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희 (물리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영희는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다. 전북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미국 켄트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취리히 IBM 연구소, 미시간 주립 대학교 등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및 에너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Nature, Nature Materials, Science 등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수당상, 경암상, 대한물리학회 성봉물리학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다양한 학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켄트 주립 대학교 동문 - 돌프 지글러
돌프 지글러는 "The Showoff"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프로레슬러 겸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 WWE에서 다양한 챔피언십을 석권하고 독립 리그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뛰어난 경기 실력과 쇼맨십을 선보이고 있다. - 켄트 주립 대학교 동문 - 나이절 맥기니스
나이절 맥기니스는 독특한 기술과 음악으로 유명한 프로 레슬러로, ROH와 TNA 등에서 챔피언을 지냈으며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악을 등장 음악으로 사용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기초과학연구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 신의철
신의철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하며, 바이러스 감염 및 암에 대한 T 세포 반응 연구를 통해 여러 학술상을 수상한 의학자이다.
| 이영희 (물리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이영희 |
| 출생일 | 1955년 7월 28일 |
| 출생지 | 김제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
| 출신 대학 | 켄트 주립 대학교 |
| 박사 지도교수 | 마이클 A. 리 |
| 경력 | |
| 직업 | 물리학과 교수 |
| 소속 | 성균관대학교 |
| 수상 | |
| 2010년 |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도 연구 개발 분야 100대 대표 연구 선정 |
| 2008년 | 과학 교육 대통령상 |
| 2007년 | 리쉰 연구상, 중국과학원 금속연구소, 중국 |
| 2005년 | 교육인적자원부 "국가 석학" 선정 |
2. 학력
1982년 전북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2] 1986년에는 미국 켄트 주립 대학교에서 Michael A. Lee|마이클 A. 리eng의 지도 아래 "고전 및 양자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 CS2의 Kerr 효과 분자 동역학 및 원자 내 전자 상관 에너지의 그린 함수 몬테카를로 계산"이라는 주제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2]
이영희는 1982년 전북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미국 켄트주립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및 에너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이영희는 총 SCI 논문 350여 편을 게재하였으며, 이 중에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인 네이처(Nature) 1편,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 1편, 사이언스(Science) 1편, PNAS 1편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7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8편,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5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13편, 바이오머티리얼스(Biomaterials) 1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1편, ACS 나노(ACS Nano) 17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Applied Physics Letters) 25편, 피지컬 리뷰 B(Physical Review B) 27편 등 다수의 우수 논문을 발표했다.
3. 경력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기간 내용 소속 기관 1987년 3월 – 2001년 2월 조교수, 정교수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1989년 – 1990년 방문교수 미국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에임스 국립연구소 물리학과 1993년 방문 연구원 스위스 취리히 IBM 연구소 1996년 – 1997년 방문교수 미국 미시간 주립 대학교 물리학과 2001년 3월 – 현재 교수, SKKU 펠로우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2006년 3월 – 2010년 2월 사업단장 BK21 물리연구단 2007년 – 현재 정회원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2008년 9월 – 현재 교수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2008년 12월 사업단장 WCU 사업단 2008년 12월 – 2013년 8월 학과장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2012년 12월 – 현재 연구단장 기초과학연구원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4. 연구 업적
그의 연구 업적은 네이처(Nature),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 뿐만 아니라 네이처 자매지인 아시아 머티리얼스(Asia Materials), 머티리얼스 뷰(Materials view), 나노워크(Nanowerk)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소개되었다. 또한,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JPCC 등 주요 저널의 표지에 총 11회 선정되었으며, 일부 연구 결과는 KBS1 뉴스, SBS, YTN 및 각종 일간지에 보도되어 대중에게 알려지기도 했다.
연구의 영향력 측면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게재된 논문 중 상위 10% 저널에 실린 논문이 100여 편에 달하며, 100회 이상 인용된 논문도 30편에 이른다. 총 인용 횟수는 16,800회를 넘고, 연구자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H-index는 59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가진 학자로 평가받는다.
기초과학 연구에 그치지 않고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여, 국외 특허 57건과 국내 특허 1118건을 출원하며 기초과학의 산업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미국 재료 학회(Material Research Society),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 국제 나노튜브 콘퍼런스(International Nanotube Conference), 국제광공학회(SPIE) 미팅, 미국 광물 금속 재료 학회(TMS) 미팅 등 저명한 국제 학회에서 110회 이상 초청 강연을 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진 과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논문발표 연도 제목 학술지 2012 광학 현미경으로 그래핀 결정립계 탐구 네이처 2013 고도로 신축성 있고 투명한 그래핀/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위한 주름진 Al2O3 전사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1 유연하고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위의 작은 히스테리시스 나노 탄소 기반 집적 회로 나노 레터스 2009 도핑이 없는 양극성 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적응형 논리 회로 나노 레터스 2009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폴리-니켈 기판 위에 대면적 그래핀 층 합성: 주름 형성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5. 수상
6. 기타 활동
- 2000년–현재: 《탄소 레터스》 부편집장
- 2001년–현재: 한국물리학회 회원
- 2001년–2006년: 《나노과학 및 나노기술 저널》 부편집장
- 2006년–2010년: 《나노》 편집장
- 2008년–현재: SPIE 컨퍼런스 의장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및 관련 장치 III)
- 2008년–현재: IWEPNM 프로그램 위원회
- 2009년 11월–현재: 《유럽 물리 저널: 응용 물리학》 부편집장
- 2009년–2010년: 나노튜브 컨퍼런스 국제 자문 위원
- 2009년–현재: 한국탄소학회 프로그램 위원회
- 2010년–현재: 재료 연구 학회 회원
- 2012년–현재: MRS 회의 의장
참조
[1]
웹사이트
IBS Places First Among Korean Institutions by Featuring 9 Scientists in List of Highly Cited Researchers
https://www.ibs.re.k[...]
null
2018-12-04
[2]
웹사이트
Seven IBS Scientists Named World's Most Highly Cited Researchers: Accounting for 13.1% of Korea's scientists on the list
https://www.ibs.re.k[...]
null
2019-11-20
[3]
웹사이트
제15회 경암상에 이근·이영희 교수 등 4명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19-09-24
[4]
웹사이트
제15회 경암상 수상자 선정
https://www.hankooki[...]
null
2019-09-23
[5]
뉴스
논문 피인용수 노벨상 수상 수준 도달 한국 과학자 6명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