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균관대학교는 1398년 설립된 조선 시대 최고의 교육 기관으로, 현재는 인문사회과학캠퍼스와 자연과학캠퍼스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유교 정신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고전대학, 근대대학, 현대대학 시대를 거쳐 발전해 왔다. 학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삼성, 현대자동차 등과의 연구 협력을 통해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국제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글로벌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으며,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8년 설립 - 성균관
성균관은 고려 국자감에서 기원하여 1398년 한양에 설립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으로, 유생 교육과 유교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 1398년 설립 - 장미용병대
장미용병대는 현재 알려진 내용이 없는 항목이다. - 성균관대학교 - 김명호 (1957년)
김명호는 수학자 출신 법률가로, 대학입시 본고사 문제 오류 지적 후 재임용 거부 처분을 받고, 자신의 소송 담당 판사에게 석궁을 쏜 '석궁 사건'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며, 이 사건은 영화 《부러진 화살》의 모티브가 되었다. - 성균관대학교 - 선조 기축년사초
선조 기축년사초는 기축옥사 관련 사건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선조실록》의 누락된 기록을 보충하여 당시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사초 수정 흔적을 통해 정치 상황과 권력 관계, 역사 기록 방식 등을 엿볼 수 있는 조선왕조실록 편찬 과정 연구에 기여하는 사초이다. - 수원시의 학교 -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서울에 설립되어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수원과 서울에 캠퍼스를 운영하는 사립 대학이다. - 수원시의 학교 -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는 1972년 아주공업전문대학으로 시작하여 1977년 대우그룹의 지원으로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1981년 종합대학 승격 후 아주대학교병원 개원과 더불어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 국제 교류, 혁신적인 교육 및 연구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인, 의, 예, 지 |
교훈 (한자) | 인의예지 |
교훈 (영어) |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
설립일 | 1398년 |
대학 지위 부여 | 1946년 |
유형 | 사립 |
총장 | 유지범 |
학생 수 | 34,441명 |
학부생 수 | 25,049명 |
대학원생 수 | 9,392명 |
위치 | 서울특별시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수원시 (자연과학캠퍼스) |
국가 | 대한민국 |
캠퍼스 | 도시 |
교색 | 파랑 라임 녹색 주황 진녹색 |
상징 동물 | 은행나무 |
웹사이트 | 성균관대학교 |
![]() | |
한국어 표기 | 성균관대학교 |
한자 표기 | 成均館大學校 |
로마자 표기 | Seonggyungwan Daehakgyo |
일본어 표기 (가타카나) | ソンギュングァンデハッキョ |
일본어 표기 (히라가나) | せいきんかんだいがっこう |
영어 표기 | Sungkyunkwan University |
연혁 | |
설립 | 1398년 성균관 |
대학으로 승격 | 1946년 |
캠퍼스 | |
캠퍼스 | 서울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수원 (자연과학캠퍼스) 판교캠퍼스 |
캠퍼스 위치 (인문사회과학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
캠퍼스 위치 (자연과학캠퍼스)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
캠퍼스 위치 (판교캠퍼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89번길 20 |
교지 면적 | 1,310,352㎡ |
교사 면적 | 500,774㎡ |
조직 | |
학부 | 학부대학 유학대학 문과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제대학 경영대학 사범대학 예술대학 자연과학대학 정보통신대학 공과대학 생명공학대학 스포츠과학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
대학원 |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의학계열 |
기타 | |
재학생 수 (학부) | 25,916명 (2020년) |
재학생 수 (대학원) | 8,639명 (2020년) |
교직원 수 | 3,475명 (2020년) |
학교 법인 | |
학교 법인 | 성균관대학 |
이사장 | 박재완 |
2. 역사
성균관대학교의 역사는 고대 대학, 근대 대학, 현대 대학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고대 대학 시대에는 조선 태조 때 성균관이 설립된 이후 성종 때까지 건물이 건축되고 제도가 정비되면서 최고의 국립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연산군 때부터 경종 때까지는 침체기를 겪었는데, 임진왜란으로 인해 건물이 불타 없어지기도 했다. 영조 때부터 갑오개혁 때까지는 부흥기를 맞이하여 실학 학자들을 중심으로 교육 제도 개혁이 추진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고전대학시대 참조)
개화기 이후, 1895년부터 한국의 일본 병합(1910년)까지 성균관은 근대 대학으로 전환되었다. 3년제 경학과가 설치되었고, 역사, 지리, 수학 등 다양한 과목이 개설되었다. 교수 임명 제도, 입학 및 졸업 시험 제도, 학기제가 도입되는 등 근대적인 제도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 최고의 학교라는 지위를 잃었다. (자세한 내용은 근대대학시대 참조)
1945년 해방 이후, 김창숙은 성균관을 교육 중심지로 부활시키는 재단을 설립하였다.[10] 성균관대학교는 전국 유림들의 기부금과 향교 재산을 모아 재건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대학시대 참조)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398년 | 성균관의 전신 설립.[39][40] |
1945년 | 유학자들의 요청으로 성균관대학기성회 설립. |
1946년 | 성균관대학교(Sungkyunkwan University) 설립. |
1953년 | 성균관대학교로 개칭. |
1963년 |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을 학교법인 성균관대학교로 개편. |
1979년 | 자연과학캠퍼스 준공. |
1990년 | 건학 600주년 기념사업회 설립. |
1996년 | 삼성재단이 학교 운영에 참여. |
1998년 | 건학 600주년 기념식 거행. |
2004년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슬론 경영대학원과 공동으로 경영대학원(SKK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KK GSB) 신설. |
2. 1. 고전대학시대 (1398년~1894년)
성균관은 1398년에 설립되어 조선에서 가장 명망 있는 교육 기관이었다.[9] 그 이름은 '만들다'(成|성중국어), '조화로운 사회'(均|균중국어), '기관'(館|관중국어)을 의미한다.[9]성균관대학교의 역사는 크게 고전대학시대, 근대대학시대, 현대대학시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고전대학시대는 1398년에서 1894년까지를 말한다. 이 때는 전통적인 유교 교육이 행해졌으며 제도적 운영 또한 고전적이었다.
