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영한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로, 주로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에서 활동했다. 2009년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김택용을 꺾고 4강에 진출하며 이름을 알렸으며, 박카스 스타리그 2010에서는 14연승을 기록하고 김택용에게 강한 면모를 보였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하여 여러 대회에 참가했으며, Tving 스타리그 2012에서 8강에 진출했다. 은퇴 후에는 아프리카TV 스타리그(ASL) 등에서 활동했다. 주요 별명으로는 태풍저그, 5분본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메이드 폭스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위메이드 폭스의 선수 - 김동원 (프로게이머)
김동원은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로, 주로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에서 활동하며 GSL, WCS 등 주요 대회에서 4강, 8강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2017년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스프링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 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 - 강민수 (프로게이머)
강민수는 DreamHack Open: Stockholm,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등에서 우승하고 IEM Season IX - Shenzhen 등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 저그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저그 선수 - 어윤수
어윤수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및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SK텔레콤 T1에서 데뷔 후 GSL에서 활약하며 '콩라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롯데홈쇼핑 KeSPA컵 시즌2에서 우승했고, GSL 10회 연속 진출 기념 '임재덕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영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영한 |
로마자 표기 | Lee Yeong-han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91년 8월 24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양시 |
종족 | 저그 |
아이디 | Shine |
별명 | 코끼리, 1분 본좌, 뽕본좌, 태풍저그, 코파는 기계, 용택이 소환술사, 효손 저그 |
웹사이트 | 이영한 아프리카TV 채널 |
게임 관련 정보 | |
키보드 | DT-35 화이트 |
마우스 | 로지텍 미니옵 |
2. 프로게이머 시절
2009년 10월 14일,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김택용을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스타리그 16강에 진출했다. 10월 24일에는 조병세, 우정호를 꺾고 MSL에 진출했지만 32강에서 탈락했다. EVER 스타리그 2009 16강에서는 2승 1패로 8강에 진출, 8강에서 송병구를 2:1로 꺾고 4강에 진출하여 생애 첫 16강 시드 확보에 성공했다.
2010년 11월 26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에서 김택용을 2: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하며 김택용에게 강한 저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12월 17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에서 같은 팀원인 박성균에게 패배하기 전까지 공식전 14연승(테란전 9연승)을 기록했다.
2010년 12월 20일 STX의 조일장과의 경기를 승리함으로써 저그전 최다 연승 12연승 타이기록을 수립했으나, 12월 27일 웅진의 김명운에게 패배하며 연승이 끊겼다. 공식전 14연승, 저그전 12연승, 테란전 9연승의 가파른 상승세를 달리던 이영한은 박성균에게 패배한 이후 주춤하기 시작했다.
2. 0. 1. EVER 스타리그 2009
2010년 1월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4강에 진출하였다.2. 0. 2. 연승 기록
2009년 10월 14일,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김택용을 꺾는 이변을 일으키며 스타리그 16강에 진출했다. 10월 24일에는 조병세, 우정호를 꺾고 MSL에 진출했지만 32강에서 탈락했다. EVER 스타리그 2009 16강에선 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고, 8강에서는 송병구를 2:1로 물리치고 4강에 진출, 생애 첫 16강 시드 확보에 성공했다.2010년 11월 26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에서 김택용을 2: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하며 김택용에게 강한 저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12월 17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에서 같은 팀원인 박성균에게 패배하기 전까지 공식전 14연승의 기록을 세웠다.(테란전 9연승도 끊겼다. 당시 최다 연승 기록은 15연승)
'''공식전 14연승 일지'''
- 2010.11.13 피디팝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 이영한(Z) vs 박수범(P)
- 2010.11.13 피디팝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 이영한(Z) vs 정우용(T)
- 2010.11.17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민찬기(T)
- 2010.11.24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 이영한(Z) vs 남승현(T)
- 2010.11.24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 이영한(Z) vs 남승현(T)
- 2010.11.26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 이영한(Z) vs 김택용(P)
- 2010.11.26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 이영한(Z) vs 김택용(P)
- 2010.11.27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장윤철(P)
- 2010.11.2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어윤수(Z)
- 2010.12.05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김성대(Z)
- 2010.12.07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차재욱(T)
- 2010.12.10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 이영한(Z) vs 염보성(T)
- 2010.12.1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방태수(Z)
- 2010.12.14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이영한(Z) vs 염보성(T)
- 2010.12.17 박카스 스타리그 2010 - 이영한(Z) vs 박성균(T)-연승 끊김
2010년 12월 20일 STX의 조일장과의 경기를 승리함으로써 저그전 최다연승 12연승 타이기록 수립. 2010년 12월 27일 웅진의 김명운에게 패배함으로써 연승이 끊겼다.
