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물리학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물리학회는 1952년 12월 7일 창립된 학술 단체이다. 학술적 회합 개최, 학술 간행물 발행 및 배포, 학술 자료 조사, 수집 및 교환, 학술의 국제 교류,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지원 및 건의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회장, 부회장, 이사, 감사, 편집위원회, 실무이사회, 지부로 구성되며, 12개의 분과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회 - 솔베이 회의
솔베이 회의는 에른스트 솔베이가 설립한 국제 학술 회의로,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물리학과 화학 분야의 최첨단 과학적 문제를 논의하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서구 과학자 중심 구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학제 간 연구 확대 및 참가자 다양성 확보를 통한 발전이 기대된다. - 물리학회 - 미국 물리학회
미국 물리학회는 물리학 연구 발전과 진흥을 목표로 1899년 설립된 비영리 학술 단체로서, 학술지 발행, 교육 프로그램 운영, 대중화 활동 등을 하며 다양한 부서, 그룹, 포럼을 통해 물리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과학 단체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과학 단체 - 대한화학회
대한화학회는 1946년 창립되어 화학 및 응용 기술 발전을 목표로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발간, 한국화학올림피아드 주관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화학 분야 학술 단체이다. - 사단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1966년 설립되어 500만 한인 과학기술인을 대표하며, 과학기술 발전 기여를 목표로 학술활동 지원, 국제교류, 정책 연구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계 대표 기관이다. - 사단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대한화학회
대한화학회는 1946년 창립되어 화학 및 응용 기술 발전을 목표로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발간, 한국화학올림피아드 주관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화학 분야 학술 단체이다.
한국물리학회 | |
---|---|
기본 정보 | |
한글 명칭 | 한국물리학회 |
로마자 표기 | Han'guk mulli hakhoe |
영문 명칭 | The Korean Physical Society |
약칭 | KPS |
유형 | 학술 단체 |
형태 | 사단법인 |
설립일 | (1952년 12월 7일) |
설립자 | 최규남(초대 회장, 서울대학교 교수) |
목적 | 물리학의 발전과 그 응용 보급에 기여하고 과학의 발전에 기여 |
웹사이트 | 한국물리학회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본부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601호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회장 | 홍석륜(세종대학교 교수) |
상위 단체 | 해당사항 없음 |
하위 단체 | 해당사항 없음 |
제휴 기관 | 일본응용물리학회(The Japan Society of Applied Physics) 미국 물리학회(American Physical Society) |
기타 | |
간행물 | 새물리 Current Applied Physics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JKPS) |
2. 연혁
1946년 조선수물학회로 출발하였으나, 6.25 전쟁 중인 1952년 대한수학회와 각각 분리되면서 최규남 등이 중심이 되어 피난지 부산에서 창립되었다.[1] 1975년 6월 28일에 과학기술처로부터 사단법인으로 설립 허가를 받았다.[1]
- 1946년 10월: 조선수물학회 창립[1]
- 1948년: 한국수물학회로 명칭 변경[1]
- 1952년 12월 7일: 한국물리학회 창립[1]
- 1961년 6월 10일: 학회지 《새물리》 창간[1]
- 1988년 4월 10일: 학회지 《응용물리》 창간[1]
- 2022년 10월 18~21일: 창립 70주년 기념 가을학술논문발표회 및 제98회 정기총회 개최[1]
3. 주요 사업
한국물리학회는 학술지 발간, 학술 대회 개최, 국제 교류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1]
주요 사업 |
---|
학술적 회합 개최 |
학술 간행물 발행 및 배포 |
학술 자료 조사, 수집, 교환 |
학술의 국제 교류 |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지원 및 건의 |
기타 학회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항 |
학술 활동 지원, 국제 교류, 과학기술 진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3. 1. 학술 활동 지원
- 한국물리학회는 학술적 회합을 개최한다.
- 학술 간행물을 발행하고 배포한다.
- 학술 자료를 조사, 수집 및 교환한다.
- 학술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과학 기술 진흥에 관한 지원 및 건의를 한다.
- 기타 한국물리학회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한다.
3. 2. 국제 교류
한국물리학회는 미국물리학회, 일본물리학회를 비롯한 7개국의 물리학회와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IUPAP, AAPPS, APCTP 등 물리학 관련 국제 기구에 가입되어 있다. 1982년부터 격년으로 국제반도체물리학 심포지엄을, 1996년부터는 첨단소재 및 소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3. 3. 과학기술 진흥
학회는 과학 기술 진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지원하고 건의한다.[1]
4. 조직 구성
한국물리학회는 12개의 분과위원회, 8개의 지역별 지부, 그리고 100개의 직장별 분회로 구성되어 있다.
4. 1. 임원진
직책 | 이름 |
---|---|
회장 | |
부회장 | |
이사 | |
감사 | |
새물리 편집위원장 | |
JKPS 편집위원장 | |
CAP 편집위원장 | |
홍보잡지편집위원장 | |
실무이사장 | |
총무담당실무이사 | |
재무담당실무이사 | |
새물리 편집담당실무이사 | |
JKPS 편집담당실무이사 | |
홍보잡지편집담당실무이사 | |
CAP 편집담당실무이사 | |
교육담당실무이사 | |
학술담당실무이사 | |
섭외담당실무이사 | |
사업담당실무이사 | |
대구·경북지부장 | |
대전·충남지부장 | |
부산·울산·경남지부장 | |
광주·전남지부장 | |
강원지부장 | |
전북지부장 | |
충북지부장 | |
제주특별지부장 |
4. 2. 위원회
한국물리학회에는 다음과 같은 위원회가 있다.- 편집위원회
- 새물리 편집위원회
- JKPS 편집위원회
- CAP 편집위원회
- 홍보잡지편집위원회
4. 3. 분과위원회
동일 또는 유사 전문 연구 분야의 연구자 간 연대를 강화하고 정보 교환 및 공동 연구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12개의 분과위원회가 설립되었다.분과위원회 |
---|
입자물리학 분과회 |
원자핵물리학 분과회 |
응집물질물리학 분과회 |
응용물리학 분과회 |
통계물리학 분과회 |
물리교육 분과회 |
플라스마물리학 분과회 |
광학 및 양자전자학 분과회 |
원자 및 분자물리학 분과회 |
반도체물리학 분과회 |
천체물리학 분과회 |
생물물리학 분과회 |
각 분과에서는 독자적으로 워크숍, 심포지엄, 세미나 및 월례 강연회 등을 개최하고 있으며, 프로시딩(발표 논문집)과 뉴스레터 등을 발간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Korean Physical Society: About KPS
http://www.kps.or.kr[...]
2021-03-17
[2]
웹사이트
Springer
https://www.springer[...]
2021-03-17
[3]
웹사이트
The Japan Society of Applied Physics; Partner Societies
https://www.jsap.or.[...]
2021-03-17
[4]
뉴스
APS Signs MOU with Korean Physical Society
https://www.aps.org/[...]
APS News
2021-03-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삼성, 이공계 인재 키우기 올림피아드 대표단 후원
이공계 인재 양성에 힘 실은 삼성...국제수학·물리올림피아드 韓 대표단 후원
삼성전자, 국제수학·물리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후원 협약 체결
한양대 신상진 교수, 한국물리학회 ‘성봉물리학상’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