고전대학시대는 다음과 같이 3기로 나눌 수 있다.
- 제1기는 '''건학기'''로 1398년에서 1494년까지, 즉 태조 때 성균관의 건립로부터 성종 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그 시기에는 성균관의 건립과 더불어 제도상의 정비, 운영상의 시책이 적극적으로 베풀어져 최고 국립대학의 체제가 완성되었다. 한민족 국가의 최고학부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서기 3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조 시대의 유일한 국립대학이었던 성균관은 이 때의 태학과 맥락을 같이 한다. 그러나 성균관대학교는 건학원년을 1398년으로 잡고 있으며, 이는 성균관이라는 교명과 현 학교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즉 조선 개국 후 태조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하고 서둘러 숭교방(현재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위치)에 성균관을 개설하였는데, 이것이 성균관대학교 역사의 시초다.[65]
- 제2기는 '''정체기'''로 1495년에서 1724년까지, 즉 연산군 때부터 경종 때까지가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연산군의 폭정으로 성균관이 한때 잔치를 벌이는 곳으로 전락[66]하여, 비로소 중종의 즉위 후 원상 복구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 또 선조 때에는 임진왜란으로 성균관이 소실되었다가 선조 34년에 문묘가 재건되고 5년 뒤에는 명륜당이 중건되는 곡절을 겪었다.
- 제3기는 '''부흥기'''로 1725년에서 1894년까지, 즉 영조 때부터 갑오경장 때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 문예적 부흥기를 맞아 성균관의 교육도 자못 활기를 띠었고, 또 실학자들에 의하여 교육제도에 대한 개혁론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이 학교는 중국 고전, 유교 경전 및 당대 문학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지식을 국가 통치 및 인간 본성 이해에 적용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유교 성현들을 위한 사당(문묘 참조) 역할을 하였으며, 그들과 그들의 가르침을 기리는 의례가 정기적으로 거행되었다.
이 학교는 서울 성곽 안 한성(현대 서울) 즉 조선 시대 한국의 수도에 위치해 있었다. 그것은 고려 시대의 국자감의 사례를 따랐는데, 국자감은 후대에 "성균관"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이황과 이이를 포함한 수많은 한국 역사적 인물들이 성균관에서 수학하고 졸업했다.
'''주요 연혁'''
연도 | 사건 |
---|---|
1398년 | 조선 태조 때 성균관 설립.[39][40] |
1475년 | 성균관 내에 최초의 도서관인 존경각 설립. |
1519년 | 대학의 상징인 은행나무가 심어짐. (현대에 천연기념물 제59호로 지정) |
1592년 | 임진왜란에 의해 문묘가 전소되었음. |
1601년 | 선조에 의해 문묘 재건. |
2. 2. 근대대학시대 (1895년~1945년)
1895년 칙령으로 성균관에 3년제 경학과가 설치되었으며 역사, 지리, 수학 등 각종 강좌가 개설되었다. 동시에 교수임명제와 입학·졸업시험제가 실시되었으며 학기제가 도입되었고, 연간 수업일수와 주당 강의시간수를 책정하는 등 근대적인 제도 개혁이 단행되었다. 이로써 성균관은 고전대학으로부터 근대대학으로 일대 전환을 맞게 되었다.일제강점기 성균관은 조선 최고 학부로서의 교육 기능을 상실당하였으며, 석전향사(釋奠享祀)와 재산 관리를 주 임무로 하는 기관으로 변모하였다.[67] 그 뒤 전국 유림들에 의한 성균관 교육 기능 회복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 1930년 경학원 안에 명륜학원이 설치되었다가 다시 명륜전문학원으로 개편, 1942년 재단법인 명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아 신입생을 선발하고 교육하기 시작하였다.[68] 그러나 이마저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1944년 명륜연성소로 개편되어 그 빛을 잃게 되었다.
