대통령은 시민들을 불신하는 등 의회 정신이 부족했다. 민정에 대한 잦은 간섭으로 2년 만에 4명의 총리를 해임하는 등 사실상 정부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었다.[4] 그는 페로즈 칸 눈을 제7대 총리로 임명했다.[1]
2. 3. 의회 민주주의에 대한 불신
이스칸데르 미르자는 의회 정신이 부족하고,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훈련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파키스탄에서 민주주의가 성공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4] 그는 시민들을 불신하며, 선출된 총리들을 자주 해임하는 등 정부 기능을 마비시켰다.[4]1956년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의례적인 국가 원수로 재직하고, 선출된 총리가 집행권을 가지는 의회주의 정부 체제가 수립되었다.[4] 그러나 미르자는 대통령으로서 초드리 무함마드 알리 총리의 사임을 이끌어내는 등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4] 이후 후세인 샤히드 수라와르디를 총리로 임명하였으나, 두 사람은 중앙 정부 운영에 대한 시각 차이로 충돌하였다.[6] 수라와르디 총리는 원유닛 문제, 국가 경제 완화, 미르자 대통령의 위헌적인 개입 등으로 인해 효과적인 통치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1957년 10월 17일 사임하였다.[5][7]
미르자는 이후 이브라힘 이스마일 춘드리가르를 총리로 임명했지만, 춘드리가르 역시 두 달 만에 사임하였다.[7] 미르자는 2년 동안 4명의 총리를 해임하는 등[4] 사실상 정부 기능을 마비시켰으며, 마지막으로 페로즈 칸 눈을 제7대 총리로 임명했다.[1]
3. 유산
이스칸데르 미르자는 파키스탄 역사학자들로부터 계엄령 선포와 정치 불안을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그는 민주주의에 대한 불신과 "통제된 민주주의"를 주장했으며, 사법부에 더 큰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믿었다.[1] 그의 정치 이념은 세속주의와 국제주의에 기반을 두었으며, 정치와 종교의 분리를 강조했다.[1]
미르자는 정치인들을 불신했으며, 그들이 나라를 망치고 있다고 생각했다.[8] 그는 권력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파키스탄 정치에서 킹메이커라는 이미지를 구축했다.[1] 잦은 총리 교체와 정치 불안은 파키스탄 군부의 정치 개입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1]
3. 1. 인도 서벵골 주 유산
Hindustan Times|힌두스탄 타임스영어는 2016년 서벵골주 무르시다바드에 있는 이스칸데르 미르자의 가족이 살던 집이 폐허가 되었다고 보도했다.[9]참조
[1]
웹인용
Teething Years: Iskander Mirza
http://www.storyofpa[...]
2003-06-01
[2]
웹인용
President Iskandar Mirza
http://www.president[...]
Government of Pakistan
2012-02-01
[3]
서적
Pakistan in a Nutshell
https://books.google[...]
Enisen Publishing
2017-03-30
[4]
웹인용
Iskander Mirza Becomes President [1956]
http://www.storyofpa[...]
2003-06-01
[5]
웹인용
H. S. Suhrawardy Becomes Prime Minister
http://storyofpakist[...]
2003-07-01
[6]
웹인용
Iskander Mirza
http://www.storyofpa[...]
2003-06-01
[7]
웹인용
I. I. Chundrigar Becomes Prime Minister
http://storyofpakist[...]
2003-06-01
[8]
서적
From Plassey to Pakistan: The Family History of Iskander Mirza
Ferozsons, Lahore
[9]
뉴스
House of Pakistan's first president in Murshidabad in ruins
http://www.hindustan[...]
Hindustan Times
2016-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