'''저그전 12연승 일지'''
- 2010.04.20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R - 이영한 vs 신동원
- 2010.04.26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R - 이영한 vs 김윤환
- 2010.05.01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R - 이영한 vs 김민철
- 2010.05.25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4R - 이영한 vs 이정현
- 2010.06.2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5R - 이영한 vs 신동원
- 2010.07.07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5R - 이영한 vs 박태민
- 2010.07.18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강 플레이오프 - 이영한 vs 김태훈
- 2010.07.25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준플레이오프 - 이영한 vs 이승석
- 2010.11.2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2R - 이영한 vs 어윤수
- 2010.12.05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2R - 이영한 vs 김성대
- 2010.12.1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2R - 이영한 vs 방태수
- 2010.12.20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2R - 이영한 vs 조일장
- 2010.12.26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2R - 이영한 vs 김명운-연승 끊김
공식전 14연승, 저그전 12연승, 테란전 9연승의 엄청난 상승세를 달리던 이영한은 박성균에게 지면서 주춤하기 시작했다.
2. 0. 3. Tving 스타리그 2012
2012년 Tving 스타리그 2012에서 이영한은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다.2. 1. 스타크래프트 II
- 2013년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24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1 망고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 2013년 2013 WCS Korea Season 1 챌린저리그 12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32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챌린저리그 32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챌린저리그 48강
-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16강
-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32강
- 2015년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A 48강
- 2015년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3 챌린지 24강
- 2016년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A 60강
2. 1. 1. 2013 WCS 코리아 시즌 1
- 2013년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24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1 망고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 2013년 2013 WCS Korea Season 1 챌린저리그 12강
2. 1. 2. 2014 WCS 코리아 시즌 2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16강3. 은퇴 이후
3. 1. 아프리카TV 스타리그 (ASL)
3. 2. 스타크래프트 월드컵 (2018)
4. 주요 기록
4. 1. 스타크래프트
경기 | 승-패 | 승률 | |
---|---|---|---|
대 테란 | 84 | 36–48 | 42.9% |
대 저그 | 60 | 40–20 | 66.7% |
대 프로토스 | 75 | 35–40 | 46.7% |
총합 | 219 | 111–108 | 50.7% |
- 2007년 9월 제33회 커리지매치 입상
- 2008년 1월 제1회 전국 아마추어 e스포츠대회 입상
- 2008년 12월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 2009년 5월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 2009년 11월 NATE MSL 2009 32강
- 2010년 1월 EVER 스타리그 2009 4강
- 2010년 2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16강
- 2010년 7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 2010년 10월 박카스 스타리그 2010 16강
- 2010년 10월 피디팝 MSL 2010 32강
- 2010년 10월 ABC마트 MSL 2011 32강
- 2011년 6월 진에어 스타리그 2011 16강
- 2012년 Tving 스타리그 2012 8강
4. 2. 스타크래프트 II
- 2013년 핫식스 201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24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1 망고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Code S 16강
- 2013년 2013 WCS Korea Season 1 챌린저리그 12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32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챌린저리그 32강
- 2013년 2013 WCS 코리아 시즌 3 챌린저리그 48강
-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16강
- 2014년 2014 WCS 코리아 시즌 3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코드 S 32강
- 2015년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A 48강
- 2015년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3 챌린지 24강
- 2016년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A 60강
5. 별명
- '''태풍저그''' - 이영한이 4강까지 올랐던 EVER 스타리그 2009의 공식맵인 "태풍의눈"에서의 성적이 좋았고, 홍진호를 연상시키는 플레이를 구사하여 붙은 별명이다.
- '''5분본좌''' - 2008년 11월 16일 변형태와의 데뷔전에서 초반 5분간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이후 파이어벳 몇 기에 흔들리며 패배하여 붙은 별명이다.
- '''용택이 소환술사''' - 김택용의 경기력이 좋지 않을 때 김용택으로 불리는 점을 이용하여, 이영한이 김택용을 만날 때마다 김택용의 경기력이 나빠지는 것을 빗댄 별명이다. 그러나 최근 김택용에게 연패를 하며 의미가 퇴색되었다.
- '''코파는 기계''' - 김택용의 별명인 '코'에서 유래된 별명으로, '용택이 소환술사'와 같은 이유로 붙여졌으나, 역시 김택용에게 연패하며 잘 쓰이지 않는다.
- '''잉여한''' - 이영한을 빠르게 입력할 때 생기는 오타에서 유래된 별명이다.
- '''할머니저그''' - 할머니가 응원하러 올 때마다 경기력이 향상된다는 데서 붙은 별명이다.
- '''효손 저그''' - 할머니가 응원하러 올 때마다 좋은 경기력을 보여 '효도하는 손자'라는 의미로 붙은 별명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