성균관대학교 측 입장에 의하면, 명륜전문학교는 과거 조선 최고 학부였던 성균관의 정통, 즉 '바른 계통'을 온전히 계승한 것으로는 볼 수 없으며 그 정통의 계승은 후에 성균관대학의 설립으로 실현되는 것이다.[65]
연도 | 사건 |
---|---|
1895년 | 성균관이 3년제 경학과를 지닌 근대 대학으로 전환. |
1911년 | 조선총독부에 의해 경학원으로 강제 개명. |
1930년 | 경학원 안에 명륜학원이 설치됨. |
1939년 | 명륜학원이 명륜전문학원으로 승격. |
1942년 | 재단법인 명륜전문학교가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음. |
1943년 |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명륜전문학교 폐교. |
1944년 | 명륜전문학교를 명륜연성소로 개편. |
2. 3. 현대대학시대 (1945년~현재)
1945년 해방과 더불어 명륜전문학교가 부활하였고[69] 경학원이 성균관으로 명칭을 회복하였다.[70] 같은 해 11월 김창숙의 주도로 전국유림대회가 열려 전국에서 천여 명의 대표 유림들이 성균관 명륜당에 모였다. 김구가 위원장을, 이승만이 고문을 역임하였다.[71] 이후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할 대학의 수립을 위하여 성균관대학 기성회가 조직되었고, 종전의 명륜전문학교 재단을 통합하여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설립되었다. 이듬해인 1946년 9월 25일 문교부로부터 성균관대학이 정식으로 인가되었으며 김창숙이 초대 학장 및 성균관장에 취임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국 향교로부터 재산을 갹출받았으며 전국 유림들이 기부금을 냈다.[72] 설립 과정에서 학봉 이석구가 재단법인 학린사의 거대한 토지재산을 희사하였다.이처럼 성균관의 정통을 계승하여 출범한 성균관대학은 문학부와 정경학부의 2개 학부로 구성되었다. 동양철학과, 문학과(국문학전공, 영문학전공, 불문학전공), 사학과가 문학부에 속하였으며 법률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가 정경학부에 속하였다. 그러나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고 성균관대학은 부산으로 피난하여 부산고등학교 안의 임시 천막교사로, 그리고 부산시 동대신동의 임시교사로 전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성균관대학은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54년 석조 본관이 준공되었다. 나아가 1963년 사립학교법으로 인해 기존의 재단법인 성균관대학이 개편되어 '학교법인 성균관대학'과 정부기관 산하의 '재단법인 성균관'으로 분리되었다.
연혁 |
---|
삼성은 1965년부터 1977년까지, 그리고 1996년에 다시 성균관대학교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11] 이를 통해 성균관대학교는 연구 기반 시설과 인적 자원 관리를 강화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 이동 통신 공학, 에너지 공학, 나노 기술, 경영, 의학, 법학 분야의 교육 과정 개발에 기여했다.[12]
성균관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에 위치한 '''인문사회과학캠퍼스'''(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역)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에 위치한 '''자연과학캠퍼스'''(수도권 전철 1호선 성균관대역)의 이원화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캠퍼스의 소속 전공은 문, 이과의 구분에 따라 나뉘어 있다.
3. 조직
삼성 글로벌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15~25명의 학생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프로그램이나, MIT 슬론 경영대학원(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노스웨스턴 대학교 켈로그 경영대학원(Northwestern University's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미시간 대학교 로스 경영대학원(University of Michigan's Ross School of Business), 다트머스 대학교 턱 경영대학원(Dartmouth College's Tuck School of Business), 인디애나 대학교 켈리 경영대학원(Indiana University's Kelley School of Business), 싱가포르 경영대학교(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등 해외 유수 경영대학과 협력 관계를 맺은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SKK GSB)에 입학한다.[13]
3. 1. 학부
3. 2. 대학원
2010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민간연구비를 수주받은 대학으로 알려져 있으며, 총 연구비와 중앙정부 연구비에서는 3위를 기록하였다.[74] 기숙사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층별로 분리되어 거주한다.[21] 1인실, 2인실, 4인실 스위트룸 등 다양한 유형의 방이 있으며, 이용 가능 여부는 필요성, 비용 및 학업 성적에 따라 달라진다. 모든 방에는 가구가 비치되어 있으며, 에어컨과 무료 WiFi가 제공된다. 신관에는 장애인 학생들을 위한 특별 1인실이 마련되어 있다.
학과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인문사회계열 | 예술체육계열 | 자연과학계열 | 공학계열 | 의학계열 |
---|---|---|---|---|
4. 국제 교육 및 교류
성균관대학교는 학부생의 10% 이상이 유학생일 정도로 국제 교류가 활발하다. 2013년에는 2,700명이 넘는 유학생이 성균관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매년 2,000명 이상의 한국 학생들이 해외로 유학을 가고 있다.[27] 성균관대학교는 73개국 이상의 653개 이상의 대학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21개의 해외 기관과 이중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7]
4. 1. 국제하계학기(International Summer Semester)

2008학년도에 시작된 국제하계학기는 글로벌 이슈에 관한 세계적 명성과 강의, 연구 능력을 갖춘 교수팀을 초빙하여 재학생에게 국제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개설되었다. 2008학년도에는 'Culture, Business & Technology in East Asia'를 주제로 약 3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2009학년도에는 'Sustainable Global Prosperity'를 주제로 5개의 트랙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이 개설되었으며 40여 개국·96개 대학의 외국학생이 참가하였다.
국제하계학기에서는 세계 각국의 젊은이들과 함께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국제적 감각을 함양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 주어진다. 또한 Global Forum, 한국문화 체험, 필드트립, 캠퍼스 문화활동, 공연관람, Summer Night Party 등을 통해 외국학생과 재학생은 서로 어울리고 교류하며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2010학년도 국제하계학기에는 'Recovery & Prosperity: Post Crisis & New Future'를 주제로 5개 트랙(Recovery, Post Crisis, Prosperity, The Future, East Asia)을 기반으로 총 21개 코스가 개설되었다. 매년 국제하계학기 홈페이지에서 당해 연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2010학년도 국제하계학기 코스 및 수업 | |
---|---|
Recovery Track | Global Recovery: Reality and Weakness / Business Success and Failure: Learning from the Crisis / Corporate Leadership in Recovery / Successful Innovation: Case Studies |
The Future | Future Energy Development / Emerging Technologies and Future Business / Virtual Communities: The Age of the Avatar / City Design and Renewal |
Post Crisis | Social and Political Risk after the Crisis / Rethinking of Capitalism / Labor Migration in a Global Era / Social Enterprise |
East Asia | Confucianism in a Global Era / History within the Triangle (Korea, China, and Japan) / Leadership and Innovation in the Oriental Classics / Economic Collaboration: East and West / Classical Oriental Poetry |
Prosperity | Diaspora and the New Generation / Creative Mind in Life / Industrial Ecology: Business and the Environment / City Branding |
5. 연구
삼성은 1965년부터 1977년까지, 그리고 1996년에 다시 성균관대학교(SKKU)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성균관대학교는 이 파트너십이 세계화 추진과 우수한 졸업생 양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한다.[11] 이 파트너십을 통해 연구 인프라와 인적 자원 관리가 강화되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 모바일 통신 공학, 에너지 공학, 나노 기술, 경영, 의학, 법학 분야의 교육 과정 개발에도 기여했다.[12]
삼성 글로벌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15~25명의 학생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프로그램에 선발되거나, MIT 슬론 경영대학원(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컬럼비아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 켈로그 경영대학원(Northwestern University's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미시간 대학교 로스 경영대학원(University of Michigan's Ross School of Business), 다트머스 대학교 턱 경영대학원(Dartmouth College's Tuck School of Business), 인디애나 대학교 켈리 경영대학원(Indiana University's Kelley School of Business), 싱가포르 경영대학교 등 해외 유수 경영대학과 파트너십을 맺은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SKK GSB)에 입학한다.[13]
본교는 삼성, 현대자동차, 그리고 정부 기관의 지원을 주로 받는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연구자로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선정한 클래리베이트 인용 우수 연구자 박남규(2017)[22] 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학 연구단장 이영희(Lee Young-hee) 교수[23]가 있다. 두 과학자 모두 ''네이처''에 논문을 자주 발표한다.
성균관대학교 나노과학기술원(SAINT, Sungkyunkwan Advanced Institute of Nanotechnology)은 2005년 3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세계 100대 대학 진입을 목표로 하는 성균관대학교의 비전 2010+ 계획의 4대 핵심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삼성종합기술원의 재정 지원을 받아 세계 5대 나노기술 연구소 중 하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SAINT 원장은 이성주이다.[24]
N센터는 이영희 교수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nstitute for Basic Science)의 통합나노구조물리학센터(Center for Integrated Nanostructure Physics)[25]와 김성기 교수가 이끄는 뇌과학영상연구센터(Center for Neuroscience Imaging Research, CNIR)[26]를 수용하고 있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삼성서울병원에서 훈련을 받으며, 캠퍼스의 많은 학생들은 1학년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이다.
6. 캠퍼스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는 예술 관련 학과들과 함께 서울 중심부에 위치하며, 창덕궁과 창경궁이 있는 언덕과 같은 지역에 있다. 1394154m2 규모의 캠퍼스는 명륜동에 있으며, 대학로 근처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혜화역(4호선)이며, 학교에서는 역과 캠퍼스를 오가는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다.[21]
자연과학, 공학, 의학, 체육학과를 갖춘 자연과학 캠퍼스는 수원시 북서쪽 율전동의 성균관대역에서 도보 거리에 있다. 서울 남쪽 45km에 위치한 이 캠퍼스는 101ha 규모로 1978년에 설립되었다. 2199187m2의 면적으로 서울 캠퍼스보다 넓어 체육 시설과 식물원이 조성되어 있다.[21]
기숙사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층별로 분리되어 거주한다.[21] 1인실, 2인실, 4인실 스위트룸 등 다양한 유형의 방이 있으며, 이용 가능 여부는 필요성, 비용 및 학업 성적에 따라 달라진다. 모든 방에는 가구가 비치되어 있으며, 에어컨과 무료 WiFi가 제공된다. 신관에는 장애인 학생들을 위한 특별 1인실이 마련되어 있다.[21]
7. 부속 기관
- '''성균어학원'''
한국어의 세계화와 학교 내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정규·단기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나아가 재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교류를 위한 '봉사도우미 Friends' 제도를 운영하여 교내 학생-연수생간 언어 교환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어 운영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종류 | 내용 |
---|---|
[http://koreansli.skku.edu 한국어과정 운영] | |
e+ Global Zone 운영 | 글로벌언어와 문화를 체험하고 국제화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외국어 학습,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 |
- '''성균나노과학기술원(SAINT)'''
2009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이지마 스미오(Sumio lijima) 박사가 현재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영문 명칭 'SKKU Advanced Institute of Nanotechnology'를 줄여 '''SAINT'''라 부르기도 한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진이 구축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Graphene Nano Device팀, Nano-based Solar Cell Technology팀, Flexible OLED팀, 생체 재료기반 나노복합체 및 소자기술팀의 융복합 연구그룹으로 구분된다. 친환경에너지자동차부품소재연구센터와 나노소재기반휴먼인터페이스융합연구센터가 소속되어 있다. SCIE(과학기술논문 추가 인용색인)급 국제저널인 NANO[http://www.worldscinet.com/nano/nano.shtml]를 발간하고 있다.
-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술원은 유학사상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전통 문화와 현대 문제를 연구함으로써 민족문화를 창달하고 국제적 상호이해를 돈독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0년 3월 1일에 설립되었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유교정신(儒敎情神)을 건학이념(建學理念)으로 하는 성균관대학교는 오랫동안 동아시아학 진흥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성균관의 오랜 염원에 힘입어 설립된 동아시아학술원은 국제 동아시아학 학계의 중심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으며 21세기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될 동아시아 문화를 미래지향적 관점에 입각하여 연구하고 있다. 또한, 연구와 교육을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학문 전략을 수립하고, 연구 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동아시아학술원은 기존의 학문 분류 체계를 묵수(墨守)하지 않고, 통합학문적 연구를 통해 연구와 교육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Research Cluster, 산하연구소(원), 대학원 및 학부 교육과정, 자료정보 지원 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으며, 각 단위의 유기적 통일성을 제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산하 기관으로 [https://ddmh.skku.edu/ddmh/index.do 대동문화연구원], [http://ygmh.skku.edu/ 유교문화연구소], [https://milaegachi.skku.edu/milaegachi/index.do 동아시아미래가연구소]와 [https://kgss.skku.edu/kgss/index.do 서베이리서치센터]를 가지고 있다.
- '''삼성 학술정보관'''
2009년에 건립된[28] 이 도서관은 일반적인 도서관 기능 외에도 학생들이 영화를 볼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실과 수면실을 갖추고 있다.[29]
- '''SKKU 러닝 팩토리'''
SKKU 러닝 팩토리(SKKU Learning Factory)는 자연과학 캠퍼스에 위치한 학생 시설로,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CNC 라우터 및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 제품으로 물리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곳이다. 이 센터는 융합 기반 창의 정보 인력 양성팀(Fusion Based Creative Informatic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eam)에 의해 설립되었다.[30]
8. 부설 교육기관
성균관대학교는 한국어의 세계화와 학교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정규·단기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
또한, 재학생과 외국인 유학생 간의 국제 교류를 위해 '봉사도우미 Friends' 제도를 운영하여 언어 교환 기회를 제공한다.[1] 한국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1]
- 한국어 과정 운영:
- 수준 높은 교육 과정, 효과적인 교수법, 자체 개발 교재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1]
- 정규 과정은 1년에 6개 학기로 운영된다.[1]
- 단기 과정은 1년에 2회, 여름에 2주 또는 3주 과정으로 개설된다.[1]
- 레벨 테스트를 통해 1급(초급)부터 6급(고급)까지 수준별 학습을 제공한다.[1]
- 오후 문화 체험 클래스와 TOPIK 대비반을 운영한다.[1]
- Friends 제도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과 재학생 간의 교류 및 한국어 학습을 지원한다.[1]
- '''e+ Global Zone' 운영**:
- 글로벌 언어와 문화를 체험하고 국제화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외국어 학습 및 교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다.[1]
9. 저명한 동문
성균관대학교는 정치, 외교, 공공 서비스,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
9. 1. 정치, 외교, 공공 서비스
- 황교안: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이자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다.[42]
- 이완구: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였다.[43]
- 정홍원: 전 대한민국 국무총리였다.[44]
- 이영진: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이다.
- 박병석: 대한민국 국회의장이자 대전광역시 서구 국회의원이다.[41]
- 양승조: 충청남도지사이자 전 천안시 국회의원이다.
- 고창수: 전 시애틀 (워싱턴주) 총영사이자 전 에티오피아 및 파키스탄 대사이다.
-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이다.
- 정병국: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자 여주시 및 양평군 국회의원이다.
- 안규백: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국회의원이다.
- 박용진: 서울특별시 강북구 국회의원이다.
- 최경환: 광주광역시 북구 국회의원이다.
- 조희대: 대법원장으로 지명되었다.
- 유은혜: 전 교육부 장관이다.
9. 2. 스포츠
성균관대학교 체육학과 산하에는 야구부, 플로어볼부, 테니스부, 농구부, 축구부, 배구부, 크리켓부 등 여러 학생 스포츠 동아리가 있다.[31] 자연과학 캠퍼스에는 축구장, 농구장, 테니스장, 육상 트랙, 야구장이 있다.성균관대학교 출신 주요 스포츠 선수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선수 | 종목 | 포지션/경력 |
---|---|---|
한홍규 | 축구 | 충주 험멜 FC 미드필더 |
정광석 | 축구 | 은퇴, 용인시청 FC 감독 |
김덕일 | 축구 | 성남 FC 포워드 |
김인성 | 축구 | 전북 현대 모터스 미드필더 |
김미현 | 골프 | 프로 골퍼 |
이호진 | 축구 | 수비수 |
이종원 | 축구 | 성남 FC 미드필더 |
이상기 | 축구 | 수원 FC 골키퍼 |
임중용 | 축구 | 은퇴, 코치 |
임성진 | 배구 |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선수 |
모창민 | 야구 | NC 다이노스 내야수 |
노진혁 | 야구 | NC 다이노스 유격수 |
윤덕여 | 축구 | 은퇴, 감독 |
김병현 | 야구 | 전 메이저리그 투수, 중퇴[46] |
전광인 | 배구 | 국가대표[32] |
서재덕 | 배구 | 국가대표[33] |
9. 3. 엔터테인먼트

- 배용준, 배우 겸 사업가[53]
- 카를로스 고리토(Carlos Gorito), 한국 거주 브라질 출신 텔레비전 인물
- 차은우, 배우, 남성 아이돌 그룹 아스트로 멤버[50]
- 은서, 한국계 중국인 여성 아이돌 그룹 우주소녀 멤버
- 고아성, 배우
- 한수연, 배우
- 허영주, 전 여성 아이돌 그룹 씨야 멤버
- 황인선, 가수
- 효민, 배우, 여성 아이돌 그룹 티아라 멤버[52]
- 전성우, 배우
- 지현우, 배우[49]
- 조보아, 배우
- 주원, 배우[48]
- 정혜성, 배우
- 강지영, 배우, 전 여성 아이돌 그룹 KARA 멤버
- 김대명, 배우
- 김가영, 배우, 전 여성 아이돌 그룹 스텔라 멤버
- 김혜수, 배우
- 김무열, 배우
- 김남주, 여성 아이돌 그룹 에이핑크 멤버[47]
- 고성희, 배우
- 정수정(Krystal Jung), 한국계 미국인 배우, 여성 아이돌 그룹 f(x) 멤버
- 곽정욱, 배우
- 구혜선(Koo Hye-sun), 배우[48]
- 이엘, 배우
- 이민정, 배우
- 이시아, 배우, 전 여성 아이돌 그룹 CHI CHI 멤버
- 이태환, 배우, 전 남성 아이돌 그룹 서프라이즈 멤버
- 문가영, 배우[54]
- 문근영, 배우[55]
- 문소리, 배우[56]
- 박철수, 영화 감독 및 각본가
- 박주미, 배우[51]
- 박강현, 뮤지컬 배우, 크로스오버 아티스트, 가수, TV 드라마 배우
- 박세완, 배우
- 박솔미, 배우
- 박소현, 배우
- 서지혜, 배우
- 서신애, 배우
- 신예은, 배우
- 송중기, 배우[48]
- 스윙스(Swings)(문지훈), 래퍼
- 유이, 배우, 전 여성 아이돌 그룹 애프터스쿨 멤버
- 양혜지, 배우
- 차승원, 배우[51]
9. 4. 역사적 인물
성균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을 배출했다.[9] 이황(李滉), 이이(李珥) 등 유명한 학자들이 성균관에서 수학하고 졸업했다.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했거나 성균관대학교와 관련된 주요 역사적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생몰년 | 주요 업적 | 성균관 관련 | 비고 |
---|---|---|---|---|
황희(黃喜) | 1363-1452 | 조선 초기 영의정 | -- | |
정인지(鄭麟趾) | 1396-1478 | 조선 초기 문화와 과학 발전에 기여한 영의정 | 1411년 입학 | ![]() |
최항(崔항) | 1409-1474 | 문신, 『경국대전』 편찬 | 1434년 입학 | ![]() |
문종(文宗) | 1414-1452 | 성균관에 입학한 첫 번째 왕세자 | 1421년 입학 | -- |
신숙주(申叔舟) | 1417-1475 | 조선 초기 정치가이자 외교관 | 1438년 입학 | -- |
세조(世祖) | 1417-1468 | 조선 제7대 국왕 | 1430년 입학 | -- |
이개(李介) | 1417-1456 | 사육신, 『동국정운』 편찬 | 1436년 입학 | |
김종직(金宗直) | 1431-1492 | 『동국여지승람』 편찬 | 1453년 입학 | -- |
조광조(趙光祖) | 1482-1519 | 문묘배향, 전국적으로 향약 장려 | 1510년 입학 | -- |
이황(李滉) | 1501–1570 | 『성학십도(聖學十圖)』 저술 | 1523년 입학 | -- |
휴정(休靜) | 1520-1604 | 임진왜란 당시 승병 | 1537년 입학 | -- |
이이(李珥) | 1536-1584 | 문묘배향, 『성학집요(聖學輯要)』 저술, 조선 성리학 정립 | 1558년 입학 | -- |
류성룡(柳成龍) | 1542-1607 |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 『징비록』 저술 | 1565년 입학 | ![]() |
김장생(金長生) | 1548-1631 | 성균관 사업, 문묘배향 | 1623년 입학 | -- |
윤선도(尹善道) | 1587-1671 | 『고산선생유고(孤山先生遺稿)』 저술 | 1612년 입학 | -- |
허목(許穆) | 1565-1682 | 성균관 제주 | 1675년 입학 | -- |
윤휴(尹鑴) | 1617-1680 | 성균관 사업, 주희 학설 비판 | 1675년 입학 | ![]() |
권상하(權相夏) | 1641-1721 |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비판 | 1660년 입학 | -- |
박문수(朴文秀) | 1691-1756 | 성균관 전적, 어사 역임 | -- | |
영조(英祖) | 1694-1776 | 탕평책, 균역법 시행 | 1722년 입학 | -- |
정약용(丁若鏞) | 1762-1836 | 실학의 대표 학자,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등 500권 이상 저술 | 1783년 입학 | -- |
박규수(朴奎壽) | 1807-1877 | 개화파의 선구자 | 1827년 입학 | -- |
최익현(崔益鉉) | 1833-1906 | 의병 활동(1895, 1905) | 1854년 입학 | -- |
김옥균(金玉均) | 1851-1894 | 갑신정변 주요 참여자 | 1872년 입학 | -- |
박은식(朴殷植) | 1859-1925 | 『한국통사(韓國痛史)』 저술 | 1900년 강사 | |
이동녕(李東寧) | 1869-1940 |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 1892년 입학 | -- |
신채호(申采浩) | 1880-1936 | 독립운동가, 역사가,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저술 | 1905년 박사 학위 취득 | ![]() |
조소앙(趙素昻) | 1887-1959 |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저술, 삼균주의 주창 | 1902년 입학 | -- |
참조
[1]
일반
[2]
웹사이트
교시/건학이념
https://www.skku.edu[...]
Sungkyunkwan University
2023-04-15
[3]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skku.edu[...]
University of Sungkyunkwan
2023-04-12
[4]
웹사이트
대학소개>대학현황>현황
https://www.skku.edu[...]
Sungkyunkwan University
2023-04-14
[5]
웹사이트
대학소개>대학현황>현황
https://www.skku.edu[...]
[6]
웹사이트
SKKU Official Brochure 2013
http://www.waseda.jp[...]
[7]
웹사이트
Gyeongguk Daejeon, the great code
http://english.visit[...]
[8]
웹사이트
Sungkyunkwan in the code of Gyeongguk Daejeon
https://books.google[...]
[9]
웹사이트
성균관대학교 대학정보 성대역사 / 상징 성대 623년 약사 현대 대학시대
https://www.skku.edu[...]
2023-04-12
[10]
웹사이트
Simsan Kim Chang-suk
https://www.skku.edu[...]
2023-04-12
[11]
웹사이트
Global leading programs with Samsung
http://www.skku.edu/[...]
[12]
웹사이트
Sungkyunkwan University (SKKU) – Our Organizing Partner
https://web.archive.[...]
QS-APPLE
2014-03-13
[13]
웹사이트
Why SKK GSB?
https://gsb.skku.edu[...]
SKKU
2023-04-12
[14]
뉴스
SNU keeps top slot in university rankings for 7th year
https://koreajoongan[...]
2023-04-12
[15]
웹사이트
Search U.S. News Best Global Universities
https://www.usnews.c[...]
[16]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Top global universities
https://www.topunive[...]
2023-04-12
[17]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https://www.timeshig[...]
2023-04-12
[18]
웹사이트
MBA 2023
https://rankings.ft.[...]
2023-04-12
[19]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skku.edu[...]
SKKU
2023-04-12
[20]
웹사이트
University Arbor
https://www.skku.edu[...]
SKKU
2023-04-12
[21]
웹사이트
SKKU BONGRYONG HAKSA
https://dorm.skku.ed[...]
[22]
웹사이트
The 2017 Clarivate Citation Laureates - Clarivate
https://clarivate.co[...]
2017-09-20
[23]
웹사이트
Always ahead of its time - Nature Index Supplements - Nature Index
https://www.naturein[...]
[24]
웹사이트
Message from the Head of SAINT
https://saint.skku.e[...]
SKKU
2023-04-12
[25]
웹사이트
Center for Integrated Nanostructure Physics
https://www.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23-04-12
[26]
웹사이트
Director
https://cnir.ibs.r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23-04-12
[27]
뉴스
SKKU on path to become top global university
http://www.koreahera[...]
2013-10-09
[28]
웹사이트
History
https://lib.skku.edu[...]
SKKU
2023-04-12
[29]
웹사이트
Exploring Learning Spaces and Libraries in Asia: Sungkyunkwan University - Samsung Library
http://learningspace[...]
2012-04-14
[30]
웹사이트
Open house for SKKU Creative Fusion Factory, "Learning Factory
https://www.skku.edu[...]
SKKU
2023-04-12
[31]
웹사이트
Mireukdang
https://sport.skku.e[...]
SKKU
2023-04-12
[32]
웹사이트
'배구 샛별' 전광인, 성균관대 우승 앞장
https://m.hani.co.kr[...]
2011-07-22
[33]
웹사이트
성균관대 배구 2년만에 정상 탈환
https://www.kgnews.c[...]
2023-04-13
[34]
웹사이트
https://www.timeshig[...]
[35]
웹사이트
약사 - 성균관대학교 성대 620년
https://www.skku.edu[...]
성균관대학교
2018-09-16
[36]
웹사이트
Top 25 universities over 400 years old
https://www.timeshig[...]
THE Times Higher Education
2016-02-10
[37]
웹사이트
[2020수시특집] 위상급등 ‘삼성효과’ 넘어선 성균관대
http://www.veritas-a[...]
2019-06-03
[38]
웹사이트
https://liberalarts.[...]
[39]
웹사이트
https://www.adu.ac.a[...]
[40]
웹사이트
https://abroad.iu.ed[...]
[41]
웹사이트
「ともに民主党」の朴炳錫議員、次期国会議長に事実上確定
http://world.kbs.co.[...]
2020-05-20
[42]
뉴스
【プロフィール】ファン・ギョアン(黄教安)新首相候補者=韓国
http://www.wowkorea.[...]
Wow!Korea
2015-05-21
[43]
뉴스
새 총리 이완구 내정, 성균관대 출신 '잘 나가는' 朴 정부…인사 명단 학벌 봤더니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5-01-23
[44]
간행물
戦略研レポート 朴槿恵政権が発足した韓国
https://www.mitsui.c[...]
三井物産戦略研究所
2013-04-30
[45]
웹사이트
김연수(金衍洙)
http://www.kyobobook[...]
교보문고
2017-06-12
[46]
뉴스
백전노장 잠수함 듀오 유동훈-김병현 KIA 불펜 시너지효과 기대
http://hankookilbo.c[...]
한국일보
2014-04-16
[47]
뉴스
에이핑크 김남주,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 합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2-02
[48]
뉴스
송중기가 주원·유이 제치고 '성균관대 대표얼굴' 된 이유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2-11-27
[49]
웹사이트
'지혁' 방송인물 정보
http://cue.imbc.com/[...]
2017-06-12
[50]
뉴스
'아스트로' 차은우, 성균관 대학교에서 '직찍'..."저 16학번 이에요"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6-09-24
[51]
뉴스
차승원·박주미씨 성균관대 합격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1-10-09
[52]
뉴스
티아라 효민,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출연
http://news.sbs.co.k[...]
SBS NEWS
2010-06-18
[53]
뉴스
‘욘사마’ 배용준 끝내 성균관대 자퇴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4-09
[54]
뉴스
'커터' 스물한 살 문가영이 다시 교복 입은 이유[인터뷰]
http://tvdaily.asiae[...]
TV Daily
2016-03-25
[55]
뉴스
문근영, 성균관대 졸업못한 이유 들어보니…"삼품제도 때문?"
http://daily.hankook[...]
데일리한국
2015-09-21
[56]
뉴스
문소리 "나는 성균관대 퀸카였다" 대학시절 사진 공개
http://news.jtbc.joi[...]
JTBC
2013-09-24
[57]
서적
[58]
웹사이트
대학정보 - 현황
https://www.skku.edu[...]
[59]
웹사이트
성균관(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1-01-23
[60]
법률
군정법령 제6호
[61]
웹사이트
성균관(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1-01-23
[62]
법률
군정법령 제15호
[63]
뉴스
조선일보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45-12-10
[64]
웹인용
성대발자취
https://rules.skku.e[...]
2021-01-23
[65]
웹인용
약사
https://www.skku.ac.[...]
2021-01-24
[66]
웹사이트
성균관(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1-01-23
[67]
웹사이트
성균관(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1-01-23
[68]
웹사이트
성균관(成均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2021-01-23
[69]
법률
군정법령 제6호
[70]
법률
군정법령 제15호
[71]
뉴스
성균관대학 재단을 촉성, 1000여 대표 참가로 전국유림대회
http://db.history.go[...]
자유신문
1945-12-10
[72]
법령
군정법령 제194호 제6조
:s:군정법령 제194호 제6조
[73]
뉴스
최대격전지 당락 가른 대학 투표소의 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11-02
[74]
뉴스
“`교수는 1인 기업`…프로젝트 수주 잘하는 교수가 대학 경쟁력”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0-06-07
[75]
웹인용
출처자료: 2015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통계
http://lib.skku.edu/[...]
2015-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